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llside Areas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18초

노후경사주거지 유휴공간 발생과 지역특성 분석 - 부산 원도심 배후의 경사주거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Vacant Spaces Occurrence and Areal Characteristics in Old Hillside Residential Area - Focused on hillside residential areas surrounding old downtown in Busan -)

  • 정인아;우신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2호
    • /
    • pp.115-12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vacant spaces in the old hillside residential area, focused on 7 areas surrounding old downtown in Busan. This study suggests 3 stages of analysis as following. First, after the overall site survey on the vacant spaces in 7 old hillside residential areas in Busan, this study identifies the difference of types of vacant spaces according to each area. Second, based upon precedent researches, this study set up 3 perspectives and 9 analysis indices to investigate the areal characteristics of vacant space occurrence. Third, through the GIS analysis on the vacant spaces,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physical, commercial and social/institutional conditions of the areas in order to disclose the areal characteristics of vacant spaces occurrence.

부산지역 구릉지 토지이용 및 주택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nd Use and Housing Development of Hillside Areas in Busan Metropolitan City)

  • 이동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83-192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의 구릉지 토지이용 실태와 주택개발을 조사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표고 80m이상 지역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부산시 면적의 44.22%가 표고 80m이상을 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릉지 내에 입지하는 건축물의 노후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택재개발 등 도시정비예정구역중 표고 80m이상 위치한 구역이 30.13%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부산의 구릉지역에 대해서 기존의 평지형 정비방식을 적용해서는 곤란하며 지형과 조화로운 개발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결합개발방식을 하나의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 PDF

경사지의 환경친화적 집합주택 개발방안 (A Study on the Ecological Development of Multi-family Housing on Hillside)

  • 현택수;서정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55-64
    • /
    • 2002
  • This study aims at the suggestion of possibility that a housing density will maintain properly and that an ecological hill housing will recover a rapport with the ground. That is, both residential planning on the hillside and ecological architecture as a concept for development are chosen for study category,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hillside and the hill housing is theorized and then propriety is analysed through application of the ecological planning el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Now that the hillside is regarded as an idle land that preserves natural environment and maintains ecosystem, it must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awareness that nature and human beings exist together. 2. Analysis of geographical factors must be advanced because it is inevitable that the development of the hill housing should be performed properly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3. Planning elements of ecological residential block which are possible for constructing on the hillside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on the basis of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by classifying them into two areas; housing estate, building and unit.

저층고밀형 주택지 정비수법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Low-Rise and High-Density Housing)

  • 이동현;백태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4-53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구릉지의 노후된 주택지 정비에 있어 경관을 고려한 저층고밀형 개발방식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구릉지역에 있어서는 기존의 평지형 정비방식을 적용해서는 곤란하며 지형순응형 개발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우선 사례지역을 선정하여 GIS DATA 등을 활용하여 토지이용현황을 조사하고 사업의 손익분기점이 되는 용적률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용적률 180% 정도에서 최소한의 정비사업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과 테라스하우스 등을 혼합한 정비방식을 적용하여 개발시뮬레이션과 경관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경관시뮬레이션은 AutoCAD 2004와 ArcView 3.2a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혼합형 저층고밀의 정비방식을 도입한다면 지형순응형 개발에 대한 가능성과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 PDF

2,000년대(年代)의 토지이용도증가(土地利用度增加) 및 경지확대면(耕地擴大面)에서 본 비료(肥料) 수요(需要) 전망(展望) (The Prediction of Fertilizer Demand with Respect to the Increased Utilization Ratio and Enlargememt of Arable Land up to the Year of 2,000 in Korea)

  • 이경수;엄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01-210
    • /
    • 1976
  • Only 22.7% of total land area is arable land in Korea, it is anticipated that the increased land utilization of present arable land and enlargement of arable land through the reclamation of hillside and tidal land will be of great importance for the support of increased population in the future. Followings are the prediction of increased land utilization ratios, increased arable land through the reclamation of hillside and tidal land, and the increase] in fertilizer demand up to the year of 2000. 1. On the assumption that irrigation facilities, farm mechanization, and cropping systems would be improved remarkably by the year of 2000, the land utilization ratios of paddy land and upland are estimated to be 179% and 193% respectively. 2. Increments of fertilizer demand due to increased land utilization ratios, are estimated to be 2, 290 M/T in 1980, 70, 611 M/T in 1990, and 153, 619 M/T in 2000, when the amounts of fertilizers per unit area are fixed at present lrevels. 3. Increments of fertilizer demand due to the expansion of arable land through the reclamation of 516,330 ha of hillside land and 160,568 ha of tidal land, which are the present estimation of the reclaimable areas, are estimated as 32,960 M/T in 1980, 136,320 M/T in 1990, and 366,861 M/T in 2000. 4. Total increments of fertilizer demand due to the increased land utilization of arable land and the expansion of arable land through the reclamation of hillside and tidal lands in 2000's are estimated as 196,285 M/T for N, 147,351 M/T for $P_2O_5$, and 176,844 M/T for $K_2O$.

  • PDF

산복사방공사시공지(山腹砂防工事施工地)에 있어서 지형(地形)과 식생회복(植生回復) (On the Topographies and Recovery of Vegetation in the Hillside Erosion Control Districts)

  • 강위평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42-46
    • /
    • 1984
  • 산복사방공사시공지(山腹砂防工事施工地)에 대한 식생회복(植生回復)은 지형(地形), 지질(地質), 강수상황(降水狀況), 공법(工法) 등 여러 요인(要因)의 복합작용(複合作用)에 의하여 좌우(左右)되나 본(本) 조사지(調査地)에서는 지형(地形)을 제외(除外)한 타요인(他要因)은 그 조건(條件)이 같으므로 제외하고 지형(地形)과 식생피도(植生被度)의 관계(關係)를 조사하여 산복공사공법(山腹事工工法) 개선(改善)의 자료(資料)를 얻고자 조사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면별(斜面別) 평균피도(平均被度)는 하강사면(下降斜面)(80%), 평형사면(平衡斜面)(78.7%), 복합사면(複合斜面)(64.0%), 상승사면(上昇斜面)(56.5%)의 순위(順位)로 낮아지며, 4 사면(斜面)의 평균피도(平均被度)는 69.8%로 사면형(斜面形)은 피도형성(被度形成)에 영향을 준다. 2) 평균피도형성(平均被度形成)에는 토양함수율(土壤含率水), 평균경사(平均傾斜)가 영향을 준다. 3) 산복공사시공(山腹工事施工) 초기(初期)에 있어서는 목본종피도(木本種被度)(14.8%)는 초본종(草本種)(55.0%)에 비하여 피도(被度)가 매우 낮다. 4) 독라지(禿裸地)에 대한 식생회복(植生回復) 방법(方法)은 인공식재(人工植栽) 혹은 파종(播種)으로 하여야 하고 특히 산복공사시공(山腹工事施工) 초기(初期)에 있어서는 자연식생종(自然植生種)에 의한 식생회복(植生回復)은 어렵다.

  • PDF

도시근교 농촌지역에 있어서 산지·구릉지의 개발방향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 for Development of Hilly in the Rural Area)

  • 박광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11-23
    • /
    • 2001
  • It is focused on the desirable development alternations for sprawled unplanned on mountainous hilly areas in the residential areas development of the rural areas, mainly on the idyllic housing residential areas. The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 (1) 85% of the idyllic housing residential areas of the suburban rural area was developed on the mountainous hilly areas. (2) For the desirable development on the suburban rural area, Environmentally Symbiosis Land Use Plan, diversification of Housing type such as Earthing Row House, diverse housing site planning techniques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mountainous hilly areas, for common space planning, land development, housing planing, hillside development, should be devised. (3) New regulations of strengthening construction permits, District Plan should be introduced in law and system management.

  • PDF

GIS를 이용한 로스엔젤레스에 매설된 강관 손상 평가 (Loss Estimation of Steel Pipeline Damage in Los Angeles Using GIS)

  • Jeon, Sang-Soo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47-58
    • /
    • 2004
  • 강관은 Northridge 지진이 발생했을 당시 산사태가 일어나는 언덕이나 산악지역에 매설되어 있었다. 본 논문은 지리정보체계(GIS) 시스템에서 위치에 따라 강관을 서로 다른 유형별로 분류하고 정의하였다. 이 논문은 지반속도와 강관의 손상관계를 분석하고 Northridge 지진 시 발생한 산사태의 영향을 받았던 지역을 조사하였다. 하나의 주목할 만한 사실은 Northridge 지진 후 강관의 손상률이 다른 종류의 매설관, 특히 캐스트아이런(CI)보다 더 높았다는 것이다. Northridge 지진으로 인한 상대적으로 높은 강관의 손상률은 가장 큰 내부압력을 요하는 곳에서의 설치관례와 부식으로 인한 영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

경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서중 콘크리트 적용기간의 변천 (Variation of the Period of Hot Weather Concrete with Elapse of Age in Korea)

  • 최성용;홍석민;이충섭;김성일;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53-56
    • /
    • 2008
  •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period of hot weather concrete with elapse of age based on climate data. Climate data for 30 years and 5 years are used respectively. Determination of the period of hot weather concreting on architectural execution in Korea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AIJ, KSCE, and ACI are discussed.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period of hot weather concreting with each specification in most regions lasts over 35 days. Compared with the period of cold weather concreting in hillside and inland area, coastal areas have shorter period in the same latitude. The period of hot weather concreting tends to decrease with high latitude. As expected, with the elapse of age, the period of hot weather concrete exhibited to decrease, especially, big city like Seoul, Busan etc had remarkably increased period by as much as a week. This is due to the global warming and industrialization effect with the elapse of age.

  • PDF

문헌 및 위성영상에 기초한 북한의 산지토사재해 발생경향 및 복구사례 분석 (Analyzing the Occurrence Trend of Sediment-Related Disasters and Post-Disaster Recovery Cases in Mountain Regions in N orth Korea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Satellite Image Observations)

  • 김기대;강민정;김석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3호
    • /
    • pp.419-430
    • /
    • 2021
  • 이 연구는 1960년부터 2019년까지 북한에서 발생한 산지토사재해의 시공간적 발생경향과 일부 발생 및 복구 사례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북한의 산지토사재해 발생이력은 1995년(김정일 집권시기)부터 대외적으로 보고되기 시작하였고, 여름철 호우가 주된 유발요인으로 나타났다. 산림황폐율은 인구밀도와 밀접한 관련성(R2 = 0.4347, p = 0.02)을 보이며, 산림황폐율이 높은 서해안에서 산지토사재해 발생 보고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위적 산림훼손이 산림황폐화의 주된 원인이며, 나아가 산지토사재해 발생에도 현저한 영향을 끼쳤음을 시사한다. 위성영상을 통해 표층붕괴, 토석류 및 땅밀림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산지토사재해는 일반산지뿐만 아니라 다락밭, 채석장, 임도, 산불피해지 등 산림훼손지에서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피해지역은 복구사업의 시행 없이 존치되었지만, 일부 지역에서 산복 녹화공 등의 산지사방사업 또는 사방댐, 유도둑 등의 야계사방사업을 시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산림복구 및 사방사업 분야의 남북 교류협력 확대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