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rical Development of Education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23초

소규모 유휴시설의 재활용을 통한 공연교육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Performance Education Space Through Recycling of Small Unused Facilities)

  • 윤원덕;임종엽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3-8
    • /
    • 2019
  • Most of the unused facility in urban areas is perceived as an unreasonable space that damages cityscapes. However, unused space has the advantage of having historical value and potential for new development. In consideration of this, various plans have recently been made in terms of cultural use of unused space. The core is the performing arts culture space where various expressions can be expressed. Changes in the educational space that meet the various conditions required in future societies are also one of the topics to be discussed.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performance facilities utilizing the unused space and study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based on performance.

리만기하학에서 구면정리의 발전과 역사 (History and Development of Sphere Theorems in Riemannian Geometry)

  • 조민식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3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어떤 기하학적 양이 핀치되어 있으면 위상적 또는 미분위상적인 구면이 된다는 구면정리의 발전과 역사를 다루었다. 단면곡률의 핀칭과 관련하여, 고전적 핀칭 구면 정리에서 최근에 증명된 기념비적인 미분 핀칭 구면정리로 발전하는 과정의 역사를 기술하였다. 또 직경, 반경, 부피 등과 관련하여 계량불변량 구면정리와 미분 계량불변량 구면정리의 발전의 과정을 소개하였고, 구면정리와 관련된 미해결문제에 대한 역사를 기술하였다.

기록물을 활용한 지역사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 부산광역시 중등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ing Procedures of Archival Contents for Local History Education of Secondary Education in Busan)

  • 도윤지
    • 기록학연구
    • /
    • 제36호
    • /
    • pp.69-119
    • /
    • 2013
  • 1960년대의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출발한 지역사 연구는 국가사 중심의 역사를 지양하고 다양성의 주체인 지역에 주목하였다. 지역화가 사회의 주요한 현상으로 등장하면서 지역사 연구가 활기를 띠고 있으며 이를 문화콘텐츠로 활용하려는 움직임도 활발하다. 이러한 지역사를 콘텐츠화 하는 사업에 비해 지역사 학습이 필요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콘텐츠 개발은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학습의 기본 도구인 기록물(사료)를 활용한 지역사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해외사례분석, 포커스 그룹 인터뷰 등을 통하여 기록물을 활용한 지역사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헌 연구에서는 지역사, 지역사 학습, 교육콘텐츠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고 정리하였다. 해외사례분석에서는 지역사 교육콘텐츠를 활발하게 서비스하고 있는 미국, 영국, 호주의 주립기록보존소들의 지역사 교육콘텐츠를 분석하여 그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들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부산 지역의 중학교 역사 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 지역사 교육콘텐츠 개발에 반영되어야 할 14개의 범주와 35개의 하위범주를 추출하였다. 이론적 토대와 사례분석, 면담을 통하여 지역사 교육콘텐츠의 개발 원칙과 절차를 제안하고 이 절차에 따라 부산의 지역사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1930-50년대 영국의 '과학식민의식' 운동과 L. Hogben의 Science for the Citizen (British movement of 'Science and Citizenship' during the 1930-50s and L. Hogben's Science for the Citizen)

  • 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85-399
    • /
    • 2001
  • 본 연구는 1930-50년대 영국에서 진행되었던 '과학시민의식' 운동의 사회적 맥락과 가치를 과학교육의 역사적 발전과정 및 작금의 STS 운동의 관계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특히 교과서 형태의 과학교재 "시민을 위한 과학"(1938)을 저술하였던 당시의 유명한 생물학자 Lancelot Hogben(1895-1975)의 활동과 사상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20세기 초 이후 당사 영국에서는 학교 과학교육이 과학의 관련성 그리고 산업적 및 인본주의적 측면을 강조함으로써 보다 폭넓은 학생들에게 가르쳐져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어져 가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은 '과학과 시민의식'이라는 명칭의 일련의 강연과 사회주의적 이념을 지니고 있던 일군의 전문 과학자 집단의 활동으로 이어졌다. Hogben은 이 집단의 핵심 일원이었으며 '과학과 시민의식' 강연의 두 번째 강연(제목: 생물교육과 시민의식을 위한 교육)을 담당하였다. 그의 강연과 책자에 나타난 Hogben의 과학교육에 대한 견해의 핵심은 과학교육은 민주사회의 증진을 위해 시민을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어야 하며, 이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 예컨대, 과학의 유용성, 관련성, 역사적, 민주적 측면을 보임으로써 - 과학을 보다 통합적이고 실용적이며 인본주의적 방식으로 교육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본 논문에서는 Hogben의 개인적 생애와 활동에 대한 개요 당시의 사회적 배경, 그리고 향후 계속 연구 과제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Morjorie M. Brown의 가정과 교과과정 모형에 근거한 ‘인간발달과 가족관계’ 영역의 학습지도안 개발 (Lesson Plan Development Based on Marjorie M. Brown’s Home Economics Curriculum Paradiam in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

  • 장혜경;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9-131
    • /
    • 1994
  • This study developed and proposed a lesson plan for the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in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current educational practice in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employed goal and the nature of home economics are neither stated specifically nor closely interrelated. This problem has led us not being able to achieve pursuing go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o employ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In view of this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lesson plan reflecting th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to overcome difficulties and inefficiency in the current practice of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lesson plan was based on the Marjorie M. Brown’s philosophy of home economics which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goal of home economics is to help individuals and families to become autonomous in their own family life and to be more capable of interacting with others in behalf of well-being of the family and of social evolution toward a free society. 2. The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is conceptualized as practical science and personal service profession. 3. the nature of problems which home economics should deal with is perennial and practial. 4. Practial reasoning composed of historical understanding, critical action, and reflective thinking is appropriate for the previously mentioned goal and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and for dealing with perennial practial problems. The lesson plan was proposed for one of perennial problem, “How should we understand, create, and maintain our family culture\ulcorner”by employing practial reasoning and teaching models such as “role play”and “classroom meeting.”

  • PDF

박물관에서의 인문학 연계 교육을 위한 현황 분석 (The Status Quo of Humanities-Based Museum Education Program)

  • 강인애;설연경;이소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611-624
    • /
    • 2015
  • 최근 들어 인문학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인문학에 대한 다양한 정책 모색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함께 인문정신의 가치 확산을 위한 핵심거점으로 박물관의 역할이 대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의 지원 하에 인문학 연계 박물관 교육이 실행되고 있는 박물관을 대상으로, 그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좀 더 발전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인문학과 박물관 교육의 연계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프로그램 분석틀과 설문을 개발하였다. 이후 이것을 2014년 전국의 75개 박물관에서 운영되었던 인문학 연계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과 교육 담장자의 인식현황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박물관 교육에서 인문학적 연계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이해가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교육주제나 교육방법에서, 기존의 박물관 교육프로그램과 차별되는 방향으로서의 선택과 수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인문학적 역량과 사고가 다문화시대라는 특징과 어우러지도록 교육주제가 확장되며, 배움의 실천성을 넓히기 위한 성찰적, 체험적 활동의 도입이 더욱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구글맵 기반 안드로이드 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 개발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haring Application of Android based on the Google Map)

  • 김병수;김종훈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53-158
    • /
    • 2011
  • 최근 교육현장에서 학습에 모바일을 사용하고자 하는 아이디어는 모바일의 이동성, 현장성, 휴대성, 시성, 학습정보 접근의 용이성이라는 장점에서부터 시작된다. 특히 안드로이드폰에서 구글맵 API와 GPS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의 정보(지리 및 문화관련 사진과 텍스트 등)를 공유할 수 있는 본 연구의 애플리케이션은 이러한 장점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이며 교실밖에서, 또 정규수업 이후에도 활용할 수 있어서 지속적인 학습 자원의 관리와 자기 주도적 학습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기에 더욱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The Advantages of Acceptance of Neo-Confucianism during the Joseon Dynasty: South Korea History

  • Hee-Joong Hwang
    • 한류연구
    • /
    • 제3권1호
    • /
    • pp.15-21
    • /
    • 2024
  • Neo-Confucianism fettered the society and the individuals regulating such aspects as roles and relationships within a family, rites, and ceremonies. The mandated practice of filiality challenged the Confucian paradigm of gender relations, exposing women to men and the notion of following elders' instructions, which preserved authoritarian power relations within an ancestral line. This ideological base was beneficial for preserving social stability and integrity and aimed to create a set of ideals and norms that would apply to everyone, thus keeping people together. This conceptual investigation aims to identify the benefits of accepting Neo-Confucianism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how it emerged as the foundation for the nation's and society's governance. Neo-Confucianism was not an immobile value system but an active factor contributing to the success, development, and positive changes in Joseon Korea; it is the aim of this study to provide a comprehensive account and exegesis of the role and impact of Neo-Confucianism in the Korean historical process. The study will examine the lessons that can be drawn from these historical facts of South Korean history in the modern state, particularly in the areas of governance, education, and social integration.

R. Sternberg 지능 이론의 발달: 의의, 국내 연구 및 과제 (Development of R. Sternberg's Theory of Intelligence: Contributions, Researches in Korea, and Future Tasks)

  • 하대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1권1호
    • /
    • pp.157-180
    • /
    • 2005
  • R. Sternberg가 1977년에 처음으로 제안한 유추의 요소 이론으로부터 오늘날의 성공 지능이론에 이르기까지 그의 이론은 IQ의 대안적인 새로운 지능 이론으로서 지능의 정의 및 본질, 측정, 교육 및 산업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4반세기가 지난 현재 시점에서 그의 이론이 그동안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그 변화된 이론들은 지능 이론과 연구 분야에 각각 어떻게 기여했는지, 이론과 관련해 우리나라에서 어떤 연구들이 수행되었는지,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가 무엇인지를 폭넓게 개관하는 일은 시의 적절하고 필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먼저 R. Sternberg의 지능 이론이 발달되어 온 과정을 크게 요소이론, 삼위일체 이론, 성공 지능이론의 세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로 그의 지능 이론과 연구의 특징과 의의를 살펴보고, 다음에 그의 지능 이론과 관련하여 그간에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연구들을 주제별로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며, 마지막으로 그의 이론 발달을 위한 몇 가지 연구 과제를 제언한다.

  • PDF

기하학적 문제와 펜토미노의 발명을 통한 수학 학습에서의 자료 개발 (Development of mathematical learning materials through geometric problems and the invention of pentominoes)

  • 황선욱;심상길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7-72
    • /
    • 2007
  • 최근 수학교육에서 펜토미노와 같은 절단 퍼즐들을 학습에 많이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퍼즐들의 개발 배경과 수학적 활용 방법에 대한 연구 부족으로 수학적 개념 도입이나 문제해결을 위한 소재로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 논문은 펜토미노를 수학 학습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펜토미노와 같은 절단 퍼즐의 배경이 되는 기하학적 문제와 펜토미노의 개발에 관한 수학사적 배경을 알아보고, 제 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수학 교과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단원과 여러 문헌에서 펜토미노를 활동한 자료를 조사하여 체계적인 수학 학습자료를 개발하는 기초 자료와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