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Seeding Dates on Ecological Response, Yield Potential and Feed Value in Jeju Italian Millet

제주조의 파종기에 따른 생태반응, 수량성 및 사료가치 변화

  • Cho, Nam-Ki (The Research Institute for Subtropical Agriculture and Biotechnology Cheju national University) ;
  • Ko, Dong-Hwan (The Research Institute for Subtropical Agriculture and Biotechnology Cheju national University)
  • 조남기 (제주대학교 아열대농업생명과학연구소) ;
  • 고동환 (제주대학교 아열대농업생명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seeding date on growth, characteristic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Italian millet (Setaria italica) from April 20 to May 30, 2003(April 20, May 1, May 20 and May 30) in Jeju. A local variety was seeded on days to heading were lessened as seeding date was delayed. The plant height was longest when seeded on 1 May(131cm) than at the other seeding dates. Stem diameter, number of leaves, leaf length and leaf width had the similar trend with plant height. SPDA reading values were greater at earlier seedings. Fresh forage yield was greatest (43.28MT/ha) at 1 May seeding and decreased gradually before or after this seeding date. Dry matter yield, crude protein yield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yield had nearly the same tendency with fresh forage yield. Crude protein, crude fat, NFE and TDN contents were greatest at 30 May seeding and then decreased earlier seedings. Crude ash and crude fiber content tended to decreased as seeding was delayed. Based on the these findings, optimum seeding date for forage production of Italian millet seems to be early May in Jeju island.

본 시험은 제주도 화산회토양에서 제주조의 파종시 적기를 구명하기 위해 2003년 4월 20일부터 5월 30일까지 파종기 변동(4월 20일, 4월 30일, 5월 1일, 5월 20일, 5월 30일)에 따른 생육반응, 수량성 및 사료가치를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하였다. 출수기 까지의 일수는 100일에서 60일로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출수기까지 일수는 단축되고 조기파종 할수록 지연되었다. 초장은 5월 1일 파종에서 131cm로 가장 큰 편이었으나 그이전과 그 이후 만기파종 할수록 초장은 짧았고 5월 30일 파종에서 86cm로 작아졌다. 엽장, 엽수, 엽폭 및 줄기 직경은 초장반응과 비슷하였고 엽록소 측정치는 40.6에서 35.8로 만기파종 할수록 낮아졌다. 생초, 건물, 단백질 및 TDN 수량은 5월 1일 파종에서 각각 43.28MT/ha, 12.5MT/ha, 1.39MT/ha, 6.60MT/ha로 증수되었으나 그 이전과 그 이후로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5월 30일 파종에서 생초수량은 12.63MT/ha, 건물수량 7.56MT/ha, 단백질수량 0.96MT/ha, TDN 수량은 4.16MT/ha 로 감수되었다. 파종기가 4월 20일에서 5월 30일로 지연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9.5%에서 12.6%로, 조지방은 1.4%에서 1.7%로, 가용무질소물은 45.4% 에서 46.2%로, TDN 함량은 51.4%에서 55.0% 로 증가되는 반면 조섬유 함량은 35.1%에서 31.6%로, 조회분 함량은 8.6%에서 7.9%로 감소되었다. 이 시험 결과 제주조의 사초수량을 최대로 올릴 수 있는 적정 파종기는 5월 1일로 추정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1996. 표준사료성분분석법. 1-16
  2. 윤용범, 정순영, 이주심. 1994. 파종시기가 Pearl millet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4(2):125-131
  3. 이홍석. 1983. 전작. 방송통신대학. pp. 147-150
  4. 조남기, 송창길, 오은경, 조영일, 고지병. 2000 제주도에서 차풀의 파종기 이동에 따른 생육반응. 수량 및 사료가치 변화. 동물자원지. 42(5):711-718
  5. 조남기, 강영길, 송창길, 고영순, 조영일. 2001a.제주지역에서 파종기에 따른 제주피의 사료수량 및 조성분 변화. 한초지. 21(4):217-224
  6. 조남기, 송창길, 조영일, 고지병. 2001b. 제주지역에서 파종기에 따른 양마의 사료수량 및 조성분변화. 한작지. 46(6):439-442
  7. 조재영. 1983. 전작. 향문사. pp 158-197
  8. 최병한. 박근홍, 박종민. 1989. 시비량이 진주조의 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작지. 34(4):396-399
  9. 최병한, 박근홍, 박종민. 1990. 진주조의 파종기 이동에 따른 유효적산온도 및 수량성. 한작지. 35(2):102-125
  10. 三井計夫. 1988. 飼料作物 .草地. 養賢堂. pp514-519
  11. Cho, N.K., W.J. Jin, Y.K. Kang, B.K. Kang and Y.M. Par. 1998. Effect of seeding rate on growth,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 forage rape cultivars. Korean J. Crop Sci. 43(1):54-58
  12. Han, I.K., S.H. Park and K.I. Kim. 1971a. Studies on the Nutritive Values of the Native grasses and Legumes in Korea. II. Location and family differences in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Korean native herbage plants. Korean J. Anim. Sci. 13(2): 107-115
  13. Han, I.K., S.H. Park, Y.S. Lee, K.I. Kim and B.H. Ahn. 1971b. Studies on the Nutritive Values of the Native grasses and Legumes in Korea. I. Seasopal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some Korean native herbage plants Korean J. Anim. Sci. 13(1):3-16
  14. Johnson, B.J. and D.G. Cummins. 1967. Influence of rate time of nitrogen application on forage production of sorghum for sialage. Georgia Agr. Res. 9:7-8
  15. Wardeh, M.F. 1981. Models for estimating energy and protein utilization for feed. Ph.D. Dissertation Utah State Univ., Logan, Utah, USA
  16. Yoon, Y.B., S.Y. Jeong and J.S. Lee. 1994. The Effect of Different Seeding Date on the Yield and Nutritional Value of Pearl Millet(Pennisetum americalnum L.) J. Korean Grass. Sci. 14(2): 125-131

Cited by

  1. Effect of Planting Density and Seeding Date on the Tiller Aspect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vol.29, pp.4, 2016, https://doi.org/10.7732/kjpr.2016.29.4.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