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Child Welfare between 1950s and 1970s in the Light of Children's Light -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ocial History -

『동광』에 비친 1950-70년대 한국 아동복지의 전개 - 사회사 관점 중심으로 -

  • Received : 2016.09.28
  • Accepted : 2016.11.28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development of Korean child welfare between 1950s and 1970s in the light of Children's Light as the oldest profess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in Korea. This journal had been published by CCF Superintendent Korea Conference from 1957. Particularly,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hrough the social historical perspective,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by three periods, institution-centered care era(1957-1961), home-centered care era(1962-1969), and expanded services era(1970-1979). Finally, the resultant themes are as follows: firstly, orphans' forster under social prejudice, social work inclined to Christianity, and institution-centered social casework based on faith; secondly, development of systematization on the whole social welfare, rising of social work professionalism, tasks for orphans and workers in orphanages, and expectations on the integration of practice; and thirdly, strengthening of children's education and health in the institution, questioning on deinstitutionalization, preparation against withdrawal of foreign aid agencies, and the government's passive correspondence. Unfortunately, this study limits to reveal the children's services by non-Christian agencies because of the data based on the services by Christian agencies.

이 연구의 목적은 1950-70년대 한국 아동복지의 전개 상황을 "동광"이라는 한국 최초의 아동복지전문지를 통해 사회사 관점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즉 기독교아동복리회 한국연합회가 1957년부터 1979년까지 발행한 "동광"으로부터 의미 있는 주제를 이끌어내어 사회사 관점으로 해석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시설중심구호 시기(1957-61)에는 사회편견 속의 고아양육, 외원과 기독교에 치우친 사회사업, 신앙에 기반한 시설중심 케이스워크로 드러났다. 둘째, 가정중심보호 시기(1962-69)에는 사회복지 전반을 고민하며 제도화의 발돋움, 사회사업의 전문성 대두, 시설의 아동과 종사자를 위한 과제, 아동을 위한 실천의 통합화 기대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확대 시기(1970-79)에는 아동의 교육 및 보건 강화, 탈시설화의 거론, 외원기관의 철수 대비, 정부의 소극적 대응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욱.문영희, 2011, 아동학대: 법과 제도, 서울: 청목출판사.
  2. 강만춘, 1961, "사회사업법에 대한 소고", 동광 5(1): 26-34.
  3. 강만춘, 1963a, "사회사업가의 윤리문제; 사회사업가 윤리강령의 제정을 촉구하면서", 동광 7(1): 18-22.
  4. 강만춘, 1963b, "사회사업과 세대교체적부론", 동광 7(4): 22-26(36).
  5. 공계순.박현선.오승환.이상균.이현주, 2008, 아동복지론(3판), 서울: 학지사.
  6. 구자헌, 1961, "아동복지시책 제언", 동광 5(1): 20-25.
  7. 구자헌, 1964, "시설직원현직훈련의 지도방법", 동광 8(1): 29-35(42).
  8. 구자헌, 1984, 한국사회복지사(재판), 서울: 홍익재.
  9. 권순영, 1963b, "보육원아와 비행소년", 동광7(1): 29-31(37).
  10. 권오구, 1977, "국가발전과 사회개발: 경제개발과 사회개발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중심으로", 동광 20(2): 28-35.
  11. 권오구, 1982, "아동복지사상의 변천과정과 우리나라 아동복지법에 대한 개황", 동광 79: 4-17.
  12. 고흥화, 1973, "아동기에 있어서의 성교육", 동광 17(1): 10-17.
  13. 김남수, 1957, "케-스 워크의 의의", 동광 1(4): 65-66.
  14. 김기윤, 1961, "우리나라 농촌사회사업의 근본책", 동광 5(1): 36-40.
  15. 김덕준, 1963, "지역사회조직사업가의 일은 무엇인가(하)", 동광 7(1): 12-19.
  16. 김덕준, 1972, "가족복지사업에 대한 소고", 동광 16(1): 8-14.
  17. 김득봉, 1957, "시설출신 고아의 직업간섭과 보호문제", 동광 1(2): 20-25.
  18. 김득봉, 1961, "사회사엄과 우리의 태도", 동광 5(1): 14-19.
  19. 김득봉, 1962, "시설수용아동의 사후조치문제", 동광 6(1): 14-20.
  20. 김만두, 1963, "사회사업가의 윤리적 규정(미국편 소개)", 동광 7(1): 23-28.
  21. 김만두, 1964, "기아의 주변: 병원사회사업실을 통해본", 동광 8(2): 27-33.
  22. 김명우, 1963, "양연사업과 '케이스 웤 써-비스'", 동광 7(2): 48-53.
  23. 김병익, 2005, 그래도 문학이 있어야 할 이유, 서울: 문학과지성사.
  24. 김소진, 2002, 장석조네 사람들, 경기 파주: 문학동네.
  25. 김영수, 1966, "부랑아의 실태와 사회의 무관심", 동광 10(1): 10-15.
  26. 김영자, 1972, "아동복지의 방향", 동광 16(2): 5-10.
  27. 김영호, 2011, 한국사연표사전, 서울: 문예마당.
  28. 김융일, 1977, "아동복지를 위한 지역사회 자원활용방안", 동광 20(2): 10-16.
  29. 김정, 1979, "어린이 그림은 무엇인가?", 동광 74: 34-39.
  30. 김중대, 1988, 아동복지론(개정판), 서울: 형설출판사.
  31. 김치수, 1991, 공감의 비평을 위하여, 서울: 문학과지성사.
  32. 김필동, 1995, "서장 '한국 사회사'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신용하.박명규.김필동 편, 한국 사회사의 이해, 서울: 문학과지성사, 13-38.
  33. 김학묵, 1964, "R형에게 드리는 글", 동광 8(2): 5-9.
  34. 김현용, 1997, "제1부 사회 변화와 아동복지", 김현용.윤현숙.노혜련.김연옥.최균.이배근, 현대 사회와 아동, 서울: 소화, 11-81.
  35. 김형태, 1969, "육아시설에서의 기독교 교육", 동광 13(3): 6-11.
  36. 김홍우, 1999, 현상학과 정치철학, 서울: 문학과지성사.
  37. 노원혜, 1970, "유아의 지성 교육: 피아제 박사의 새 이론", 동광 14(1): 21-26.
  38. 노창섭, 1963, "한국사회사업의 철학적 모색과 그 문제점", 동광 7(3): 7-11.
  39. 다할편집실 편, 2008, 한국사연표(개정판), 서울: 다할미디어.
  40. 민경배, 2001, 월드비전 한국 50년운동사(1950-2000), 서울: 홍익재.
  41. 민은식, 1978, "심신장애아 시설복지의 전문화 대책", 동광 73: 16-21.
  42. 박석돈 외. 2009. 사회복지법제론, 경기 파주: 양서원.
  43. 박완숙, 1973, "당면한 난제들에 대하여", 동광 17(4): 8-12.
  44. 백근칠.이신복, 1963, "가정 및 아동복지종사자 훈련회의참관기", 동광 7(1): 7-11.
  45. 보건복지70년사편찬위원회, 2015, 보건복지 70년사, 세종시: 보건복지부.
  46. 사태현, 1957, "시설아동과 취학문제", 동광 1(1): 16-18.
  47. 성영혜, 1984, 아동복지론, 서울: 학문사.
  48. 셜리 프레즐러, 1969, "어린이 성경 공과 교수법", 동광 13(4): 5-12.
  49. 송윤구 역, 1974, 육아원에 관한 낡은 생각들, George C. Doepp, Popular Myths about Children's Homes, 기독교 아동복리회 한국지부.
  50. 송주미.성영혜, 1999, "한국 아동복지관의 변천과정 연구: 정책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4(2): 1-25.
  51. 안음전, 1971, "제1회 자선바자회를 마련하면서", 동광 15(1): 3-4.
  52. 엄석진, 2011, "1970년대 농촌 새마을운동의 재조명: '좋은 거버넌스' 특성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457-485.
  53. 오정수.정익중, 2008, 아동복지론, 서울: 학지사.
  54. 우경연, 2013, 아동관련법과 아동복지법 변천사 연구,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5: 1-101.
  55. 유상열, 1960, "연장자사회 진출 문제", 동광 4(2): 11-16(10).
  56. 윤고성, 1960, "사회정책과 사회사업", 동광 14(3): 27-29.
  57. 윤흠, 1965, "외원의 어제와 오늘: 아동복리를 중심한", 동광 9(1): 6-12.
  58. 은영기, 1967, "창간 10주년을 기념함", 동광 11(1): 5-8.
  59. 이광호, 2009, 익명의 사랑, 서울: 문학과지성사.
  60. 이덕주, 1993, 태화기독교사회보지관의 역사1921-1993, 서울: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
  61. 이명원, 2013, 타는 혀(개정판), 서울: 새움출판사.
  62. 이명흥, 1963, "아동복지사업과 가정의 위치", 동광 7(3): 12-16.
  63. 이부자, 1964, "위탁보육사업의 현환", 동광 8(2): 34-39.
  64. 이상로, 1976, "한국의 기능인력수급과 비행청소년문제", 동광 20(1): 10-18.
  65. 이상로, 1978, "근로청소년의 보호 및 대책", 동광 73: 8-15.
  66. 이연형, 1976, "시설아동 오줌싸개(夜尿症)에 관한 소고", 동광 20(1): 43-50.
  67. 이연형, 2013, 기독교아동복리회 한국연합회 60년사, 대전: 기독교아동복리회 한국연합회.
  68. 이영환.김영순, 2001, "한국 사회복지 발달에 대한 계급정치적 고찰", 상황과 복지 9: 249-302.
  69. 이예숙, 1971, "아동시설에 있어서의 환경위생 및 환절기 안전", 동광 15(1): 19-23.
  70. 이우태, 2014, "한미동맹과 한반도 통일", 한국정치정보학회 학술회의 자료집: 21-29.
  71. 이원교, 1966, "입시지옥으로부터 어린이를 해방하라", 동광 10(3): 12-17.
  72. 이정호, 1977, "사회복지요원훈련에 관한 소고", 동광 71호: 14-24.
  73. 이진삼, 1968, "기독교 아동복리회 산하 시설의 아동 양육에 대한 문제점", 동광 12(4): 11-17.
  74. 이태영, 1975, "80년대를 향한 아동복지사업", 동광 19(2): 23-27.
  75. 이혜경, 1992, "경제성장과 아동복지: 한국 아동복지정책의 변용을 중심으로", 신학논단 20: 247-278.
  76. 임영숙, 1971, "소아정신위생", 동광 15(4): 30-34.
  77. 장규식, 1966, "직업교육의 현황과 전망", 동광 10(1): 4-9.
  78. 장인협, 1986, 사회복지학개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79. 장인협.오정수, 1999, 아동.청소년복지론(개정판),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80. 장평순, 1998a, 눈으로 보는 한국역사16, 서울: (주)교원.
  81. 장평순, 1998b, 눈으로 보는 한국역사17, 서울: (주)교원.
  82. 전성태, 2010, 전성태가 주운 이야기, 성태 망태 부리붕태, 서울: 좋은생각.
  83. 전용신, 1970, "수용 아동에 대한 지능검사: 고대-비네 검사를 중심으로", 동광 14(3): 10-15.
  84. 정주영, 1997, 아동복지편람, 서울: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85. 정희경, 1963a, "보육시설의 인간관계: 어린이의 복지를 중심으로 한", 동광 7(2): 40-44.
  86. 정희경, 1963b, "보육시설에 있어서의 카운슬링의 방향", 동광 7(1): 32-37.
  87. 조규선, 1963, "집단사회사업과 성격교육", 동광 7(2): 34-39.
  88. 조효섭, 1963, "시설아동을 위한 여가지도; '놀이'의 발달심리", 동광 7(1): 38-42.
  89. 조휘일.김선희.권순미.김정희.최원희, 2008, 사회복지실천론, 서울: 서현사.
  90. 진정석, 2002, "지속되는 삶, 끝나지 않은 이야기", 김소진, 장석조네 사람들 263-274.
  91. 차윤근, 1986, CCF 38년사: 사랑은 국경을 넘어, 서울: 한국어린이재단.
  92. 최승석, 1968, "영아원 보모의 문젯점", 동광 12(2): 4-8.
  93. 최옥채, 2013, "일제강점기 농민복리: 사회사 관점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5(2): 287-311.
  94. 최옥채.黑木保博, 2014, "월간복지에 비친 일본 '사회복지'의 변천: '자선'에서 '사회복지'까지 사회사관점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6(2): 203-229.
  95. 최원규, 1996, "외국민간원조단체의 활동과 한국 사회사업 발전에 미친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6. 최유찬, 1991, "1950년대 비평연구", 한국문학연구회편, 1950년대 문학연구, 서울: 평민사.
  97. 최은봉 역, 2014, 근대 일본(신판), Ian Buruma, 2004, Inventing Japan: 1853-1964, 서울: 을유문화사.
  98. 최종도, 1975, "불우아동을 위한 결연사업: 지역사회자원 동원문제에 관련하여", 동광 19(2): 32-38.
  99. 카바40년사편찬위원회, 1995, 외원사회사업기관활동사: 외국민간 원조기관 한국연합회 40년사, 서울: 홍익재.
  100. 하수철, 1965, "탁아사업을 펴면서", 동광 8(3): 21-22.
  101. 하스테틀러, 1963, "거택구호사업을 시작하면서: CCF 사업의 일환으로", 동광 7(1): 4-6.
  102. 한국사회복지협의회 60년사 편찬위원회, 2012, 복지한국을 향한 위대한 여정: 한국사회복지협의회 60년사, 서울: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03. 한영희, 1957, "케이스.워-크를 말함", 동광 1(3): 64-69.
  104. 한이윤, 1963, "아동복리지도원과 아동위원의 지역활동", 동광 7(4): 10-16.
  105. 현외성. 2007, 사회복지법제개설, 경기 고양: 공동체.
  106. 홍재훈, 1970, "어린이 연극 놀이 지도", 동광 14(4): 34-40.
  107. 홍선미.최명민, 2010, "사회복지교육 실태진단 및 사회복지교육의 질관리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11: 1-31.
  108. 홍종옥, 1977, "아동복지정책", 동광 20(1): 4-13.
  109. 동아일보, 1954, "한국사회살업개관: 구각 탈피책을 겸하여", 1954년 10월 17일(칼럼/논단).
  110. 중앙일보, 2014a, "표 되는 무상보육만 관심 … 표 안되는 보육원은 뒷전", 2014년 10월 10일.
  111. 중앙일보, 2014b, "한국 아동복지학 선구자 주정일씨", 2014년 12월 4일.
  112. 중앙일보, 2015, "저출산, 최경환 부총리가 총대 메라", 2015년 3월 16일.
  113. 한겨레, 2015, "빈곤 시절의 상징 '이국 원조 단체법' 52년 만에 폐지", 2015년 2월 12일.
  114. 한국아동복지협회, 2016, "한국아동복지협회 연혁", http://www.adongbokji.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