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Placeness in Public Sculptures of Chinese Historical and Cultural Cities

중국 역사문화도시의 공공조형물에서 나타나는 표현 특성과 장소성 연구

  • 이지엔화 (동서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박사과정) ;
  • 윤지영 (동서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교수) ;
  • 왕단 (동서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박사과정)
  • Received : 2020.08.26
  • Accepted : 2020.10.13
  • Published : 2020.10.28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public sculptures in Chinese historical and cultural cities, and explore how public sculptures can effectively intervene in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to show their placeness. In addition, this research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the place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of public sculptures. First, the theoretical basis was provided b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historical and cultural city and the concept of Placeness. Second, the related literature and cases were summarized to analyz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public sculptures, and the eight factors most related to the place-related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through the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from 10 experts. Third, as a case analysis, this study selected 60 cases from 7 magazines with the highest publication volume among public sculptures in China's representative cities, Shanghai, Beijing, and Guangzhou, and finally 15 public sculptures were selected through expert selection. In general, Whether to explore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or the city's modern humanistic atmosphere, the public sculptures of the three cities all reflect different places.It is the development trend of public sculpture to combine the artistic originality and interaction with the public brought by unique advanced technology, and use the unique historical and human elements of the city to create places that are different from other regions.

본 연구는 중국 역사문화도시의 현대 공공조형물의 표현 특성을 분석, 공공조형물이 어떻게 효율적으로 역사 문화 요소에 개입하여, 장소성을 표출할 수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함으로서 공공조형물이 지닌 장소적 의미와 적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첫째, 문헌고찰로 역사 문화 도시의 개념, 장소성의 개념 등을 이해하여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둘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공공조형물의 표현특성을 분석하며 10명의 조형 및 디자인 전문가로부터 특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장소성과 관련이 가장 많은 8개 요소를 선정하였다. 셋째, 사례분석으로 중국의 대표적인 도시인 상해, 북경, 광주의 공공조형물 중 발행량이 가장 많은 7개 잡지에서 60개 사례를 선정하여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최종 15개 공공조형물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역사 문화 요소의 발굴이나 도시 현대 인문 정취를 표현함에 있어서 세 도시의 공공 조형물 모두 각기 다른 장소성을 구현하였다. 독자적인 선진 기술이 가져온 예술적 독창성과 대중과의 상호작용을 결합하여 도시만의 독특한 역사 인문적 요소를 활용하여 다른 지역과 다른 장소를 만들어내는 것이 공공 조형물의 발전 추세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슬기, 시공간 영역의 공공미술 연구- 현대 공공미술의 장르 다각화와 행정체제의 변화 분석,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 2014.
  2. 강산, 중국 현대 공공조형물의 전개와 조망, 원광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 2019.
  3. 류선정, 안동만, 대구광역시 공공조형물에 대한 평가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7, 2013.
  4. 김란경, 공공조형물에 대한 방문동기가관광지 소성형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종로구.중구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0, 2020.
  5. Malcolm Miles, 박삼철, 미술, 공간, 도시: 공공미술과 도시의 미래, 단행본(다권본), 서울: 학고재, p.2, 2000.
  6. 권윤구, 도시 가로의 장소성 형성 구조와 의미- 혼합연구방법을 통한 인사동과 대학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5, 2013.
  7. 심현섭, 상호소통과 공동체적 방법론에 의한 공공미술,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예술학과, 박사학위논문, p.6, 2016.
  8. 刘宝玉, 论历史文化名城的公共艺术设计, 景德镇陶瓷大学, 硕士论文, p.6, 2008.
  9. 류유희, '장소정체성'을 위한 공공캐릭터의 가치 연구-새로운 장르 공공미술(New Genre Public Art)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7, 2020.
  10. 이석환, 황기원,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32권, 제5호, p.175, 1997.
  11. 권윤구, 도시 가로의 장소성 형성 구조와 의미- 혼합연구방법을 통한 인사동과 대학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5, 2013.
  12. 강산, 중국 현대 공공조형물의 전개와 조망, 원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3. 武定宇, 演变与建构: 1949年以来的中国公共艺术发展历程研究, 中国艺术研究院, 博士论文, 2017.
  14. 양석, 공공미술을 통한 도시 활성화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5. 刘兴山, 上海外滩城市公共雕塑的演变研究, 上海大学, 博士论文, 2019.
  16. 이슬기, 시공간 영역의 공공미술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7. 류유희, 장소정체성을 위한 공공캐릭터의 가치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18. 송천, Placemaking을 위한 공공미술-프로젝트의 방안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9. 胡哲, China Urban Public Art Planning Working Framwork and Planning Content, 华中科技大学, 博士论文, 2012.
  20. 赵雅丽, <前线>杂志, 中共北京市委主管主办, 2018年 第03期, 2018.
  21. 吴士新, 走向公共空间的艺术, 北京九州出版社, p.28, 2017.
  22. 郭公民, 介入公共领域的审美交流, 上海城市公共艺术, 上海社会科学出版社, p.20, 2017.
  23. 왕스타, 진수명, 왕융핑, 광주시 사회과학연합회 이론 보급 도서 편찬 프로젝트, p.38,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