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rical and Cultural Regions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3초

역사문화자원의 경관계획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청주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for Landscape Planning - A Case of Cheongju City -)

  • 박재평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55-6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pplication plan for the landscape planning after grasp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Cheongju city and closely examining their conservation and use state. Concerning the method of the study, I considered the resources related concepts and came up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the application planning as landscape factors after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nd their present situation. Regarding the study or research, I studied the cultural asset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historical and cultural planning, and further examine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by dividing them diversely and further, studie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ir system and the related law.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resource in Cheongju city I conducted the assessment of the landscape resources by areas, types, locations. On the basis of this study I came up with the basic direction for the application plan and the solution to the management of the landscape and think that these plans or suggestions will make a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ir identity by regions.

역사문화지구의 퍼블릭 아트에서 나타나는 표현 특성과 아이덴티티 연구 - 징더전 시 도계천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Public Art in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 Focused on Taoxichuan in Jingdezhen -)

  • 이지엔화;윤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82-95
    • /
    • 2020
  • 본 연구는 역사문화지구 퍼블릭 아트의 특징과 아이덴티티를 연구 대상으로 역사문화구역의 퍼블릭 아트에 대한 이론 연구와 조사를 통해 징더전 도계천이 대표하는 역사문화지구 퍼블릭 아트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공간적 특성과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 여섯 가지 평가요인인 환경성, 공공성, 상징성, 예술성, 역사성,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도계천 퍼블릭 아트의 특성과 아이덴티티를 분석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산업 유산물로 재탄생 한 7개 큰 굴뚝의 퍼블릭 아트는 완전히 보존된 산업역사 건물과 어울린다. 그중, 환경성, 공공성, 상징성, 예술성, 역사성이 명확한 구현을 갖추고 있으며 단지의 역사적 상징물로서 보존가치와 식별가능성이 높아 일반 퍼블릭 아트의 행사나 체험기능을 더하지 않아도 된다. 지역 재생을 위한 신퍼블릭 아트 중 퍼블릭 아트의 예술성, 환경성, 공공성이 높게 나타났고 환경성도 중간 수준을 보이고 있지만, 역사성이 높지 않고, 상호 작용성이 약하다. 산업 유산물로 재탄생한 퍼블릭 아트는 역사유적 퍼블릭 아트로 산업유산과 도자기 요소로 대중들의 시공간과소통을 형성하면서 대중에게 정신적 공감을 전달할 수 있는 아이덴티티를 형성하였으며, 지역재생을 위한 신 퍼블릭 아트는 도계천에 새로운 예술적 정취를 부여하였으나 새로운 아이덴티티는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Web GIS 기반의 영산강유역권 역사문화정보시스템 구축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Information System based on Web GIS for Youngsan River Area)

  • 장문현;이정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329-339
    • /
    • 2009
  • 역사문화지도는 한 지역의 개별적인 유적에 대한 단순한 집성이 아니라,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시.공간적 연관성에 대한 종합적인 반영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문명의 발상지라고 할 수 있는 수계권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생활환경의 연구는 지금까지의 지역단위 차원을 넘어서 타 문화권의 비교, 나아가 국가 및 대륙간의 문명사 연구에도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우리 고유의 역사와 문화를 토대로 문화적 유형화 및 지역적 정체성 파악을 위한 공용의 문화정보시스템 구축에 중점을 두었다. 즉, 영산강유역권 역사문화정보시스템은 수계권의 다양한 역사문화정보를 전자지도의 형태로 담아내고,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는 Web GIS 기반의 통합정보시스템인 것이다. 상기의 시스템은 고고, 건축 미술, 생태환경, 역사, 민속 문학, 음식 등 각 분야별 기초조사 자료에 의한 종합적인 산출물이며, 학제간 연구에서의 활용뿐만 아니라 공공의 자료로써 새로운 가치창출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결과적으로 Web GIS 기반의 영산강유역권 역사문화정보시스템 구축에 따른 기대효과는 첫째, 영산강유역 분야의 연구에 대한 로드맵을 확인하는데 공헌할 수 있으며, 둘째, 영산강유역의 역동적 구조와 특성에 대한 학제적 탐구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셋째, 역사문화지도 연구를 위한 전문화 된 전자 학술자원 제공의 본격적 발판을 마련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중국 역사문화도시의 공공조형물에서 나타나는 표현 특성과 장소성 연구 (A Study on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Placeness in Public Sculptures of Chinese Historical and Cultural Cities)

  • 이지엔화;윤지영;왕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216-232
    • /
    • 2020
  • 본 연구는 중국 역사문화도시의 현대 공공조형물의 표현 특성을 분석, 공공조형물이 어떻게 효율적으로 역사 문화 요소에 개입하여, 장소성을 표출할 수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함으로서 공공조형물이 지닌 장소적 의미와 적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첫째, 문헌고찰로 역사 문화 도시의 개념, 장소성의 개념 등을 이해하여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둘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공공조형물의 표현특성을 분석하며 10명의 조형 및 디자인 전문가로부터 특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장소성과 관련이 가장 많은 8개 요소를 선정하였다. 셋째, 사례분석으로 중국의 대표적인 도시인 상해, 북경, 광주의 공공조형물 중 발행량이 가장 많은 7개 잡지에서 60개 사례를 선정하여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최종 15개 공공조형물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역사 문화 요소의 발굴이나 도시 현대 인문 정취를 표현함에 있어서 세 도시의 공공 조형물 모두 각기 다른 장소성을 구현하였다. 독자적인 선진 기술이 가져온 예술적 독창성과 대중과의 상호작용을 결합하여 도시만의 독특한 역사 인문적 요소를 활용하여 다른 지역과 다른 장소를 만들어내는 것이 공공 조형물의 발전 추세이다.

Qiz-gilam: A Unique Example of Carpet Weaving by Semi-Nomadic Uzbeks in the Southern Regions of Uzbekistan

  • Binafsha NODIR
    • Acta Via Serica
    • /
    • 제8권1호
    • /
    • pp.87-100
    • /
    • 2023
  • Interaction between sedentary and nomadic cultural traditions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enturies-old history of applied arts in Uzbekistan. By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driven by urbanization in the region and the gradual transition of nomadic and semi-nomadic peoples to sedentary lifestyles, many industries and traditional cultural forms of formerly nomadic ethnic groups disappeared. Nevertheless, their role in shaping the national cultural identity of the Uzbek people is great. This is true in relation to one of the largest ethnic groups in Uzbekistan, the Kungrats, whose applied art represents a unique, viable, and yet little-studied phenomenon in the national culture of Uzbekistan. The article reviews carpet weaving, one of their surviving crafts, exemplified by qiz-gilam, a unique type of rug made using a combined technique. This study helps to show the nature of historical and cultural interrelations in the carpet weaving of Central Asian peoples and their cultural contacts with the carpet art of neighboring regions more widely and objectively. An important theoretical result of this study is the creation of criteria and tools for identifying qiz-gilam carpets. This allows us to bring clarity to the yet undeveloped system of their identification in museum and gallery practice.

중원문화권의 문화재 개발의 차별화 전략 (Differential Strategy of Cultural Resource Development in Jung-Won Cultural Region)

  • 예경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32-150
    • /
    • 2004
  • 지역의 문화적 특성에 따라서 중원문화권은 충주문화권, 청주문화권, 점이문화권 등의 3대 문화권으로 구분하고 이것을 다시 10개의 아문화권으로 구분할 수 있다. 충청북도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러한 아문화권의 문화적 특성을 상징하고 있는 다음과 같은 핵심적인 상징적 문화재의 이미지를 강화하는 문화재를 집중적으로 개발하는 전략으로 특화된 새로운 지역문화를 창출할 수 있다: (1) 충주권: 역사 문화권(탑평리 7층 석탑), (2) 제천권: 의병문화권(의병장 유인석), (3) 단양권: 고구려 문화권(온달산성), (4) 청주권: 교육 문화권(직지와 철당간), (5) 보은권. 불교문화권(속리산 법주사), (6) 옥천권: 나제문화권(나제전투), (7) 영동권: 삼도통합 문화권(삼도봉의 삼도 대화합비), (8) 음성권: 선비정신 문화권(무극 6.25 사변 전적비), (9) 괴산권: 유교문화권(우암 송시열, (10) 진천권: 삼국통일 정신문화권(김유신 장군).

  • PDF

전통 패션 기반 현대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문화적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 일본, 벨기에 브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ltural sustainability of contemporary fashion brands based on traditional fashion- Focusing on Korea, Japan, and Belgian brands -)

  • 최유리;마진주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6호
    • /
    • pp.828-84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odern fashion brands practice cultural sustainability by investigating the ways they use and reinterpret traditional culture and clothing. The transmission and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connect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hese forces also lead to the development of new creativity in the fashion industry. Three brands have been selected for case studies: Danha (Korea), Mittan (Japan), and Jan Jan Van Essche (Belgium). These brands possess in-depth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including clothing, dyeing techniques, and patterns unique to various regions and minority groups. The brands all make use of traditional cultural identities whose clothing contains the historical and sentimental values of various regions and ethnic groups. The use and mixing of various cultures can be seen as the respectful preservation of global culture. Also, in contemporary fashion, the use of traditional cult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esentation and development of creative designs. The use of traditional handicraft techniques and the use of traditional clothing in the past convey cultural diversity to future generations; they will have a lasting influence on future fashion trend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cultural sustainability in contemporary fashion has been implemented through safeguarding and respecting indigenous cultures and developing cultural elements into creative design.

문화상품 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 문화요인에 대한 컨셉 디자인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Cultural Product Design Development -Case Study on Concept Design Development from the Cultural Factors of Gwang-Ju)

  • 김혜숙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299-308
    • /
    • 2002
  • Along with the increasing social concern on cultural products and corresponding policy development by government many domestic regions have been trying to establish their own cultural identity. Based on the case stuffy for Gwang-Ju, this paper provides a methodology of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from the unique regional resource. Its scope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lread-developed, regional character and regional theme products. For this purpose, marketing strategies were established for quality improvement and promotion of cultural products through analysis on the current products including a questionnaire to customers. Then, conceptual designs for each scope were developed through the five steps of "selection of items", "target customer analysis", "concept establishment", "extraction of cultural factos7" and "derivation of conceptual design". The concept establishment was based on the express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the harmony of tradition and modernity, symbolization of images and so on. The cultural factors taken into account included the natural resources, historical heritages and landmarks. Finally, several examines of the conceptual designs were illustrated for commercial products. This study could be extended further in the future by introducing potential immaterial resources into the cultural factors.

  • PDF

일제강점기 대만(臺灣)의 문화재 제도화 과정과 조선 비교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Cultural Property in Taiwan and Comparison of Joseon)

  • 오춘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1권4호
    • /
    • pp.254-275
    • /
    • 2018
  • 대만과 한국은 일본에 의한 식민지 지배라는 공통의 기억을 가지고 있는 나라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식민지 시기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이 두 나라는 좋은 비교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대만과 조선의 문화재 제도 분야의 비교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법제도적 측면으로 보면 대만에서는 일본의 내지연장주의가 어느 정도 반영되었다. 이에 따라 대만의"사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법시행규칙(이하 시행규칙)"은 일본의 법에 종속적이었고, 조선의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이하 보존령)"은 대만보다는 독립적이었다. 그러나 이 두 차이를 일본의 압제 수준의 차별로 등치시키기는 어렵다. 둘째, 조선의 "보존령"제정에는 일본에서 공포되었던 관련 법령들이 참고되었으나, 대만의 "시행규칙"도 참고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조선의 "보존령"을 제정할 때에는 일본과 대만의 문화재에 관련된 모든 법령을 참고하였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셋째, 문화재 지정 수량과 내용에서 대만과 조선의 차이가 컸다. 대만과 조선의 지정 수량 차이는 두 지역 간의 전통문화자원의 차이가 가장 크며, 이에 따라 조선에서 지정된 문화재가 대만보다 14배 정도 많았다. 그리고 대만의 사적 중 절반 가까이는 일본 지배세력의 흔적들이었던데 비해, 조선에서 지정된 고적 중에는 일본 지배세력들의 흔적이 거의 없었다. 이는 두 지역 통치세력이 문화재에 대해 가졌던 시각의 차이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Tabriz on the Silk Roads: Thirteenth-Century Eurasian Cultural Connections

  • Prazniak, Roxann
    •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 /
    • 제1권2호
    • /
    • pp.169-188
    • /
    • 2013
  • Tabriz under Mongol Ilkhanate rule commanded a global reach in the thirteenth-century Afro-Eurasian world. Tabriz functioned during this period not only as a commercial emporium and diplomatic center but as a seat of innovative artistic and intellectual activity. Consideration of Tabriz as a world historical city offers insight into the economic and social dynamics that shaped a critical passage in Eurasia's history including regions of the Mediterranean and East Asian z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