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Seeding Rate on Growth Characters, Yield Potential and Feeding Value in Jeiu Italian Millet

제주조의 파종량 차이에 따른 생육반응, 수량성 및 사료가치 변화

  • Cho, Nam-Ki (The Research Institute for Subtropical Agriculture and Biotechnology Cheju national University) ;
  • Ko, Dong-Hwan (The Research Institute for Subtropical Agriculture and Biotechnology Cheju national University)
  • 조남기 (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과학과) ;
  • 고동환 (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과학과)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A Jeju local variety of Italian millet (Setaria italica Beauvois) was grown at five seeding rates (6, 9, 12, 15 and 15 kg/ha) from May 1 to August 25, 2003 at Jeju to determine influence of seeding rate on agronomic characters, forage yield and quality. Days to flowering increased from 89 to 96 days as seeding rate increased from 6 to 18 kg/ha. The plant height increased from 128 to 148cm as seeding rate was increased from 6 to 12 kg/ha and then decreased to 131cm at a rate of 18 kg/ha. With increasing seeding rate, stem diameter, number of leaves, number of nodes, leaf width and weight per plant decreased but leaf length had the same trend with plant height. As seeding rate increased from 6 to 12 kg/ha, fresh furage, dry matter, crude protein,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yield increased from 35.93 to 54.83 MT/ha, 10.49 to 17.43 MT/ha, 0.94 to 1.79 MT/ha and 5.33 to 9.27 MT/ha, respectively, and then decreased with further increased seeding rates. Crude protein, either extract, nitrogen free extract, and TDN content increased 9.0 to 12.01%, 1.3 to 1.8%, 45.6 to 47.8% and 50.8 to 55.0%, respectively, but crude fiber content decreased 35.2 to 30.0% and crude ash declined 5.8 to 8.4% as seeding rate increased from f to 18 kg/ha. The optimum seeding rate to obtain the highest forage yield was estimated to be 12 kg/ha.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파종량 차이(6, 9, 12, 15, 18kg/ha)에 따른 제주조의 생육반응, 수량 및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 5월1일부터 8월 25일까지 수행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출수기까지의 일수는 89일에서 96일로 파종량이 많을수록 지연되었다. 초장은 6kg/ha 파종에서 128cm 였으나 파종량이 12kg/ha로 증가됨에 따라 148cm로 커졌고 그 이상으로 파종량을 증가시킬수록 초장은 작아져서 18kg/ha 파종에서는 131cm였다. 경직경, 엽수, 마디수 및 엽폭은 파종량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엽장은 초장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파종량이 6kg/ha에서 12kg/ha로 증가됨에 따라 생초 수량은 35.93MT/ha에서 54.83MT/ha로, 건물 수량은 10.49MT/ha에서 17.43MT/ha로, 단백질 수량은 0.94MT/ha에서 1.79MT/ha로, TDN 수량은 5.33MT/ha에서 9.27MT/ha로 증가되었다 가 그 이상으로 파종량을 증가시킬수록 단백질 수량과 TDN 수량은 감소되었다 파종량이 6kg/ha에서 18kg/ha로 증가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9.0%에서 12.01%로, 조지방 함량은 1.3%에서 1.8%로, 가용무질소물은 45.6%에서 47.8%로, TDN 함량은 50.8%에서 55.0%로 증가되었으나 조섬유 함량은 35.2%에서 30.0%로, 조회분 함량은 8.8%에서 8.4%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제주조의 사초수량을 최고로 올릴 수 있는 적정 파종량은 12kg/ha로 추정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1996. 표준사료성분분석법. 1-16
  2. 이홍석. 1983. 전작. 방송통신대학. pp. 147-158
  3. 조남기, 오은경, 강영길, 박성준. 2000. 파종량 차이에 따른 차풀의 생육,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 변화. 한초지 20(3):21-226
  4. 조남기, 송창길, 송승운, 조영일, 오은경. 2001 제주지역에서 파종량 차이에 따른 귀리의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조성분 변화. 동물자원지 43(4):561-568
  5. 조남기, 강영길, 김인식, 조영일, 오은경. 2001a. 제주조의 재식밀도에 따른 주요형질, 사초수량 및 조성분 변화. 한초지. 21(2):53-58
  6. 조남기, 송창길, 김인식, 조영일, 오은경. 2001b. 제주메조의 주당 본수에 따른 주요형질, 사초수량 및 조성분 변화. 동물자원지 43(6):967-972
  7. 조재영. 1983. 전작. 향문사. pp 158-197
  8. 최병한, 박근홍, 박종민. 1989. 시비량이 진주조의 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작지. 34(4):396-399
  9. 한건준, 김동암. 1992. 파종량 및 질소시비수준이봄 연맥의 생육특성, 사료가치 및 사초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2(1):59-66
  10. 三井計夫. 1988. 飼料作物 .草地. 養賢堂. pp 514-519
  11. Cho, N.K.., W.J. Jin, Y.K. Kang, B.K. Kang and Y.M. Par. 1998. Effect of seeding rate on growth,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 forage rape cultivars. Korean J. Crop Sci. 43(1):54-58
  12. Masaoka, Y.K. and N.B. Takano. 1980. Studies on the Digestibility of Forage Crops. I. Effect of plant density on the feeding value of a sorghum sudangrass hybrid. J. Japan Grassl. Sci. 26(2): 179-184
  13. Schadlich. F. 1986. Effect of sowing date and rate camposan on culm stability of winter rye. Field Crop Abs. 39(11):955
  14. Tasuke Yasue and Yauso Kawase. 1975. Studies on the cultivation of Japanese barnyard millet (Echinochloa utilis OHWI et YABUNO) as soiling crop. 1.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 J. Japan Grassl. Sci. 21(1):34-41
  15. Trung. B.C. and S.K. Yoshida. 1985. Influence of Planting Density on the Nitrogen and Grain Productivity on Mungbean. Japan. J. Crop Sci. 54(3):266-272 https://doi.org/10.1626/jcs.54.266
  16. Wardeh, M.F. 1981. Models for estimating energy and protein utilization for feed. Ph.D. Dissertation Utah State Univ., Logan, Utah,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