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ight variation

검색결과 1,130건 처리시간 0.032초

초음파 반사신호의 복소 진폭을 이용한 교체 내부 결함의 영상 구조 (The image construction of the surface and subsurface defects using complex amplitude of the reflected ultrasonic signals from the solid)

  • 김현;임호;김기열;구길모
    • 정보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129-136
    • /
    • 2001
  • 초음파현미경은 대부분 단순히 시료로부터 반사된 신호의 진폭만을 이용하여 초음파영상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미세한 변화를 가지는 시료에 대해서는 반사신호의 진폭변화가 민감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영상의 질을 저하 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반사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초음파현미경 시스템을 구성하고 샘플로서 500원 주화와 내부에 원형결함이 존재하는 알루미늄 시료에 대해 진폭영상과 위상영상을 획득하고 이들을 상호 비교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위상영상은 미세한 높이변화에 대해서는 진폭영상에 비하여 민감한 반응을 보였고 콘트라스트가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이와같은 실험결과로 위상영상은 미세변화를 갖는 시료에 대한 비파괴검사시 진폭영상으로 얻어진 영상의 모호성을 개선하는 보조도구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 PDF

2차원저천단구조물(LCS)의 주변에서 불규칙파동장의 변동특성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Irregular Wave Fields around 2-Dimensional Low-Crested-Breakwater)

  • 이광호;최군호;이준형;정욱진;김도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6호
    • /
    • pp.356-367
    • /
    • 2019
  • 본 연구는 olaFlow 모델에 의한 혼상류수치해석법을 적용하여 저천단구조물에 의한 불규칙파랑의 변동특성을 수치적으로 검토한다. 목표스펙트럼에 의한 불규칙파형과 측정된 불규칙파형과의 비교 및 이로부터 산정된 두 주파수스펙트럼의 비교로부터 olaFlow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2차원저천단구조물에 의한 불규칙파의 주파수스펙트럼의 변동, 파전달율, Hrms의 공간분포, 평균유속과 평균난류운동에너지의 공간분포 등을 수치적으로 검토한다. 이로부터 LCS 외해측의 전면에서 시계방향의 해빈류와 반시계방향의 순환류셀이 형성되고, 내해측의 정수면 근방에서 항내로 향하는 강한 일방향흐름이 발생되는 등의 중요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골다공증에 따른 부위별 골 밀도와 구조의 변화 (Regional variation in vertebral bone density and structure due to osteoporosis)

  • 박정홍;이성재;장한;최우성;강철;탁계례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9-170
    • /
    • 1998
  • In this study, regional variation in vertebral bone density due to osteoporosis were investigated using a method that employs images from QCT. QCT images(1mm thick slices) of the first lumbar vertebra from a normal person (23/M, BMD=139.8mg/ml) and from an osteoporotic patient (54/F, BMD=82.0mg/ml) were obtained. Uniform settings (140kVp, 204mA) were used and images of 300 Hounsfield Unit or greater were selectied to filler out soft tissue interference. To assess the regional variation of the area fraction the vertebral body was divided into 3 layers and each layer contained 9 regions. Area faction was calculated based on image analysis data. Our results showed that the area fraction at the middle of the vertebra was quite lower than the endplate and peripheral regions, but the area fraction values from the osteoporotic patient were uniform throughout the entire height of the vertebral body, which indicates the significant drop of BMD had occurred near both end-plates due to the osteoporosis, especially at the peripheral regions. Our results suggest the susceptability of the vertebrae to compression fracture types in osteoporotic spine.

  • PDF

삽주(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 ex Kitamura)의 정량적 형질에 의한 변이분석 (Variation analysis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 ex Kitamura Based on Quantitative Characters)

  • 김진기;박경렬;나의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6-42
    • /
    • 2002
  • 전북, 경남, 강원, 경기지역에서 수집한 16개의 수집종 삽주의 정량적 특성을 비교하고, 다변량 분석법에 의하여 수집종 삽주의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함양1 수집종이 초장 86.2cm, 주당잎수 117.6개, 화경수 34.3개로 가장 좋았고, 수도1 수집종이 경수가 12개로 가장 많았다. 또한, 엽연거치는 평균 1.6mm로 모두 존재하였다. 삽주속 식물의 잎의 형태는 단엽과 장상복엽(3출엽)이 주로 존재하였고, 엽형은 타원형이 가장 많았다. 주요 18개의 형질을 대상으로 다변량 분석법에 의한 16개 수집종 삽주는 3개의 계통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제 1군에 속하는 진안1, 진안2 수집종과 제 3군에 속하는 정수, 거제 수집종이 유연관계가 가장 먼 것으로 나타났다.

밥블록을 이용한 찰밥의 경도 및 부착성 측정법 (Measurement of Hardness and Adhesiveness of Cooked-Rice)

  • 이영진;황선옥;박윤서;윤운중;전재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398-402
    • /
    • 1995
  • 전기밥솥으로 지은 일반계(Japonica) 쌀밥의 경도와 부착성을 texturemeter를 사용하여 낱알과 밥블록상태에서 측정하였다. 밥알 3, 4, 5개씩을 균등하게 배열하고 95%의 압축비에서 plastic plunger 로 측정한 경우 각각 경도는 7.4, 7.5, 10.0kg이었으며 변이계수가 25.9%에 이르렀다. 원통형 밥블록(15mm diameter, 20mm height)으로 성형한 것을 80% 압축비로 측정한 결과, 경도는 2.1kg이었고 변이계수는 $2.8{\sim}7.0%$의 수준으로 현격히 감소되었다. 밥블록측정법이 정확도와 재현성에서 낱알측정법보다 월등히 좋았으며 밥블록의 성형방법과 측정 방법을 개발하였다. 밥의 부착성은 낱알측정법으로는 불가능하였고, 밥블록을 톱니형의 plunger와 platform을 사용할 경우 가능하였으며 그 값은 0.68kg sec이었고 변이계수는 4.6%이었다.

  • PDF

만6세 아동의 제1대구치 맹출정도와 연령, 키, 몸무게와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1st Molar Erupted Rate and Age, Height and Weight at Age of Six)

  • 배성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57-263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 발육발달의 기준이 되는 나이 그리고 키와 몸무게의 요인들 중 제 1대구치 맹출정도에 더 많이 관련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각각의 요인의 상관계수를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로서 우리나라 충남 아산, 서산에 거주하는 만6세 아동 441명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얻어진 단면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는 제1대구치 맹출정도와 월령의 관련성에서 통계적으로 ($x^2$(df) = 117.68로 p < 0.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제1대구치 맹출정도 점수가 높을수록 월령수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제1대구치 맹출정도와 키(신장)와의 관련성에 대한 결과로는 ($x^2$(df) = 59.74 p < 0.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제1대구치 맹출정도 점수가 높을수록 키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1대구치 맹출정도와 몸무게(체중)과의 관련성에 대한 결과는 ($x^2$(df) = 31.69 p < 0.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제1대구치 맹출정도 점수가 높을수록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1대구치 맹출정도와 월령, 키, 몸무게의 각 변수들간의 상호 관련성은 모두 p<0.001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제1대구치 맹출정도와 월령 간에 정적인 상관(r=.45, p < 0.01), 맹출정도와 키 간에 정적인 상관 (r=.31, p<0.01). 맹출정도와 몸무게 간의 정적인 상관 (r=.24, p<0.01), 또한, 월령과 키 사이에 정적인 상관 (r=.40, p < 0.01), 월령과 몸무게 사이에 정적인 상관 (r=.24, p < 0.01), 키와 몸무게 사이에서도 정적인 상관 (r=.54, p<0.01)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각각의 항목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만 6세 아동의 제1대구치 맹출정도와의 관련성은 월령, 키, 몸무게 순이었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29.1% 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각각의 변수들은 인과관계가 아니며 종속연수가 하나 이상의 독립변수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제1대구치 맹출 정도와 월령, 키와 몸무게는 이들 항목 간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한국인 중.고등학생의 체격, 체형 및 그 성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Status, Physical Type and the Growth of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Boys)

  • 이영춘;김종석;박희명;채의업;주영은;이륭창;류호열;김규수;김정묵;최경숙;이열희;이태호;우원형;신현찬;박원학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4권1호
    • /
    • pp.29-46
    • /
    • 1970
  •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physical status (height, body weight, breast girth, sitting height. length of leg, length of thigh, thigh girth, crural length, length of arm, brachial length, antebrachial girth and skinfold thickness), physical types and the growth were made to the 360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boys aged between 12 and 17 years in Taegu City. The physical status was evaluated and expressed as dispersion and the Physical type as percentage of each status to height, and the growth was analysed by the growth formul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ncrease of the volumes of Physical status was slowest between 12 and 13 years and fastest between 13 and 14 years in general. 2) The increase of the volumes of thigh girth and antebrachial girth showed a linear pattern until 16 years. 3)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largest in skinfold thickness $(16.3{\sim}28.4%)$ followed by body weight $(10.0{\sim}14.3%)$, antebrachial girth $(4.8{\sim}19.60%)$ and length of thigh$(6.3{\sim}13.6%)$. The coefficients of variation in all the other status were similar $(4{\sim}7%)$. 4)The physical indices of body weight, breast girth, sitting height, length of thigh, thigh girth, antebrachial girth and skinfold thickness increased as age increased while the others decreased except the brachial length, which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5) Ratio of growth quantity was largest in body weight followed by skinfold thickness, and the others were all similar. 6) Growth rate and specific growth rate decreased in the all the status analysed as age increased except in the skinfold thickness in which an increase was noted. 7) Growth gradient was increased along the increase of age in breast girth, sitting height, crural length, brachial length and in skinfold thickness. However a decrease was observed in the other status except in the body weight which was decreased until 15 years of age and increased thereafter.

  • PDF

튀김옥수수 자식계통들에 대한 형태적 특성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Popcorn Inbred Lines)

  • 장은하;사규진;김종화;이주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267-273
    • /
    • 2013
  • 본 연구는 강원도농업기술원 옥수수연구소에서 튀김옥수수 품종개발을 위하여 육성한 79개의 자식계통들에 대하여 총 13개의 양적 및 질적 형질들을 이용하여 형태적 변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3개의 질적 형질 중에서 웅수색(QL1)은 연한 자주색을 나타내는 계통(46계통)들이 가장 많았고, 자수색(QL2)과 줄기색(QL3)에서는 각각 녹색을 나타내는 계통(55계통, 75계통)들이 가장 많았다. 반면에 10개의 양적형질 중에서 간장(QN1)은 $174.2{\pm}34.9$ cm, 착수고(QN2)는 $103.4{\pm}24.7$ cm, 이삭장(QN3)은 $9.4{\pm}3.0$ cm, 착립장(QN4)은 $8.4{\pm}2.6$ cm, 이삭경(QN5)은 $24.9{\pm}7.7$ mm, 이삭열수(QN6)는 $14.0{\pm}2.3$ 열, 이삭중(QN7)은 $36.5{\pm}26.0$ g, 종실중(QN8)은 $30.9{\pm}19.3$ g, 백립중(QN9)은 $10.4{\pm}3.8$ g, 발아율(QN10)은 평균 $95.3{\pm}8.1%$를 각각 나타내었다. 분석에 이용된 자식계통들 중에서 5개의 자식계통(PS0-001, PS0-003, PS1-002, PS1-003, PS2-009)들은 조사된 7개의 수량 관련 형질들 중 5개 이상의 형질들에서 비교적 높은 경향이었다. 주성분 분석은 분석에 이용된 13개의 양적 및 질적 형질들 중에서 자수색(QL2), 이삭장(QN3), 착립장(QN4), 이삭경(QN5), 이삭중(QN7), 종실중(QN8), 백립중(QN9)은 제 1 주 성분에서 양의 방향에 크게 기여하였고, 반면에 웅수색(QL1), 줄기색(QL3), 착수고(QN2) 그리고 이삭열수(QN6)는 음의 방향에 크게 기여하였다. 제 2 주성분에서는 간장(QN1), 착수고(QN2) 그리고 종실중(QN8)은 양의 방향에 크게 기여하였고, 반면에 웅수색(QL1), 자수색(QL2), 이삭장(QN3), 이삭열수(QN6) 그리고 100립중(QN9)은 음의 방향에 기여하였다.

ICESat-2 고도계 자료를 활용한 여름철 북극 융빙호 탐지 (Detection of Arctic Summer Melt Ponds Using ICESat-2 Altimetry Data)

  • 한대현;김영준;정시훈;심성문;김우혁;장은나;임정호;김현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5_1호
    • /
    • pp.1177-1186
    • /
    • 2021
  • 북극의 융빙호(melt pond)는 해빙 면적 감소 및 북극 빙권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융빙호의 정확한 관측이 필요하다. 미국 NASA의 차세대 고도계 위성인 Ice, Cloud, and Land elevation Satellite-2 (ICESat-2)는 532 nm의 녹색 레이저를 발사한 뒤 반사되는 광자(photon)의 이동 시간을 계산하여 전 지구적으로 고해상도 고도 정보를 관측한다. ICESat-2는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고도계인 CryoSat-2에 비해 세밀한 관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Cryosat-2에서 관측할 수 없는 작은 규모의 융빙호를 탐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CESat-2의 기본적인 정보로는 표면 높이(surface height)와 반사되는 광자의 수(photon count)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ICESat-2 지점을 중심으로 10 m 길이의 segment를 생성하여 segment 내의 높이 표준편차와 총 광자 수를 활용한 융빙호 탐지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융빙호는 표면이 해빙에 비해 매끄러워서 높이의 분산이 적으므로 높이의 표준편차를 활용하여 일차적으로 융빙호와 해빙을 분류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융빙호 중에서 표면이 물인 융빙호와 얼음 표면인 융빙호를 분류하였다. 표면이 물인 융빙호는 광자를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단위 segment 내에서 반사되어 수집된 광자의 수가 적으며, 반대로 얼음으로 덮인 융빙호는 반사되는 광자의 수가 많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융빙호 탐지 방법을 통해 물과 얼음으로 덮인 융빙호를 구별하여 탐지할 수 있다. Sentinel-2 광학 영상을 활용하여 융빙호 탐지 결과의 정성적인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Sentinel-2 광학 영상으로 구분하기 어려운 표면이 물인 융빙호와 얼음인 융빙호를 ICESat-2를 활용해 효과적으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도계 위성 및 광학 영상을 활용한 융빙호 탐지의 고찰을 서술하였다.

Power Loss Calculation of High Frequency Transformers

  • Choi Geun-Soo;Yoon Shin-Yong;Baek Soo-Hyun;Kim Yong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권3호
    • /
    • pp.338-342
    • /
    • 2006
  • This paper analyzed the power loss of transformers considering the magnetic component. For this, each winding strategy and the effect of air gap between the ferrite core have been an important variable for optimal parameter calculation. Inductors are very well known design rules to devise, but the performance of the flyback converter as a function of transformer winding strategy has not been fully developed. The transformer analysis tool used was PExpert. The influence of the insulator thickness, effect of the air gap, how the window height and variation of the capacitive value effects the coil and insulator materials are some of parameters that have been analyzed in this work. The parameter analysis is calculated to a high frequency of 48[kHz]. Therefore, the final goal of this paper was to calculate and adjust the parameters according to the method of winding array and air gap minimizing the power lo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