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검색결과 513건 처리시간 0.019초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기술 혁신과 발명' 단원에서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모형 개발 (An Instructional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Decision Making Skills i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Invention' Unit of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 서정완;이용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08-127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과에서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능력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 추출, 환경 요소 분석, 의사결정 검사도구 개발,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모형 개발, 수업 도구 선정,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과제 개발의 6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로 문제인식, 문제규정, 대안생성, 대안평가, 최적안 선택, 최적안 평가를 도출하였다. 둘째, 의사결정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도출된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를 기준으로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셋째,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해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를 준거로 여러 의사결정 수업 모형을 비교 분석하여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넷째, 개발된 의사결정능력 향상 수업 모형을 기준으로 디자인 사고를 적용하여 의사결정능력의 하위요소를 체험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과제를 개발하였다. 다섯째, 개발된 수업 과제를 본 수업과 이후 수정 보완을 거친 수업에 투입하였고,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하여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모형은 기술교과에서 의사결정능력이 향상될 수 있는 수업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서울시내 실업계 여고생들의 성지식 태도 및 행위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f Commercial Girl's High School Students Toward Sex)

  • 배남숙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7-71
    • /
    • 1983
  • Sex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youth that they should have an adequate sexu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in their adolescent period. Four major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know the level of sexual knowledge of commercial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2. To know their actual state for the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sex. 3. To compare the sexu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day time school students with those of night time school students. 4. To compar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sexu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with the individual level. Data were collected on 986 students in Seoul from April 1 to April 10, 1983. As the result of this surve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The level of sexual knowledge. (1) The level of knowledge of day time high school students about the physiology of female and pregnancy is shown higher than those of night time students. 64.2% of the respondents are aware of the organ producing ovum. 56.4% the ovulation period. 95.6% the cause of pregnancy. 74.5% the pregnantable period and 12.7% the place of fetilization. (2) Out of 986 respondents. 71.8% knew about contraceptive method correctly, and day time school students knew litter better than night time school students, by showing 73.9% and 69.7% respectively. They knew about contraceptive method with 'oral pills'. 'menstrual cycles', 'condoms'. and 'loops' in the same order. 3) Kinds of veneral disease was correctly known by 37.9%. Day time students knew much better than night time school students. by showing 67.8% and 7.9%. respectively. Transmission method of veneral disease was correctly known by 28.3%. Day time students knew much better than night time students, by showing 51.2% and 5.3%, respectively. (4) The major information source of sexual knowledge was 'book and magazine' (39.9%) and 'friends' (27.4%). 2. Actual state of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sex. (1) Out of 986 respondents, 84.0% answered that premarital purity should be kept. (2) Out of 986 respondents, 60.8% had an acquaintance of the opposite sex. 45.2% of students with opposite sex reported introduction of their friends as the main channel of making an acquaintance of the opposite sex. (3) Of those who responded to this study 13.8% reported having masturbation, 21.5% kissing, 6.2% petting and 3.7% sex intercourse. (4) 64.8% had sexual problems, which was mensturance (27.2%), aquaintance of the opposite sex (25.4%). The main method to solve the problems were consultation with 'friends' and 'books and magazine' percentage being 39.1% and 30.8%, respectively, whereas very small students discussed with 'teachers' and 'parents' percentages being 0.3% and 5.9%, respectively. (5) Out of 986 respondents, 62.2% had experience in educating about sex, the percentage of day time school was higher than that of night time school. (6) 88.2% of students wanted sex education in school, which were 'general information about sex' (35.4%), 'sexual morality and solution of sexual desire' (18.5%), 'aquaintance of the opposite sex' (13.3%) and 'marriage and role of man and woman' (12.4%) in the same order. They wanted to be instructed about sexes in the lecture of physical education, home economics, biology, military training (59.9%), regular curriculum (17.5%), special lecture (16.9%) and by the counselor or school nurse (5.7%). 3. Analyse concerning the factors about the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1) The better school record was, the higher the level of sexual knowledge. (2) Those who have the religion considered the permarital purity more important than those who have not, the percentage showing 86.7% and 80.7%, respectively. (3) The result of dyad analysis of making acquaintance of the opposite sex in the friendship network showed that a high index of the acquaintance of the opposite sex tends to be a high adoption of making one at the individual level in the group, while the low index tends to be a low adoption of making one in the group.

  • PDF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인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Parents, and Human Resources Directors in Industrial Institutions about Admission into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Career after Graduating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 이병욱;안재영;이찬주;이상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48-67
    • /
    • 2013
  • 본 연구는 특성화고 교육의 주요 수요자가 될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특성화고의 운영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남 아산시의 중학교 3학년생과 학부모 및 산업체 인사를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과 학부모는 대체로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등 직업 교육 기관보다는 일반고 진학을 희망하였고 고교 선택 요인으로 중학생은 학업 성적을, 학부모는 적성 소질을 가장 고려하였다. 둘째,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는 특성화고의 목적을 학생의 소질 적성 향상 및 취업으로 인식하였고, 특성화고의 긍정적인 이미지는 소질 적성을 일찍 살림, 취업이 잘됨, 졸업 후 자립이 빠름, 우수한 기술 습득 등으로, 부정적인 이미지는 사회적 편견 및 차별,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의 진학, 승진 임금 등에 대한 불이익, 대학 진학에 불리 등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특성화고 교육이 전공분야 기초 실무 능력 향상, 직업 기초 능력 함양, 창의 인재 육성, 바른 인성 및 태도 함양에 대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다수의 중학생과 학부모가 아산시에 특성화고 설립 시 특성화고 진학 의사를 나타냈고 진학 이유는 적성 소질을 일찍 살림, 우수한 기술 습득, 조기 취업 희망 등, 미진학 이유는 적성 소질에 맞지 않음, 특성화고에 대한 인식 부족, 대학 진학에 불리, 사회적 편견 및 차별 등이었다. 또한 특성화고 졸업 후 취업과 대학 진학을 비슷하게 희망하였고 취업 이유는 대체로 사회 진출을 빨리하여 성공하고 싶거나 대학을 졸업해도 취업하기 어렵기 때문에, 진학 이유는 대체로 전공에 대한 심화교육과 학력에 따른 사회적 차별 때문이었다.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가 인식하는 채용 기준으로 직무 수행 능력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중학생과 학부모는 공업 계열 학과, 가정 가사 및 상업 관련 학과를 주로 희망하고 있으며 학과 선택을 위해 적성 소질, 미래 유망, 취업에 유리함 등을 고려하였다. 산업체 인사의 특성화고 학생의 채용 이유는 학생을 산업체의 인재로 성장, 학생이 직무 수행 능력을 갖춤, 고졸 수준의 인력이 필요함 등이었고, 인력이 필요하거나 학생이 직무 수행 능력을 갖추면 채용할 수 있다는 일부 응답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른 특성화고 운영 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특성화고는 학생과 학부모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도록 학과 및 교육과정을 다양화하고 진로 지도에 입각한 특성화고 입학 시스템을 구축하며 일 기반 현장 학습을 구축하여 학생의 직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정부는 특성화고 학생의 실질적인 경력 발달이 가능하도록 선취업 후진학 정책을 정비하고 취업률 등 정량적 평가보다는 특성화고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방향으로 관련 정책을 추진하며, 특성화고 관련 기능 인력이 제대로 평가 및 대우받을 수 있는 각 부처의 협력적 지원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