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lical

검색결과 1,160건 처리시간 0.024초

백서의 실험적 치아 이동시 치주조직내 성장인자 발현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EXPRESS10N OF GROWTH FACTOR IN PERIODONTAL TISSUE DURING THE EXPERIMENTAL MOVEMENT OF RAT INCISORS)

  • 이준형;김상철;국윤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1-42
    • /
    • 1995
  • 교정력에 의한 치아이동시 치주조직의 조직변화를 알아보고 성장인자중의 하나인 Epidemal Growth Factor (EGF)의 시간 경과에 따른 발현정도 및 분포 변화를 알아 보고자, Sprague-Dawley계 백서 23마리를 대조군(3마리)과 실험군(20마리)으로 나누었으며, 실험군은 교정력(75g)을 가한 후 12시간, 1일, 4일, 7일, 14일이 경과한 후 각각 4마리씩 희생시켜, EGF의 발현 분포와 조직학적 변화를 면역조직화학적 및 조직병리학적으로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정력을 가한 후 14일 까지, 견인측의 치주인대 섬유는 신장되었고, 압박측의 치주인대 섬유는 압축되었으며 치주인대섬유 배열의 완전회복은 일어나지 않았다. 2. 대조군의 EGF 발현은 구강상피, 전상아질, 치수와 치주인대내의 혈관에서 진하게 발현되었으나, 파골세포 및 골아세포에서는 미약한 염색상을 보였다. 3. 교정력을 가한지 12시간, 1일, 4일, 7일째 실험군의 치주조직에서의 EGF의 발현은 견인측과 압박측의 차이가 없이, 경미한 미만성의 양성반응을 보였다. 4. 교정력을 가한지 14일째 치주조직에서 EGF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압박측보다 견인측이 더 많이 발현되었으며, 치경부 쪽보다 치근단 쪽에서 더 많았다.

  • PDF

스페이서와 에스터화도가 콜레스테릴 그룹을 지닌 아밀로오스들의 열방성 액정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ulence of Spacer and Degree of Esterification on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roperties of Amyloses Bearing Cholesteryl Group)

  • 정승용;마영대
    • 폴리머
    • /
    • 제31권4호
    • /
    • pp.356-367
    • /
    • 2007
  • 세 종류의 아밀로오스 유도체들, 즉 에스터화도(DE)가 1.8에서 3의 범위에 있는 콜레스테릴옥시카본화 아밀로오스들(CAMs), DE가 0.3에서 3의 범위에 있는 (6-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펜타노화 아밀로오스들(PAMs), 그리고 완전치환 콜레스테릴옥시카본화 PAMs(CPAMs)들을 합성함과 동시에 이들의 열방성 액정 특성들을 검토하였다. $DE{\geq}2.6$인 CAM, DE=1.6인 PAM 그리고 모든 CPAMs는 쌍방성 콜레스테릭 상들을 형성하는 반면 $DE{\geq}2.2$인 PAMs는 단방성 콜레스테릭 상들을 형성하였다. $DE{\geq}2.2$인 PAMs 그리고 (6-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펜타노일 DE(DS)가 1.0 이상인 CPAMs는 온도상승에 의해 광학피치들(${\lambda}_{m'}s$)이 감소하는 콜레스테릭 상들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시료가 동일한 온도에서 나타내는 ${\lambda}_m$은 DS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한편, CAMs, DE=1.6인 PAM 그리고 DS=0.3인 CPAM은 콜레스테릭 상의 전 범위에서 반사색깔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콜레스테릴 그룹에 의한 나선의 비틀림력은 콜레스테릴 그룹과 주사슬을 연결하는 스페이서의 길이와 DS에 민감하게 의존함을 시사한다. 아밀로오스 유도체들에서 관찰되는 콜레스테릭 상들의 열적 안정성 그리고 질서도는 DE 혹은 DS에 민감하게 의존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수소결합력, 주사슬의 가소화 그리고 주사슬로부터 곁사슬 그룹의 운동의 탈리의 차이와의 관련하에서 검토하였다.

손가락동맥과 동반정맥 구조에 대한 해부학적 연구 (Analysis of the Anatomy of the Venae Comitantes Related to the Digital Artery)

  • 최환준;심병관;김철한;탁민성;김준혁;정성균;이영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2호
    • /
    • pp.122-128
    • /
    • 2010
  • Purpose: Many descriptions of the digital arterial anatomy including skin territory of the finger have been published. Relatively few studies on venous architecture of the finger have been performed in this area, in part, attributable to the technical difficulties encountered in dissecting small vess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ecise microsurgical anatomy of the vein related to the digital artery and venae comitantes of the components. Methods: Arterial and venous anatomy of their relation to the fingers were examined in 38 specimens of two fresh cadavers and 36 clinical cases. All specimens were evaluated grossly, surgical microscopically, or / and light microscopically to observe the three & two-dimensional structure of the artery and joining vein, evidence of the venae comitantes, and venous valve. Results: No longitudinal venae comitantes along the digital artery were found in any specimens. The size of the venae comitantes of each digital artery was much smaller than other vein, but always existed any level of digital artery. One or two venae comitantes in the digital artery ran spiral, oblique, helical, fibrillar, or irregular branched shape. The authors also found the vein of the finger, that had bicuspid valves, but not in venae comitantes. Conclusion: Recently, venous outflow problem rather than arterial circulation is the most common cause tissue failure after microvascular surgery in the hand. Sometimes, if it is not recognized early, there is an increased risk of tissue damage and loss. The authors concluded that this study presents a useful knowledge for the characterization of the venous structure and evidence for venae comitantes like a venule in the digital artery at varying levels of the finger.

DNA 염기손상 치유유전자의 변이와 두경부암 발생 위험성 (THE EFFECT OF GENETIC VARIATION IN THE DNA BASE REPAIR GENES ON THE RISK OF HEAD AND NECK CANCER)

  • 오정환;윤병욱;최병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4권5호
    • /
    • pp.509-517
    • /
    • 2008
  • DNA 손상 치유 유전자 연구를 기초로 한 임상적 접근이 새로운 치료방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많은 연구들이 중요한 DNA 수복유전자의 다형성을 찾아내어 각각의 단백질의 활동성에 대한 영향을 알아내고 특정한 치료법을 찾아내고 임상적 적용을 시도하고 결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암 치료에서 정상 세포와 암세포에서 DNA 수복 유전자의 발현 분석은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에서 개인맞춤형 치료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어, NER이 결핍된 종양은 cisplatin 치료에 민감성을 나타내고, MMR 결핍세포는 알킬화 화학요법 약제에 높은 내성을 나타낸다. 선천성 비폴립성 결장암과 같은 MMR 결손종양 또한 알킬화 화학요법 약제에 의한 치료에 내성을 가진다. 신경교종(glioma)에서 MGMT 유전자 프로모터가 흔히 메틸화되는데 이것은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고 알킬화 화학요법제에 대한 반응성을 증가시킨다. 향후 구강악안면외과 영역에서도 구강암의 발생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더 많은 DNA 수복 유전자의 다형성을 발굴하고 임상적으로 개인맞춤형 치료법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필라멘트 와인딩된 카본/에폭시 복합재의 층간파괴인성에 미치는 온도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Interlaminar Fracture Toughness of Filament-Wound Carbon/Epoxy Composites)

  • 임재문;신광복;황태경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5호
    • /
    • pp.491-497
    • /
    • 2015
  • 본 논문은 필라멘트 와인딩 공법으로 제작된 구배 단면을 갖는 돔 분리형 복합재 압력용기 접착체결부의 온도영향에 따른 층간파괴인성 평가를 위해 모드 I, II 그리고 혼합모드의 시험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모드 I과 혼합모드 층간파괴인성은 DCB 시편을 사용하였으며, 모드 II 층간파괴인성은 ENF 시편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와인딩 각도는 $[{\pm}10^{\circ}]_6$, $[{\pm}27^{\circ}]_6$ 그리고 ($[{\pm}10^{\circ}]_3/FM73/[{\pm}10^{\circ}]_3$)이며 곡면 단면을 고려하였다. 시험 평가에 적용된 온도 환경은 환경 챔버와 전기로를 이용하여 $-30^{\circ}C$에서 $60^{\circ}C$로 조성하였다. 층간파괴인성에 온도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 층간파괴인성은 저온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시편 종류별 결과에서는, 돔부와 헬리컬부가 접착체결된 $[{\pm}10^{\circ}]_3/FM73/[{\pm}10^{\circ}]_3$ 와인딩 시편이 가장 높은 층간파괴인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카드뮴중독(中毒) 가토(家兎)의 동정맥(動靜脈)에 관하여 (Experimental Studies on the Vascular Smooth Muscle of $Cd^{2+}$-poisoned Rabbits)

  • 홍기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5권1_2호
    • /
    • pp.29-37
    • /
    • 1979
  • Cd 중독(中毒)으로 가토(家兎)에 고혈압(高血壓)을 일으키고 이를 중독(中毒) 가토(家兎)와 대조(對照) 비중독(非中毒) 가토(家兎)의 간문맥(肝門脈), 흉부(胸部) 대정맥(大動脈) 및 폐정맥(肺動脈)을 적출하여 in vitro에서 장력(張力)-길이의 관계를 관찰하고 NE, $K^+$-depolariration 및 angiotensin의 수축(收縮) 효과(效果)를 비교(比較)하였다. 1. 비중독(非中毒) 대조군의 평균 동맥압은 $87.0{\pm}4.7mmHg$이었고 Cd 중독군(中毒群)에서는 $109.0{\pm}2.8mmHg$로 Cd 중독(中毒)에 의하여 의의(意義)있는 증가(增加)를 나타내었다. 2. 동(動) 정맥(靜脈)의 장력(張力)-길이 곡선(曲線)에서 Cd 중독(中毒) 가토의 간문맥(肝門脈)은 passive tension의 증가에 따라 distensibility가 현저히 증가되나 대동맥(大動脈)에 있어서는 오히려 대조군에 비(比)하여 유의(有意)한 감소(減少)를 나타내었고 폐동맥(肺動脈)은 아무런 차이(差異)를 나타내지 아니하였다. 3. Passive tension의 증가에 따른 active tension의 변화(變化)는 대동맥(大動脈)에 있어서는 Cd중독으로 현저히 감약되었으나 간문맥(肝門脈)이나 폐동맥(肺動脈)은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差異)가 없었다. 4. Cd 중독군(中毒群)이나 비중독(非中毒) 대조군에서 passive tension의 변동에 따른 수축결과(收縮效果)는 세 혈관에서 모두 유의(有意)한 차이를 나타내지 아니하였다. 5. 대동맥(大動脈) 절편에 대한 angiotensin의 수축(收縮) 효과(效果)는 Cd 중독군(中毒群)에서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 PDF

Characterizing LipR from Pseudomonas sp. R0-14 and Applying in Enrichment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from Algal Oil

  • Yang, Wenjuan;Xu, Li;Zhang, Houjin;Yan, Yunj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1호
    • /
    • pp.1880-1893
    • /
    • 2015
  • In this study, Pseudomonas R0-14, which was isolated from Arctic soil samples, showed a clear halo when grown on M9 medium agarose plates containing olive oil-rhodamine B as substrate, suggesting that it expressed putative lipase(s). A putative lipase gene, lipR, was cloned from R0-14 by genome walking and Touchdown PCR. lipR encodes a 562-amino-acid polypeptide showing a typical α/β hydrolase structure with a catalytic triad consisting of Ser153-Asp202-His260 and one α-helical lid (residues 103-113). A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LipR belongs to the lipase subfamily I.3. LipR was successfully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purified, and biochemically characterized. Recombinant LipR exhibited its maximum activity towards p-nitrophenyl butyrate at pH 8.5 and 60℃ with a Km of 0.37 mM and a kcat of 6.42 s-1. It retained over 90% of its original activity after incubation at 50℃ for 12 h. In addition, LipR was activated by Ca2+, Mg2+, Ba2+, and Sr2+, while strongly inhibited by Cu2+, Zn2+, Mn2+, and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Moreover, it showed a certain tolerance to organic solvents, including acetonitrile, isopropanol, acetone, methanol, and tert-butanol. When algal oil was hydrolyzed by LipR for 24 h, there was an enrichment of n-3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cluding eicosapentaenoic acid (1.22%, 1.65-fold), docosapentaenoic acid (21.24%, 2.04-fold), and docosahexaenoic acid (36.98%, 1.33-fold), and even a certain amount of diacylglycerols was also produced. As a result, LipR has great prospect in industrial applications, especially in food and/or cosmetics applications.

Constr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Vitreoscilla Hemoglobin (VHb) with Enhanced Peroxidase Activity for Efficient Degradation of Textile Dye

  • Zhang, Zidong;Li, Wei;Li, Haichao;Zhang, Jing;Zhang, Yuebin;Cao, Yufeng;Ma, Jianzhang;Li, Zhengqi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9호
    • /
    • pp.1433-1441
    • /
    • 2015
  • Pollution resulting from the discharge of textile dyes into water systems has become a major global concern. Because peroxidases are known for their ability to decolorize and detoxify textile dyes, the peroxidase activity of Vitreoscilla hemoglobin (VHb) has recently been studied. It is found that VHb and variants of this enzyme show great promise for enzymatic decolorization of dyes and may play a role in achieving their successful removal from industrial wastewater. The level of VHb peroxidase activity correlates with two amino acid residues present within the conserved distal pocket, at positions 53 and 54. In this work, sitedirected mutagenesis of these residues was performed and resulted in improved VHb peroxidase activity. The double mutant, Q53H/P54C, shows the highest dye decolorization and removal efficiency, with 70% removal efficiency within 5 min. UV spectral studies of Q53H/P54C reveals a more compact structure and an altered porphyrin environment (λSoret = 413 nm) relative to that of wild-type VHb (λSoret = 406),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ata indicate that the VHb variant protein structure is more stable. In addition, circular dichroism spectroscopic studies indicate that this variant's increased protein structural stability is due to an increase in helical structure, as deduced from the melting temperature, which is higher than 90℃. Therefore, the VHb variant Q53H/P54C shows promise as an excellent peroxidase, with excellent dye decolorization activity and a more stable structure than wild-type VHb under high-temperature conditions.

Neuropeptide $\gamma$의 구조 및 생리활성 (Conform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of the Neuropeptide $\gamma$)

  • 구희정;서정길;김은희;허민도;정준기;박장수;강신원;박남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44-251
    • /
    • 1997
  • 생리활성을 지닌 신경펩타이드의 구조와 활성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고상법으로 합성한 세 종류의 neuropeptide $\gamma$(mammalian-, trout- 그리고 goldfish-neu-ropeptide $\gamma$)를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Circular dichroism spectra에 의하면 mammalian-, trout-와 goldfish-neurope-ptide $\gamma$는 완충액 조건하에서 모두 random한 구조를 나타내었다. 중성 및 산성 지질 존재 하에서, mammalian과 trout-neuropeptide $\gamma$는 여전히 random한 구조를 취했다. 그러나, goldfish-neuropeptide $\gamma$는 중성 및 산성지질하에서 부분적으로 $\alpha-helix$ 구조를 나타내었다. 장관 수축활성 에 있어서는 carp 장관, guinea-pig 회장 그리고 rat 십이지장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Carp에 대해서는 goldfish-neuropeptide $\gamma\;\simeq$ trout-neuropeptide $\gamma\;>$ mammalian- neuropeptide $\gamma$ 순으로 활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guinea-pig 회장과 rat 십이지장에 대해서 mammalian-neuropeptide $\gamma$는 어류 유래성 neuropeptide g들 보다 높은 수축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neuropeptide $\gamma$들이 종-특이적인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제시한다.

  • PDF

태양열 집열관 과열방지를 위한 지중열교환기 연구 (A study of geothermal heat dump for solar collectors overheat protection)

  • 황현창;;이계복;이석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616-622
    • /
    • 2016
  • 하절기 줄어드는 온수부하는 태양열 집열기 과열의 주된 원인이다. 과열방지목적으로 공냉 또는 차단막이 사용되는데 이는 추가적인 기계적요소를 필요하게 되고 장기 운용 시 파손 등의 우려에 따라 그 신뢰도도 크게 저하된다. 지중열교환기는 지열을 열원으로 방열 또는 흡열을 진행하는데, 지열을 고 열원으로 하여 흡열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가 대다수이며 지열원이 저열원으로 이용하는 방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태양열집열판의 과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지중열교환기의 가능성 및 그 성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여름철 최대 $150^{\circ}C$이상의 고온을 유지하는 태양열집열판의 열을 방출하기 위하여 1.2m의 하부 깊이를 갖는 50m 나선형 지중열교환기를 설치하였고 이를 통해 순간 냉각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태양열집열판의 여름철 과열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리고 다양한 변수에 대한 이론적인 계산을 통하여 0.33kg/s의 최저 순환유량만 유지해주면 지열 열교환기의 길이에 따른 방열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축열조와의 공동 사용시 냉각효과는 여름철 과열시 충분한 과열방지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