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23초

협동학습에서 언어적 행동과 학습 변인들 사이의 관계 및 협동학습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The relationships of verbal behaviors with learning variables in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 임희준;차정호;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87-496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 수업에 협동학습을 실시하여 학생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언어적 행동 유형을 범주화하고 이들과 학습 전략의 사용, 학습 동기, 태도 증진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또한 협동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성취 수준별로 조사하였다. 협동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행동 유형들은 점검 및 조직화 전략의 사용이나 자아효능감,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의 증진과 많은 관련이 있었다.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중위와 하위 수준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협동학습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나, 상위 수준 학생들에서는 부정적인 인식도 나타났다. 특히, 학습의 효과성 측면에 있어서 중위 및 하위 수준 학생들의 경우 동료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 내용에 대하여 더 잘 알게 되었다는 인식이 많았던 것에 반해 상위 수준 학생들은 배웅의 깊이가 작다고 지적하였다.

  • PDF

Profil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rt Device Usage

  • SUK, Youmi;CHO, Young Hoan;JEONG, Dae Hong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8권1호
    • /
    • pp.27-47
    • /
    • 2017
  • Smart devices have a variety of affordances to foster meaningful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design of smart learning environments, more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students' smart device usage and their perception of learning with smart devices. In order to capture smart device usage profile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this study carried out Latent Profile Analysis with three constructs: information search, communication, and study. Participants (n=253), who ranged from the fourth to the sixth grad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profiles of smart device usage: low-activity, communication, and high-activity groups. The smart device usage profiles varied depending on smartphone usage experience, and the profil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smart device addiction, not with smart device usage ability. Perceptions of smart education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ofiles. The high-activity group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smart education than the other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regard to negative attitude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for the use of smart devices in elementary school.

Latent Profile Analysis According to the Subject Selection Criteria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 Kim, Eun-Mi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226-23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 of latent profile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ubject selection criteria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nt class. The survey data of 1072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male; 648, female; 424) in G city, Jeollabuk-do and the scale composed of 8 sub-factors: 'SAT orientation', 'academic achievement', 'ability orientation', 'pursuit of interest', 'teacher orientation', 'career development', 'others' recommendation', and 'subject availability' were used for latent profile analysis and cross-analysis between potential lay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ubject selection were classified into four latent profiles. The four groups were named 'High Perception Type', 'Low Perception Type', 'Self-Directed Type', and 'Stability-Oriented Type' according to their typ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latent classe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the subject selection criteria. These results can help identify the subject selection tendencies of latent groups in the oper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25 high school credit system that emphasizes the student-centered course selection curriculum and they can also provide customized course selection guidance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s.

강원도내 일부 초.중.고등학교의 금연에 대한 건강증진정책의 조사연구 (Health Promotion Policy about Antismoking on Some Elementary.Middle.High Schools in Gangwon-do)

  • 김춘배;박준호;안정숙;허혜경;박은정;전은표;지역보건연구회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2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health promotion policies about antismok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status, enforcement of smoking restrictions and perceptions of smoking behaviour among teachers. A representative sample of 173 teachers$.$school inspectors from 150 elementary$.$middle$.$high schools in Gangwon-do was surveyed during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s antismoking and temperance training course in 2002 (response rate 60.7%). One staff member from each school was also analyzed regarding school antismoking polices for students and teachers in several locations within and outside the school building. The results showed that 118 elementary$.$middle$.$high schools (78.7%) had an antismoking policy and more schools had a written policy on student antismoking than on teacher antismoking. Most schools (92.4%) in the sample banned smoking by students, but 52 schools (44.1%) allowed smoking by teachers in restricted areas. However, teachers reported seeing smoking sometimes in the toilets (42.7%) or the playground (40.0%) among students and sometimes in the staff room (31.3%) or about every day on school premises (52.7%) among teachers. Irrespective of the type of policy or restrictions on smoking, the association between having a ban on student/teacher smoking and teachers' perceptions of student/teacher smoking in school was not significant.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most schools must have explicitly an antismoking policy on both students & teachers and enforce consistently a ban in promoting a healthy school environment(smoke-free schools).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 과목 운영에 대한 고등학생과 과학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Study on Per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about High School Fusing Science)

  • 송신철;홍보라;김남희;한화정;심규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1호
    • /
    • pp.130-13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 과목 운영에 대한 고등학생과 과학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조사도구는 융합형 과학 과목 운영의 필요성, 과학 과목의 수업 내용, 과학 과목의 수업 효과 등 3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융합형 과학 학습보다는 분과적인 과학 과목의 운영을 선호하고 있었다. 융합형 과학 과목의 수업 내용이 일상생활과의 관련성, 수업 내용의 참신성, 융합형 과학 과목의 흥미 등은 과학 교사들이 고등학생들에 비해 더 긍정적인 반면 수업 내용의 이해에 대해서는 고등학생들이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융합형 과학 과목의 수업 효과 영역에서 고등학생들과 과학 교사들은 융합형 과학 수업을 통해 첨단 과학이나 과학사, 과학과 기술, 과학과 사회의 연관성 등에 대해서는 다소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 상식과 사회적 쟁점에 대한 관심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에 대해서는 과학 교사들은 비교적 긍정적인 인식을, 학생들은 다소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과학의 가치, 과학적 탐구의 가치, 과학에 대한 관심 등에 대해서 융합형 과학 수업이 영향을 끼쳤는가에 대해서는 과학 교사들이 고등학생들에 비해 더 부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융합형 과학 수업이 과학 탐구 과정의 이해나 과학 글쓰기와 토론 활동, 과학적 사고력과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에서는 전체적으로 다소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과학영재 중학생들과 일반 중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 비교: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 중심으로 (The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Science-related Career Between General and Scienc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신세인;이준기;하민수;이태경;정영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673-696
    • /
    • 2015
  • 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은 이공계 직업동기와 과학학습동기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미래의 국가 과학기술발전의 핵심 동력인 과학영재학생들이 지속적으로 과학을 하는데 있어 과학관련 직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하여 중학교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과 관련된 직종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구조화 한후,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두 집단의 인식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과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네트워크를 비교분석한 결과, 첫째, 과학영재들은 일반학생들에 비하여 과학과 관련된 직업의 종류에 있어 다양했으며, 직업명의 구체성이 있었다. 둘째, 물질과학자와 의사는 과학영재와 일반학생 모두의 과학관련 직업 인식망에서 가장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또한 교수, 컴퓨터 및 수학 관련 직업은 과학영재의 인식망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중심성을 나타낸 반면, 일반학생의 인식망에서는 낮은 중심성을 보이며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셋째, 기술적 직업은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인식망의 외곽에 위치하여, 학생들은 기술적 직업을 과학과 관련된 직업으로 쉽게 떠올리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과학영재 학생들의 진로 지도를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경기지역 일부 남녀 고등학생의 비만도, 체형불만족도 및 식습관이 식사장애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besity, Body Image Dissatisfaction and Dietary Habits on the Risk of Disturbed Eating Attitude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Gyunggi Province, Korea)

  • 임경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56-669
    • /
    • 2010
  • Rapid shift to western dietary patterns and social drive of thinness would lead to increase the likelihood of developing eating disorder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associated factors between dietary pattern and self visualization in terms of body shape, which may increase the risk of disturbed eating attitude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from 2009 to 2010 for high school students including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6 schools in Gyunggi Province, Korea. A total of 766 students self-reported a questionnaire, including weight control practice, perceptions of self body image and ideal body image, dietary habit, and EAT-26 (Eating Attitude Test-26).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e the factors potentially associated with disturbed eating attitude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AS program (version 9.1). Results showed that disturbed eating attitudes were found in 8.7%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in 20.8%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 of body weight control was reported by 56.2% of male students and by 87.3% of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besity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high risk of disturbed eating attitudes in male students [Odds Ratios (OR) 2.96, 95% Confidence Interval (CI) 0.90-9.71]. Body image dissatisfaction (OR 2.77, 95%CI 1.37-5.62) and extended family type (OR 2.70, 95%CI 1.05-6.90)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high risk of disturbed eating attitudes, especially in female students. In conclusion, proper efforts in education for obesity and developing self-esteem to reduce the risks of disturbed eating attitudes should be implemented in high school nutrition program.

가정교과를 이수한 남.여고등학생의 주생활 단원에 대한 인식 차이 (The differences in a perception of Housing unit betwee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 신용해;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7-5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housing unit between female and male among high school students who learned Home Economics in high school. The number of 200 samples were analyzed with frequencies, percentages, t-test, regression and $$\chi$^2$ analyses using SPSS/W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extual differences in general perceptions of Housing unit such as importance, usefuln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unit. The most demanded housing contents as the principle of interior design, and the least as the history of housing. There were sexual differences in only a few cotents. However, all of 29 items were demanded over median point of 3.0. Most students ofen imagined their own dream houses and thought about the way to improve their own rooms. They were least concentrated on the newspaper articles on housing. They were sexual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ractice the Housing contents learned in the class. Thes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7th curricumn male students must take Home Economics.

  • PDF

고등학교 화학 I, II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 조사 (Students' Perceptions about High School Chemistry I, II)

  • 박현주;임희준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6호
    • /
    • pp.369-37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일반계 고등학생을 연구대상으로 과학과 선택 교과 '화학 I'과 '화학 II' 에 대한 선택 이유, 학습량, 내용 수준, 흥미, 수업 형태, 선호 수업 등과 관련된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비례층화표집 방식으로 선별된 총 126개 고등학교에서 화학 교과를 선택한 자발적 참여 학생 총 1,087명이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이 화학 교과를 선택한 주된 이유는 화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 '기초학문', '대학 전공 관련' 등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화학 I, II 교과의 학습량과 내용 수준을 약 60% 정도가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이 화학을 어렵다고 인식하는 이유는,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화학 I과 화학 II 모두, 내용 자체의 어려움과 암기해야 할 많은 내용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 교과의 흥미도의 경우, 화학 I의 43.9%, 화학 II의 52.0%의 학생들이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화학 교과에 흥미가 없는 이유는 화학 내용 자체의 어려움, 관심과 재미가 없어서, 화학의 기초가 없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화학 교과의 주된 수업 형태는 강의식 설명식 수업이었지만,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업 형태는 주로 실험실습과 실생활 연계나 과학자 이야기 활용으로 나타났다. 화학 교과에서 실험 활동에 대한 주된 실태는 한 학기에 1~5회 또는 실험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양하고 많은 실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수업과 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수학교육에 대한 우리나라 수학교사의 인식조사 연구 (A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mathematics education)

  • 김소민;김홍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3호
    • /
    • pp.423-442
    • /
    • 2019
  •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이하여 시대적 변화와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새로운 수학교육 계획 및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학교 현장의 수학교육 실태와 수학교사들의 인식조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초 중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수학교육 전반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수학교육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수학교사들의 수학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학교 안 수학교육 현황에 대한 기본 정보와 함께, 교사의 수학수업 개선과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 및 환경 지원, ICT 및 공학도구 활용 관련 재교육 실시, 학교 관리자 대상 수학교육 인식 전환 교육 지원,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과 적극적인 교구 활용 방안 마련, 수학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 지원 방안 마련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