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ight of grassland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21초

수수재래종 웅성불임 및 자식계통의 생육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ks in Native Varieties , Maie Sterile and Indred lines of Sorghum)

  • 한흥전;양종성;안수봉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01-205
    • /
    • 1984
  • 사료용(飼料用)수수의 품종개량(品種改良)을 목적(目的)으로 미국(美國)으로부터 도입(導入)한 22품종(品種)의 웅성불임계통(雄性不稔系統)과 58품종(品種)의 자식계통(自殖系統)을 1978년(年) pot 재배(栽培)하였고 80품종(品種)의 재래종(在來種)은 동년(同年) 포장(圃場)에 재배(栽培)하여 조사(調査)한 각(各) 품종(品種)들의 특성(特性)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각군(各群) 모두 7월(月)22${\sim}$26일(日) 사이에 출수(出穗)하는 품종(品種)들이 가장 많았고 7월(月)17${\sim}$31일(日) 사이에는 군별(群別)로 $69{\sim}86%$에 달(達)하는 품종(品種)들이 출수(出穗)하였다. 모든 품종(品種)들이 개화(開花)는 출수(出穗) $3{\sim}5$일후(日後)에 시작(始作)하며 재래종(在來種)은 품종별(品種別)로 출수(出穗) 및 개화기(開花期)의 변이폭(變異幅)이 대단히 넓다. 2. 초장(草長)은 웅성불임계통(雄性不稔系統)이 $86{\sim}114cm$, 자식계통(自殖系統)이 $81{\sim}190cm$, 재래종(在來種)은 $142{\sim}289cm$였다. 평균엽신장(平均葉身長) 웅성불임(雄性不稔) 및 자식계통(自殖系統)이 $52.2{\sim}53.4cm$이고 재래종(在來種)이 70.7cm로 가장 길었다. 평균(平均)줄기직경(直徑)은 웅성불임(雄性不稔) 및 자식계통(自殖系統)이 $8.81{\sim}7.74mm이고 $ 재래종(在來種)이 11.3mm였다. 3.각군품종(各群品種)들의 줄기직경(直徑)은 엽장(葉長) 및 엽폭(葉幅)과 고도(高度)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고 거의 모든 품종(品種)의 절간장(節間長)은 초장(草長)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래종(在來種)은 거의 모든 특성(特性)을 상호간(相互間)에 높은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 PDF

제주지역에서 지렁이분(100%) 유기질비료 시비량 차이에 따른 열무의 생육반응 및 수량변화 (Effects of Worm Casting(100%) Organic Fertilizer Rate on Growth Characters and Yield of Ieol´ Radish in Jeju Island)

  • 조남기;강영길;송창길;조영일;고동환;고미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7-80
    • /
    • 2003
  •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지렁이(100%) 시비량 차이(0, 100, 200, 300, 400, 500 및 600kg/10a)에 따른 신나리 열무의 생육반응 및 수량을 검토하고, 지렁이분 적정시비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2년 11월 7일부터 2003년 3월 8일까지 시험하였다. 초장은 무비구에서 500kg/10a 시비구까지 30.3cm에서 37.77cm로 커졌고, 그 이상의 시비구에서는 작아졌으나 200kg/10a에서 600kg/10a 시비구까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엽수, 엽폭 및 근경은 초장 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근장은 처리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고, 엽록소 함량은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총생체중(지상부중+근중)은 무비구에서 200kg/10a 시비구까지는 2,949kg/10a에서 4,561kg/10a로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300kg/10a에서 500kg/10a 시비구까지는 5,096kg/10a에서 5,707kg/10a로 증가되었다가 600kg/10a 시비구에서 4,873kg으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300kg/10a 시비구에서 600kg/10a 시비구까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지상부 생체중과 근중은 총생체중 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경운방법 및 비료종류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사초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llage System and Fertilizer Type on the Forage Yield and Quality of Italian Ryegrass)

  • 김종덕;셔윈 아부엘;전경협;권찬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13-320
    • /
    • 2009
  • 경운방법과 비료종류를 달리하였을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사료수량과 품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시험은 $2{\times}2=4$ 요인시험으로 경운방법은 관행(경운과 로터리)과 무경을 두었으며, 비료종류는 화학비료와 퇴비를 두었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초장, 건물률, 건물수량, TDN 수량 및 CP 수량은 경운방법에서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특히 무경운이 관행경운(경운+로터리)보다 건물수량, TDN 수량 및 CP 수량이 많았다. 그러나 비료의 종류에서는 처리간의 사초 생산성의 차이가 없었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조단백질 함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한편 ADF 및 NDF 함량에서는 무경운이 경운보다 많았으나 TDN 및 RFV 함량은 경운이 무경운보다 높았다. 비료의 종류에서 ADF 함량은 퇴비구가 높았으나 TDN 함량은 화학비료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에서 경운방법은 무경운이 관행경운보다 수량은 많으나 품질은 낮았다. 한편 비료의 종류에서는 사초수량의 차이는 없고 품질 차이도 적었다.

제주지역에서 주당본수에 따른 양마의 생육특성, 사료수량 및 조성분 변화 (Effect of Number of Plants per Hill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Yield, and Chemical Camposition of Kenaf in Jeiu Region)

  • 조남기;강영길;송창길;조영일;고미라;오은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3-30
    • /
    • 2002
  •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양마의 주당 본수 1(16,000주/10a), 2(34,000주/10a), 3(48,000주y10a), 4(64,000주/10a), 및 5본(80,000주/10a)에 따른 생육특성, 사료수량성 및 사료가치를 검토하고, 가축 조사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2001년 4월 13일부터 10월 8일까지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은 주당 1본에서 176cm였으나 주당 2본에서 185cm로 길어졌으나 그 이상 주당 본수가 많아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작아져서 5본에서는 166cm로 작아졌다. 생초, 건물, 단백질 및 TDN수량은 주당 2본에서 각각 114.6MT/ha, 17.3MT/ha, 2.33MT/ha, 9.21MT/ha로 가장 증수되었으나 그 이상과 그 이하의 본수에서는 점차적으로 감소되었고, 주당 5본에서는 생초수량 44.6MT/ha, 건물 수량 4.9MT/ha 단백질 수량 0.75MT/ha, TDN 수량은 2.83MT/ha로 감수되었다. 주당 본수가 1본에서 5본으로 많아짐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 13.1%에서 15.4%로, 조지방 함량 3%에서 3.7%, 가용무질소물 20.1% 에서 23.2%로, TDN 함량은 41.1%에서 45.4%로 증가되었으나 조섬유와 조회분 함량은 각각 41.2%에서 34.9%로, 9.4%에서 8.2%로 감소되었다.

제주지역에서 질소분시 횟수에 따른 양마의 생육특성, 사료수량 및 조성분 변화 (Effects of Split Nitrogen Application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Kenaf in Jeju)

  • 조남기;강영길;송창길;조영일;정재수;고미라;오은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14
    • /
    • 2002
  •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양마의 적정질소시비 횟수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1년 4월 13일부터 10월 8일까지 질소시비량을 240kg/ha 고정하고 30일 간격으로 1~5회 분시하여 양마의 생육특성, 사료수량성 및 조성분 함량 등을 조사하였다. 초장은 분시 횟수가 많을수록 증가하여 4회 분시구에서 최고인 201cm를 보이다가 5회에서 줄어들었다. 분지수, 엽수, 경직경 및 개체당 무게도 초장과 같은 경향으로 4회 분시에서 가장 우세하였다. 생초,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전량기비에서 4회 분시까지는 각각 91.8MT/ha에서 114.2MT/ha, 12.70MT/ha에서 16.6MT/ha, 1.75MT/ha에서 2.48MT//ha, 5.39MT/ha에서 7.63MT/ha로 증수되었다가 그 이상인 5회 분시에서 각각 106.6MT/ha, 15MT/ha, 2.32 MT/ha, 7.22MT/ha로 감소되었다. 조단백질, 조지방, 가용무질소물 및 TDN 함량은 13.8%에서 15.4%, 4.1%에서 5.9%, 18.7% 에서 19.1%, 42.4%에서 48.1%로 증가된 반면 조섬유와 조회분은 각각 38.2%에서 37.1%, 11.5%에서 8.6%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제주조의 파종량 차이에 따른 생육반응, 수량성 및 사료가치 변화 (Effects of Seeding Rate on Growth Characters, Yield Potential and Feeding Value in Jeiu Italian Millet)

  • 조남기;고동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71-276
    • /
    • 2003
  •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파종량 차이(6, 9, 12, 15, 18kg/ha)에 따른 제주조의 생육반응, 수량 및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 5월1일부터 8월 25일까지 수행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출수기까지의 일수는 89일에서 96일로 파종량이 많을수록 지연되었다. 초장은 6kg/ha 파종에서 128cm 였으나 파종량이 12kg/ha로 증가됨에 따라 148cm로 커졌고 그 이상으로 파종량을 증가시킬수록 초장은 작아져서 18kg/ha 파종에서는 131cm였다. 경직경, 엽수, 마디수 및 엽폭은 파종량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엽장은 초장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파종량이 6kg/ha에서 12kg/ha로 증가됨에 따라 생초 수량은 35.93MT/ha에서 54.83MT/ha로, 건물 수량은 10.49MT/ha에서 17.43MT/ha로, 단백질 수량은 0.94MT/ha에서 1.79MT/ha로, TDN 수량은 5.33MT/ha에서 9.27MT/ha로 증가되었다 가 그 이상으로 파종량을 증가시킬수록 단백질 수량과 TDN 수량은 감소되었다 파종량이 6kg/ha에서 18kg/ha로 증가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9.0%에서 12.01%로, 조지방 함량은 1.3%에서 1.8%로, 가용무질소물은 45.6%에서 47.8%로, TDN 함량은 50.8%에서 55.0%로 증가되었으나 조섬유 함량은 35.2%에서 30.0%로, 조회분 함량은 8.8%에서 8.4%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제주조의 사초수량을 최고로 올릴 수 있는 적정 파종량은 12kg/ha로 추정할 수 있었다.

제주조의 파종기에 따른 생태반응, 수량성 및 사료가치 변화 (Effect of Seeding Dates on Ecological Response, Yield Potential and Feed Value in Jeju Italian Millet)

  • 조남기;고동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65-270
    • /
    • 2003
  • 본 시험은 제주도 화산회토양에서 제주조의 파종시 적기를 구명하기 위해 2003년 4월 20일부터 5월 30일까지 파종기 변동(4월 20일, 4월 30일, 5월 1일, 5월 20일, 5월 30일)에 따른 생육반응, 수량성 및 사료가치를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하였다. 출수기 까지의 일수는 100일에서 60일로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출수기까지 일수는 단축되고 조기파종 할수록 지연되었다. 초장은 5월 1일 파종에서 131cm로 가장 큰 편이었으나 그이전과 그 이후 만기파종 할수록 초장은 짧았고 5월 30일 파종에서 86cm로 작아졌다. 엽장, 엽수, 엽폭 및 줄기 직경은 초장반응과 비슷하였고 엽록소 측정치는 40.6에서 35.8로 만기파종 할수록 낮아졌다. 생초, 건물, 단백질 및 TDN 수량은 5월 1일 파종에서 각각 43.28MT/ha, 12.5MT/ha, 1.39MT/ha, 6.60MT/ha로 증수되었으나 그 이전과 그 이후로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5월 30일 파종에서 생초수량은 12.63MT/ha, 건물수량 7.56MT/ha, 단백질수량 0.96MT/ha, TDN 수량은 4.16MT/ha 로 감수되었다. 파종기가 4월 20일에서 5월 30일로 지연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9.5%에서 12.6%로, 조지방은 1.4%에서 1.7%로, 가용무질소물은 45.4% 에서 46.2%로, TDN 함량은 51.4%에서 55.0% 로 증가되는 반면 조섬유 함량은 35.1%에서 31.6%로, 조회분 함량은 8.6%에서 7.9%로 감소되었다. 이 시험 결과 제주조의 사초수량을 최대로 올릴 수 있는 적정 파종기는 5월 1일로 추정할 수 있었다.

가을 재배 사초용 연맥의 파종 시기 및 수확시기별 건물 수량과 사료가치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 of Oat Plant at Various Planting and HaNesting Date in Fall)

  • 신정남;김병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94-299
    • /
    • 1993
  • 연맥의 파종기와 수확기가 건물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1992년 9월 1일(첫째). 9월 11일(둘째), 9월 21일(셋째 파종기)에 파종하여 동년 11월 7일(첫째 수확기)과 19일(둘째 수확기)에 수확하였다. 1. 초고는 파종시기와 수확기에 따라 영향을 받았으며 첫째 파종기의 둘째 수확기의 것이 가장 길었다. 2. 사초의 건물 함량은 첫째로부터 셋째 파종기로 지연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그 범위는 15.1%에서 13.5%였고 동일 파종기내에서도 수확기가 늦은 것이 증가되었다. 3. 잎의 비율은 첫째 파종기로부터 셋째 파종기로 지연됨에 따라 증가되었는데 그 범위는 52%에서 77%였다. 4. 조단백질의 함량은 첫째에서 셋째 파종기로 지연됨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그 범위는 14.3%에서 25.4%였다. NDF와 ADF의 함량은 파종시기와 수확기에 영향을 받았으며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감소되었다. 5. 건물 수량은 파종시기가 지연됨에 따라 감소되었고 첫째, 둘째, 셋째 파종기의 것이 각각 6,705 kg, 5,520kg 및 2,315kg였으며 처리간에 유의성 (P< .01)이 있었다. 첫째 수확기와 둘째 수확기의 건물 수량은 각각 4,027kg과 5,667kg로 둘째 수확기의 것이 많았다(P<.01). 6. 본 시험 결과에 의하면 가을 연맥 재배시 9월 1일 파종에 11월 19일 수확한 처리가 좋았다.

  • PDF

가축분 시용수준이 수수 X 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질산태질소 함량과 당도 및 채식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pplication Level of Animal Manure on the Nitrate Concentration, Sugar Content and Intake of Forage Sorghum X Sudangrass Hybrid)

  • 서성;김종근;정의수;김원호;최기준;이종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3-130
    • /
    • 2002
  • 본 시험은 가축분 퇴비 시용조건에서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Sorghm bicolor (L.) Moench)의 시용수준별, 생육시기별, 잎과 줄기 부위별 질산태 질소 함량과 당토 및 가축 채식률 등을 구명하고자 Pioneer 988 품종을 공시하여 1995년도에 실시하였다. 가축분은 톱밥과 50:50으로 섞은 발효분으로 시용수준은 ha당 우분 퇴비 50, 100, 150톤, 돈분 퇴비 20, 40, 80톤, 계분 퇴비 10, 20, 40톤을 파종 보름전 시용하였으며, 각각 무비구(대조구)를 두고 파종은 ha당 30kg의 종자를 휴폭 50cm로 조파하였다.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질산태 질소 함량은 가축분 퇴비 시용구에서 무비구인 대조구 (평균 228mg/kg)에 비해 높았으며(P<0.05), 또 가축분 퇴비 시용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평균 질산태 질소 함량은 397, 512, 609mg/k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생육시기별 질산태 질소 함량은 초장 50~60cm, 100~120cm, 200~220cm일 때 각각 평균 438, 454, 418mg으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또 질산태 질소 함량은 가축분 퇴비 종류에 관계없이 줄기(376mg/kg)가 잎(135mg)에 비해 크게 높았으며(P<0.05), 잎에서는 하부 잎(151mg)이 상부 잎(58mg)에 비해 현저히 높았고 (P<0.05), 줄기에서도 아래부위로 갈수록 질산태 질소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상부위, 중간부위, 하부위에서 각각 357, 511 및 610mg이었다.(P<0.05). 수수$\times$수단그라스의 당도는 가축분 퇴비 시용구에서 대조구(평균 4.9。)에 비해 낮았으며 (P<0.05), 또 가축분 퇴비 시용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평균 당도는 4.9, 4.4, 4.3。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본 시험에서 대체적인 당도의 범위는 4~5。 범위였으며, 생육시기별 당도는 초장 50~60cm와 100~120cm에서는 평균 3.9。로 낮았으나 초장 200~220cm일 때는 평균 6.1。로 크게 높아졌다. 가축 채식률은 가축분 퇴비 시용구에서 무비구인 대조구(평균 76.1%)에 비해 낮았으며(P<0.05), 또 가축분 퇴비 시용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평균 채식률은 73.9, 58.7, 52.3%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모작 작부체계에 적합한 극조생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신품종 '그린팜'의 품종 특성 (A Very Early-Maturing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New Variety, 'Green Farm' for Double Cropping System)

  • 지희정;이상훈;윤세형;김기용;최기준;박형수;박남건;임영철;이은섭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14
    • /
    • 2011
  • 본 시험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극조생종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2001년부터 2010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에서 수행되었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신품종 '그린팜'는 2배체 품종으로서 엽은 녹색이며, 월동 전 초형은 직립형이고, 봄의 초형은 반직립형이다. 또한 '그린팜'는 4월 28일경에 출수하는 극조생종 품종으로 '그린팜'은 'Florida 80' 보다 지엽폭이 0.4mm 넓고, 지엽의 길이가 0.8 cm 길었으며, 출수기에 초장은 93 cm로 'Florida 80' 보다 5 cm 정도 작았다. 줄기의 두께는 'Florida 80' 보다 0.6 mm 굵고 이삭길이는 0.3 cm 짧았으며, '그린팜'의 내한성은 'Florida 80' 보다 다소 강한 품종이었다. '그린팜'의 건물수량은 11,790 kg/ha로서 'Florida 80'과 대등하였다. '그린팜'의 사료가치는 in vitro 소화율이 68.7%, 가소화양분총량(TDN)이 63.3%로서 'Florida 80' 보다 각각 1.9, 1.7% 높았고, 산성세제불용섬유(ADF)와 중성세제불용섬유(NDF)는 32.5 및 54.6%로 'Florida 80' 보다 각각 2.2 및 4.3%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