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rical Development of Education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23초

『동광』에 비친 1950-70년대 한국 아동복지의 전개 - 사회사 관점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Child Welfare between 1950s and 1970s in the Light of Children's Light -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ocial History -)

  • 최옥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1호
    • /
    • pp.9-32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1950-70년대 한국 아동복지의 전개 상황을 "동광"이라는 한국 최초의 아동복지전문지를 통해 사회사 관점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즉 기독교아동복리회 한국연합회가 1957년부터 1979년까지 발행한 "동광"으로부터 의미 있는 주제를 이끌어내어 사회사 관점으로 해석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시설중심구호 시기(1957-61)에는 사회편견 속의 고아양육, 외원과 기독교에 치우친 사회사업, 신앙에 기반한 시설중심 케이스워크로 드러났다. 둘째, 가정중심보호 시기(1962-69)에는 사회복지 전반을 고민하며 제도화의 발돋움, 사회사업의 전문성 대두, 시설의 아동과 종사자를 위한 과제, 아동을 위한 실천의 통합화 기대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확대 시기(1970-79)에는 아동의 교육 및 보건 강화, 탈시설화의 거론, 외원기관의 철수 대비, 정부의 소극적 대응으로 분석되었다.

  • PDF

유교경전교육(儒敎經典敎育)을 위한 반성적(反省的) 고찰(考察) (A reflection on the education of Confucian classics)

  • 진성수
    • 한국철학논집
    • /
    • 제25호
    • /
    • pp.223-249
    • /
    • 2009
  • 본고는 유교경전교육의 올바른 방향설정을 위한 기초적인 작업으로서 유교경전교육의 필요성이 과연 당위적인 것인가, 혹은 자연적인 것인가를 규명하기 위해 역사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즉 동아시아에서 경전(經典)의 의미, 중국문화의 경전화(經典化) 과정을 살펴보고, 경전화(經典化)의 문화적 의미를 검토하였다. 또한 한국 유교경전교육의 역사적 전개과정 및 현대사회에서 유교경전교육의 의미와 두 가지 딜레마에 관해 살펴보았다. 끝으로 유교의 핵심윤리인 오륜(五倫)의 범위를 벗어나 새로운 가치를 발굴해야 하는 정당성 및 유교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의의, 그리고 유교경전교육의 반성적 고찰의 의미에 관해 살펴보았으며, 아울러 새로운 유교경전교육 컨텐츠 개발을 위해 세 가지 주제에 관한 기존의 접근 방법과 새로운 적용 방안을 제언형식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최초의 유교경전이 선험적(先驗的)으로 결정되지 않았듯이 현대의 유교경전에 대한 이해 역시 철저한 검토 종합 반성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체계로 이해 및 재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현대사회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서 관련 컨텐츠의 개발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에 맞는 가치들을 발굴 계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여기에서 절대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것이 바로 유교경전교육에 대한 유용성[효과]에 대한 면밀한 검토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유교경전교육 컨텐츠에 대한 엄정한 선별작업이 필요하며, 아울러 이에 대한 현대적 재해석과 현대사회에서 기능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적 요소들을 찾아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현실적 효용과 미래적 전망을 내놓지 못한 어떠한 사상이나 문명은 언제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기 때문이다. 바로 이러한 일련의 문제들이 현대 유교경전교육의 반성적 고찰이 필요한 이유가 될 것이다.

간호협회지를 통해 본 보수교육의 역사적 경향 1962년 ~ 1995년 (A Study of Trends in Continuing Education Published in the Korean Nurse)

  • 신성례;김경선;이숙
    • 대한간호
    • /
    • 제35권2호
    • /
    • pp.52-70
    • /
    • 1996
  • This historical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and categorize the titles which were presented in the journal, The Korean Nurse, from August 1962 to October 1995. Titles which were published with the purpose of educating graduate nurses and to update 0 their nursing knowledge to improve professional practice were included. There were 348 articles published from the beginning of publication in August, 1962 to October, 1995. All of the journals were reviewed except nine missing journals which were not available in any libra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cles in the periodical, the articles we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In each of the three peroids there were five categories: Subject, Clinical Practice, Fundamentals of Nursing Science, Nursing Administration, Others. These categories were adopted from Kim's(1994) division system which was developed to analyze nurse's insurance education program. The special feature peroid was from August, 1962 to December, 1974. In this period the articles were presented in an unorganized manner in the area of special feature or main issue. The largest area was the subject category(44%). The second largest area wes the fundamental of nursing science category(31%). From May, 1975 to December, 1977, the articles with the educational purposes were published in a designated area called continuing education. This period was labelled as the continuing education period. Among the published articles in this period, 45% focused on the subject category and 45% on the fundamentals of nursing science category. In this period the articles were focusing on nurses 'work in specific areas such as industry, nurses' aid schools, and nursing administration, articles on physical assessment first started to appear. The written continuing education period was from January 1978 to October, 1995. All the educational articles published in this area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five areas as for the other periods. 48% of the articles focused on the subject category. In the mid-eighties, the term nurse specialist first.appeared and ten years later in 1990, the titles were subdivided into more specific titles, such as, home nursing, industrial nursing, emergency nursing, 23% were in the fundamental nursing science category and they dealt with nursing process, nursing theories, theory development. For the content analysis, three articles, one from each period, dealing with cardiovscular diseases were selected for comparsion. First, the special feature period, the title of the article was on diet therapy for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s, but instead the content was about rest, hygiene, medication, observation. They recommended rings to prevent bed sores, which is now considered as a cause for bed sores. In the continuing education period, the content was more focused on rehabilitation rather than general nursing .care. It became more specific, systematic, and organized compared with the special feature period. In the written continuing education period, the focus was on rehabilitation, not broadly, but very specifically on exercise. The further research on the content analysis is recommended along with a comparison of the trends in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 PDF

현행 고등학교 교과서 "미술과 생활" 의 디자인 교육 내용 분석 (The analysis of design education in "Arts & Life")

  • 이지수;정은숙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221-230
    • /
    • 2004
  • 전인 교육 차원으로 예술과 기술의 발전적인 접점을 찾게 하는 디자인 교육은 변화하는 세상을 적극적이고 주체적으로 살게 하는 적절하고도 핵심적인 교육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재정의 되고 있는 디자인이 어떻게 학습되어 지고 있는 가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제7차 교육 과정의 교과 재량활동 일환으로서 미술과 생활 교과목에 포함되어 있는 디자인 교육내용에 대한 분석과 현황을 논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정된 미술과 교육 과정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디자인 교육에 대한 이해도 함께 고찰한다. 아울러, 현행 고등학교 미술과 생활 5종 교과서의 편찬 실태를 조사하고 다음으로 교과서의 디자인 교육 내용 분석을 통하여 디자인 교육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과 범위 그리고 도판의 현황을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외 고등학교 미술과 디자인 교육 과정 비교 분석으로 현행의 미술과 교육 내에서의 디자인 교육의 문제점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교과서 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 디자인 영역 학습 내용의 불균형이 분석되었으며, 시각 디자인 전공자들로만 구성된 대부분의 교과서에서는 제품 디자인과 환경 디자인 학습이 현저히 부족하였다. 또한, 공예 학습 영역에서는 5종 교과서 모두 현대 공예를 제외시켜 전통 공예에만 편중된 교과 내용과 도판의 구성되어 있다. 도판 분석에 대한 결과는 학습 내용의 분포와 같이 시각디자인 내용 위주의 도판이 수록이 되어 있었으며, 출판사별 도판의 수량도 4배 이상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더불어 디자인 영역은 미술 감상, 미술 이해, 미술창작 영역에서 미술 창작 단원에만 집중하고 있어 디자인의 기능과 역할을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한편 과거 우리나라 미술 교육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던 미국, 일본, 디자인 교육 과정을 비교해본 결과 실생활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의 이해와 감성적인 접근 학습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표현 학습에서도 재료의 특성을 살리면서 창의력 신장 내용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시각적 촉각적 특성에 대한 디자인 미적 의식 확장을 고려하여 교과서 학습 내용이 구성되어 있었다. 제 7 차 교육 과정에서 교과서란 교육 과정의 구현을 위한 다양한 자료중의 하나이다. 창의력, 사고력을 배양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 사례가 제시되고, 주제와 성격에 따라 전개 체제가 제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교과서 제작에 들어가기에 앞서 전인 교육과 체험 교과라는 점에서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연구 과정과 실험을 통해 디자인 학습 내용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과학에 관련된 위험 인식과 대응의 역사와 특징 -혈압을 중심으로-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Risk Perception and Response Related to Science: Focused on Blood Pressure)

  • 장원빈;김민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49-562
    • /
    • 2023
  • 최근 사회는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인간이 생산하는 다양한 위험이 확산되는 VUCA 시대에 접어들었다. 시민들의 위험 소양 수준을 높여 이러한 위험에 대응할 수 있는 일상적인 대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위험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과학 교육의 역할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이에 위험 사회에서 과학 교육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과학과 관련된 위험 인식과 위험 대응의 역사를 검토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혈압으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에 대한 인식과 대응을 세 가지 맥락(역사적 맥락, 교육과정 맥락, 교과서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역사적 맥락은 심혈관계 지식의 역사와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진 학술지 중 SCIE에 등재된 학술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학술지에서 'Hypertenstion', 'History'라는 키워드로 논문을 선정하였고, 이를 시대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맥락은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 분석하였고, 혈압과 관련한 내용요소, 그리고 성취기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제1차부터 제6차 교육과정까지는 혈압으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이 제시되지 않았고, 제7차 교육과정부터 혈압으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과서 맥락은 제7차 교육과정 생물Ⅰ, 2015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Ⅰ 과 보건을 선정하여 텍스트 추출을 통해 교과목을 대표하는 키워드를 선정하였다. 이 키워드를 바탕으로 위험 인식과 위험 대응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과서에서 제시된 자료들을 분석하여 위험 인식과 위험 대응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과학 교육에서 위험 인식과 위험 대응의 역할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우리 나라 서해안(西海岸)의 수산업(水產業) 및 수산교육기관(水產敎育機關)의 변천과정(變遷過程)에 관한 사적(史的) 고찰(考察) (고군산(古群山) 군도(群島)의 인접지역(隣接地域)을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Transition Process of Fisheries Industry, Fisheries Institute of West Coast of Korea (Around the Gogunsan Islands and adjacent Area))

  • 이길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1권1호
    • /
    • pp.24-42
    • /
    • 1999
  • I have studied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fisheries industries, fisheries Institute in abreast of developing fisheries industries of west coast of Korea since 1910 year with regard to the Gogunsan I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In 1910 year, fishery industry has been carried out shifting fishing gear e.g set-net in shallow waters, small stow net, small seine net adapting to the tophorgrapical feature, shape of coast, oceanic condition, however, the fishing gear and fishing method were undeveloped, so that, Japanese fishermen had been exploited fisheries resources penetrating the fishing ground. Most important species were lot of captured croaker, cod, spanish mackeral, sea abream, herring in coastal sea. nowaday, squid, anchovy, shrimp, crab, pompret were much captured. The species were captured in 18 century were not captured. It is rarely than that period. Fishereis aquatic culture had been not farmed till 1960 year, but sea laver, shrimp, crab, had been breeded 1970 year also, the fresh water fish e.g. eel, cat-fish had been breeded activately. The fisheries processing industry were composed of salt. icing, dry, method. the salted fish industry had been prevailed at Gangyng, Kwangchon, Kunsan, Julpo comparatively. The fisheries institute had been established at Kunsan at first, but institute established in other region had been abolished in a short time. This phenomenon was related with development of fisheries resources. The western coast fisheries industries had been wasted of decreasing of fisheries resources, variation of environment. Accordingly, the study of preserving the marine resources. educated man power who engaged in fisheries field have to accomplish. Sea was dying with reason of loss of mud in west coast factory waste, waste of life the increase of accident of sea polluted, each illegal fishing industry physical and chemical reason etc. in this respect, Kusan maritime college, fisheries developing agency, institute have to take important role for developing fishing industry.

  • PDF

유추 사고과정 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a Model for the Process of Analogical Reasoning)

  • 최남광;류희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103-124
    • /
    • 2014
  • 기존의 문제해결 유추(Problem Solving Analogies)의 사고과정은 표상, 접근, 사상, 적용, 학습의 5단계로 요약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인 문제해결 유추의 사고과정을 토대로 수학교육이라는 특수성이 반영된 '유추 사고과정 모델'을 개발하여 궁극적으로 학생들이 더 많이 유추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데 있다. 모델의 개발과정은 먼저 Euler가 유추를 사용해 수학적 발견을 시도한 역사적인 사례를 분석하여 가설적 유추 사고과정 모델(초안)을 설계한 후, 연구자가 고안한 유추과제 즉, 피타고라스 정리의 증명을 유추적으로 연결시켜 코사인법칙을 증명하는 과제를 수학영재들로 하여금 해결하도록 하고, 그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사고과정의 특성을 반영하여 모델을 2차에 걸쳐 수정 보완하였으며, 교육적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중등 과학교과서에서 사용된 염분 단위 분석 및 단위 개정을 위한 제안 (Analyses of Salinity Unit i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 and Suggestion for Its Correction)

  • 박경애;최지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13-526
    • /
    • 2009
  • 해양 염분의 단위가 퍼밀(%o)에서 다른 단위로 바뀐 지 오랜 세월이 지났다. 하지만 우리나라 중학교, 고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는 여전히 오래 전에 정의한 염분 단위인 퍼밀(%o)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염분단위의 변화와 측정 기술에 대한 역사적 발달 과정을 개괄적으로 다루고, 염분 단위들 사이의 차이를 제시하며, 그리고 교과서에서의 염분 단위 수정에 대한 필요성과 타당성을 강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제 7차 교육과정에 기초한 27종의 중등 과학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염분 단위의 표현, 염분의 정의들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는 1967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해양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에서 사용하고 있는 염분 단위 사용의 빈도수와 비교하였다. %o 사용의 백분율은 교과서 본문에서 96.3%, 그림과 표에서 83.8%에 달하였다. 이에 반해 과학적 논문들은 1994년부터 psu를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2004년 이후로는 %o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었다.

일본(日本)의 어업관리제도(漁業管理制度)에 관한 법적 고찰 (A Legal Study on the Fisheries Management System in Japan)

  • 차철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9권2호
    • /
    • pp.121-148
    • /
    • 1997
  • The Japanese fishery management system has been established on the basis of various experience accumulated over many years. The fishery management system in Japan, one of the oldest fishery management systems in the world, is aimed at ensuring comprehensive utilization of the water surface and developing fishery productivity, by giving protection of the breeding environment of aquatic animals and plants, enabling the appropriate use of fishery grounds, preventing and solving disputes over fishery grounds and making other fishery adjustments. Japanese Fishery Law has been changed largely into (1) The Feudal Era(to 1900), (2) The Oldest Fishey Law(1901~48), (3) Current Fishery Law(1949 to present). Japanese fishery legislation is designed as a single package combining coastal, offshore and distant-water fisheries. During the period of the old fishery law, numerous conflicts arose over the joint use of fishing grounds and fish stocks. Such conflicts occurred among users of the same gear as well as between users of different gears or of different sizes of fishing craft. Large scale conflict sometime occurred between neighbouring fishing communities due to a lack of fairness in principle and coordination in practice. Therefore, the new fishery law enacted in 1949. This law was designed primarily to realize the most effective and rational use of fishing grounds and fishery resources, the basic philosophy being that, through democratic organization by fishermen themselves, productivity would be stimulated and incomes and living standards eventually improved. Nowadays, Community Based Fisheries Management through democratic organization by fishermen themselves have to enforce at coastal fisheries. This Community Based Fisheries Management manage to fishery resources by fishermen themselves and harvest in collaboration with that resources. Therefore, this paper is intended to briefly to describe the entire system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Japanese fishery legislation in order to assist in reform of our country fisheries management regime.

  • PDF

독일 디자인 이미지 형성에서의 산업디자인 기초 과정의 역할에 관한 고찰 (The role of foundation courses in industrial design in formation of german design image)

  • 윤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99-207
    • /
    • 1998
  • 지금의 독일 디자인이 지니고 있는 이미지 형성에 있어 바우하우스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독일의 산업 디자인 기초 교육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현 시대가 요구하고 있는 산업디자인 기초 교육과정에서는 조형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은 물론이고, 과학과 문화의 통합적 개념에서 산업디자인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 산업디자인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조형대학의 시대적 설립배경을 분석하여, 독일 조형대학들간의 기본적인 산업디자인 기초 교육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바우하우스, 울름 조형대학과 현재의 독일 조형대학에서의 산업디자인 기초 교육과정의 결과물과 독일 디자인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제품의 조형적 의미를 비교 분석하여 디자인 기초 교육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우리의 산업디자인 기초 교육과정을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