• 제목/요약/키워드: Home-based rehabilitation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5초

독립주거 정신장애인의 초기적응지원 프로그램 성과 연구 : 주거형태별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Early Adaptation Support Program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Living in Independent Housing : Focused on Comparing Housing Types)

  • 최희철;배은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91-101
    • /
    • 2021
  • 본 연구는 독립주거 정신장애인의 초기적응지원 프로그램 성과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하여 서울지역 T 정신재활시설의 독립주거 정신장애인 그룹을 실험집단으로, 생활시설'과 공동생활가정의 정신장애인 그룹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그후 그룹 간의 지역사회 성과 정도를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전체 사회적 지지의 사전-사후 분석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통제집단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어 초기적응지원 프로그램은 독립주거 집단의 사회적 지지를 전반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퇴원한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주거서비스의 성과체계 구축과 주거지원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뇌졸중 환자를 위한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Tele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 임영명;이지용;조성준;안예슬;유두한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9-70
    • /
    • 2017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상 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그 효과와 국내 적용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자료의 검색을 위해 EMBASE, CINAHL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다. 주요 용어는 "Virtual Reality", "Telerehabilitation", "Stroke"으로 관련 연구를 검색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총 7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질적 수준, 일반적 특성, PICO를 사용하여 연구 주제에 따른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선정된 7편의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으로 한 원격재활 시스템으로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가상현실은 게임 프로그램과 수동적인 팔 보조 그리고 Balance Trainer등을 활용하여 원격재활 중재를 실시하였다. 주된 결과 측정도구는 상지기능, 균형 및 보행, 일상생활 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가 사용되었다.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중재방법은 모든 연구에서 상지기능, 균형감각능력에서 효과를 보였으며, 일상생활 활동에서의 부분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환경적 특이성을 보완하기 위한 원격재활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의 만족감을 향상시키고 기능의 유지를 위한 중재법으로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시스템은 대부분 상지기능과 균형감각, 일상생활 활동을 위한 중재가 적용되었으며, 가정환경에서도 치료사의 중재, 감독, 교육 등을 통해 기능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의 임상적 적용에 대한 근거와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향후 연구에서 다양한 가상현실의 중재방법과 원격재활을 활용한 재활 프로그램 개발과 같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재가노인의 장기요양예방과 자립지원에 관한 연구: 예방·자립지원 모형설계 방안제언 (A Study on a Prevention of Long-term Care self-reliance Support for the Elderly in Home: Proposal of an Prevention and Support for Self-reliance Support Model)

  • 김현실;황성자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359-1375
    • /
    • 2010
  • 본 연구는 고령사회에 따른 장기요양재가노인 인구의 증가 현상을 예견하면서, 요양급여 의존 증을 최소화하고, 예방·자립지원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예방·자립지원 모형의 기초를 제시함으로 예방·자립지원의 실천적 함의를 얻고자 함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이론적 문헌연구를 통하여 장기요양노인에게 예방·자립지원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며, 둘째,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와 연구대상자가 소속된 노인복지센터의 장기요양급여 관련문서 분석을 통하여 예방·자립지원에 저해하는 요소를 분석하고, 셋째, 요양급여 이용자들의 요양급여이용실제에서 예방·자립지원을 저해하는 요소와 실제 욕구를 조사하여 이 세 가지의 질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방·자립지원 모형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예방·자립지원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따라서 D시에 있는 주간보호센터와 노인복지센터의 사업자와 전문사회복지사의 협력과 승낙을 얻어 문서자료 수집과 연구 참여자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문헌연구에서는 장기요양 예방·자립지원은 장기요양급여노인에게도 자신이 삶의 주체가 되어 살아가도록 이용자의 권리를 지원하는 '이용자 중심의 지원체계의 강화'로 전개되어야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문서분석에서는 보건의료와 관련한 급여제공이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고, 예방·자립지원을 위한 사회적지지체계의 미비 등이 나타났으며, 심층면접조사결과에서 장기요양급여이용노인의 예방·자립과 관련된 서비스의 강화가 요구되었으며 예방·자립을 위한 요양급여이용노인의 절실한 욕구는 ①고독감, 외로움, 불안, 공포 ② 자녀와 사람에 대한 그리움과 걱정, ③이동, 외출, ④ 보건·의료서비스·재활프로그램, ⑤ 주간보호이용욕구, ⑥주택구조의 불편, ⑦식사메뉴의 욕구, ⑧폐용증후군(disuse syndrome)의 발생 등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예방·자립지원모형은 ①이용자 중심의 지원체계의 강화, ②보건의료연계지원체계의 강화, ③사회적지지 체계강화의 3가지 축을 중심으로 예방·자립지원모형설계의 기초를 제시하고자 했다.

가족지지개념을 다룬 국내 간호연구 분석 (Family Support: a Review of Nursing Literature on its Trends and Implementations)

  • 박신애;강경숙;정미영;차남현;김순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639-64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nursing research related to family support and to provide an effectiv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by conducting a review of the Korean nursing literature from 1980 to 2000. A total of 73 studies were analyzed with the following results. 1) The number of studies related to family support has been rapidly increasing since 1984, and 77% of those were conducted in the 1990s. 48 studies, 65% of those analyzed. were degree-based research including 4 doctoral theses (4%) and 45 master's theses (62%). 2) Based on the objective frame of study types developed by Lee et al. (991), the types of studies were analyzed: 56 studies, 76.6% of those reviewed, belonged to factor-relating: 9 studies (12.4%) belonged to factor-isolating: 7 studies (9.6%) belonged to situation-producing: and only 1 study (1.4%) belonged to situation-relating research, respectively. 3) In terms of research design, most studies of analyzed (90.4%) were conducted by non-experimental design, and 7 studies (9.6%) were conducted by experimental design. But, qualitative research related to family support was not found. 4)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target populations of experimental studies were patients with arthritis, mental disorder, tuberculosis, coronary artery disease and hypertension. In correlational studies, 51 studies, 69.9% of those analyzed, were conducted to patients with renal failure, cancer and hemiplegia, and 5 studies (6.8%) were conducted to aged people and adolescents. 5) Study concepts used in correlational studies were quality of life, anxiety and depression, self-esteem, hope, role behavior, compliance and self-care activities. The quality of life was most often used among studies with 12.5% of those analyzed. 6) Nursing interventions, including diet therapy, family involving education and supportive care, used in experimental studies mostly showed positive effects on client involvement and home health improvement. However, the nursing interventions of mental health rehabilitation and resistance exercise showed neutral and negative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evidence that more empirical research including experimental or qualitativ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actively to improve nursing practice related to family support. Also, to promote more diverse nursing interventions, a family assessment tool especially for Korean families needs to be developed.

  • PDF

취학 전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따른 행동적 특성에 관한 연구 (Th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Processing Skills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for Preschoolers)

  • 신지연;신혜정;조현희;차수민;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3-35
    • /
    • 2005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sensory processing capacity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for preschoolers without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skills 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Methods : Mothers of preschoolers without disabilities between ages of 4 and 6 who attend Y kindergarten which is located in Busan, H kindergarten in Suwon, S kindergarten in Gimhae was participated. Mother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at home from 4th to 14th of January in 2004. We used SSP(short sensory profile) which was used by Kim, Mi-Sun in 2001 to understand the sensory processing skills. We also used Behavior During Testing Checklist find their places in Miller Assessment for preschoolers to understand behavior characteristics.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SPSS 10.0. Results : 1. Total incidents in sensory processing were 157 out of 190. Among sub items of the sensory processing, the mark of lower energy/weak was highest with 4.39 point and the mark of taste/smell sensitivity was lowest with 3.60 point. Total incidents in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20 out of 24. Among the area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 mark of sensory responses/threshold area was highest with 2.73 point and the mark of social interaction area was lowest with 2.29 point. 2. Children's total sensory processing capacity correlates with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 more sensory processing capacity, the more behavioral characteristics. Sensory processing point correlates with behavioral characteristics points except this item, reaction to separation from caretaker. Conclusions : We hope that the children who have behavioral characteristics with difficulties in sensory processing skills can be distinguished on the basis of this studying. Also, as we find and relieve early stage of the symptoms, following study which can present based to facilitate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improve the learning ability.

  • PDF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지체장애인의 인공지능 스피커 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s for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us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박혜현;이선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83-289
    • /
    • 2021
  • 4차 산업혁명에 기반하여 열린 스마트 홈 시대의 메인 허브 역할을 하는 인공지능 스피커에 많은 장애인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그러나 인공지능 스피커를 향한 장애인의 니즈(Needs)에 비하여 현재까지 인공지능 스피커를 사용하는 장애인 사용자의 수는 매우 저조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 유형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지체장애인에 초점을 맞추어 지체장애인의 인공지능 스피커 사용 의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장애인의 인공지능 스피커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요인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 첨단 IT 기술의 수용과 관련하여 설명력이 높은 모형으로 알려진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을 활용하였다. 기술수용모델의 이론적 모델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이 장애인의 인공지능 스피커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술수용모델은 지체장애인의 인공지능 스피커 사용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적합한 모형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구체적으로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인지된 용이성은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체장애인의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인지된 용이성은 사용 의도에 통계학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된 유용성은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인의 인공지능 스피커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요인 간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장애인 맞춤형 인공지능 스피커 서비스 개발과 장애인의 인공지능 스피커 사용성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원격재활 기반 작업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실행기능, 일상생활수행, 작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lerehabilitation Based Occupational Therapy on Execu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Occupation Performance of People With Stroke)

  • 박성순;김수경;유두한;김희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1호
    • /
    • pp.115-127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원격재활에 기반 한 작업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실행기능, 일상생활수행, 작업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하며, 재활병원에 외래로 통원하는 환자 30명을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15명씩 무작위 할당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군 집단과 실험군의 중재는 모두 주 3회 18회기로 실시하였다. 실험군 15명에게는 전통적 작업치료와 함께 더불어 가정에서의 원격재활 기반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대조군 15명은 전통적 작업치료만 실시하였다. 실험 참가자의 실행기능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은 실행기능 수행평가 한국판(Executive Function Performance Test Korean version; EFPT-K)으로 측정하였고,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은 수정된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 작업수행은 클라이언트 중심의 과제수행을 측정하기 위해서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을 이용하였다. 결과 :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은 모두 실행기능,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작업수행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나(p<.05), 기본적 일상생활수행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집단 간 비교에서는 작업수행에서만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많은 증진이 나타났다. 결론 : 원격재활과 작업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실행기능, 수단적 일상생활수행, 작업수행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작업치료에 병행된 원격재활은 뇌졸중 환자의 작업수행에 추가적인 효과가 있음을 근거로써 제시한다.

다중감각 되먹임 장치를 이용한 자가 일어서기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능력과 일어서기 동작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Sit-to-Stand Training Using Multi-Sensory Feedback Device on Balance Ability and Sit-to-Stand Ability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 민준기;최원재;정지혜;이승원
    • PNF and Movement
    • /
    • 제20권2호
    • /
    • pp.157-166
    • /
    • 2022
  • Purpose: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sit-to-stand training on balance ability and sit-to-stand ability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using a multisensory feedback device. Methods: A total of 19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0 underwent self-sit-to-stand training using a multisensory feedback device, and 9 underwent sit-to-stand training with a physical therapist. In both groups, sit-to-stand training was performed for 30 min, 3 times a week, for 6 weeks. The subjects also underwent physical therapy twice a day for 30 min, 10 times a week, for a total of 60 sessions. Balance ability was evaluated using the AFA-50 and Berg Balance Scale. Sit-to-stand ability was evaluated using the five times sit-to-stand test. Results: Sway length, pressure, and total pressure all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Berg Balance Scale results showed that balance ability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five times sit-to-stand test results showed that sit-to-stand ability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t was found that the self-sit-to-stand training using a multisensory feedback device had a positive effect on balance control and sit-to-stand ability. Wh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no difference in balance ability or sit-to-stand ability was observed.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elf-sit-to-stand training using a multisensory feedback device is as effective as sit-to-stand training with a physical therapist. Hence, self-sit-to-stand training using a multisensory feedback device could be an effective home-based exercise protocol for hemiplegic stroke patients to improve their balance and sit-to-stand abilities.

활동분석과 전방 연쇄 방법을 이용한 작업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활동 수행 증진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Based on Activity Analysis and Forward Chaining on the Promo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Case Study)

  • 박소연;김범중;김진경
    • 재활치료과학
    • /
    • 제13권1호
    • /
    • pp.87-97
    • /
    • 2024
  •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에게 활동분석과 전방 연쇄 방법을 이용하여 일상생활활동 기술을 습득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기준변동설계를 사용하여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활동을 단계별로 지도하였다. 중재는 캐나다 작업수행평가(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로 설정된 3가지 과제(신발 신기, 반바지 입기, 반팔 티셔츠)를 치료사가 활동분석한 후 전방 연쇄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독립 변인으로 사용된 3개 과제의 단계별 수행률과 중재 전과 후의 COPM 수행도와 만족도 점수를 종속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중재는 주 5일, 30분씩 이루어졌고, 기초선(3회)을 포함한 신발 신기는 총 18회기, 반바지 입기는 총 25회기, 반팔 티셔츠 입기는 총 18회기 실시되었다. 결과 : 연구 결과 아동의 신발 신기, 반바지 입기, 반팔 티셔츠 입기의 과제 수행률은 회기가 지날수록 향상되었고, 가정에서의 3가지 과제의 수행도와 만족도 역시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발달장애아동의 수준에 따른 단계화되고 체계적인 지도 방법은 아동의 일상생활활동 기술을 학습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기초로 과제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발달장애아동에게 일상생활활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활동영역에 활동분석과 행동 연쇄 방법이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Muscle Strength Effectiveness Based on Fitsig® (EMG Prototype)

  • Changjin Ji;Yong-hyun Byun;Sangho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111-121
    • /
    • 2024
  • 근력 트레이닝은 운동의 효과와 함께 부상의 위험도 함께 공존한다. 운동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부족하거나 과도한 운동 강도에서의 반복은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운동 진행 중 과정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은 과학적 데이터 제공을 통한 운동 효과증대 및 부상의 감소는 물론 심리적 동기부여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무선 근전도를 적용한 8주 동안의 바이오피드백 트레이닝의 적용에 따른 EMG(Electromyography) 장비 검증 및 운동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3개월 이내 근골격계 진단을 받은 사람들을 제외하고 20대의 48명을 대상으로 4개의 그룹에 대해 8주간의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트레이닝이 진행되었으며, 측정은 사전, 4주차, 8주차에 각각 실시되었다.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상지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그룹별로 다른 운동이 시행되었다. 근전도 프로토타입인 Fitsig를 트레이닝 중에 사용하였고 근육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 분야에서 잘 알려진 Noraxon사의 제품과 Fitsig®(EMG, FS-100)의 상관성 분석 결과, 중등도 상관성이 나타났다. 상완골 둘레, 상완골 근육량, 상완 이두근과 상완 삼두근 근력은 좌우 모두 시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생했으며, 운동 종류에 따른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간 근전도를 활용한 피드백 트레이닝은 근비대 성장 및 근력 향상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