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sta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4초

풀망둑(Acanthogobius hasta) 젖산탈수소효소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Lactate Dehydrogenase in Acanthogobius hasta)

  • 염정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64-272
    • /
    • 2008
  • 풀망둑(Acanthogobius hasta) 조직의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 동위 효소의 특성을 생화학적, 면역화학적 및 역학적 방법에 의해 연구하였다. 풀망둑 골격근과 눈 조직의 젖산탈수소효소 활성이 65.30과 53.25 units였고, 심장과 간 조직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골격근 조직의 LDH/CS는 22.29로 가장 높고, LDH 특이활성도는 뇌 56.45, 눈 38.04 및 골격근 11.04 units/mg였다. 각 조직에 대해 $A_4,\;B_4$, eye-specific $C_4$, 및 liver-specific $C_4$에 대한 항혈청으로 면역 침강 반응시킨 후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 하였다. 골격근, 뇌 및 눈 조직에서 $A_4$ 동위효소가 우세하게 확인되었고, 심장에서는 $A_4$ 동위효소가 확인되었다. 또한 양극의 eye-specific t와 음극의 liver-specific $C_4$가 한 종에서 함께 발현되었으며, 눈 조직의 eye-specific $C_4$는 활성이 크고 간 조직의 liver-Specific $C_4$의 활성은 낮게 나타났다. 결과 $A_4$$C_4,\;A_4$$B_4$ 및 eye-specific $C_4$와 liver-specific $C_4$의 분자구조의 일부가 서로 유사하지만 $B_4$$C_4$의 구조는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하부단위체 A는 보존적이고 하부단위체 B는 하부단위체 A보다 빠르게 진화된 것으로 사료된다. 골격근 조직의 LDH $A_4$ 동위효소는 affinity chromatography에서 $NAD^+$를 함유한 buffer를 유입한 후 용출된 분획에서 정제되었고, eye-specific $C_4$ 동위효소는 $A_4$ 분획에 이어 용출되었으므로 eye-specific $C_4$$A_4$의 분자 구조와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LDH에 대한 피루브산의 저해 실험 결과 35.22-43.47% 의 활성이 남았고, $Km_{pyr}$은 0.080-0.098 mM이고 골격근과 눈조직의 Vmax은 153.85와 35.09 units였다. 또한 $B_4$ 동위효소가 열에 대해 가장 안정하였고 $C_4$$A_4$보다 안정하였으며, 최적 pH는 6.5로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풀망둑은 저 산소 환경조건에 적응되어져 조직들의 동위효소들이 $A_4$$B_4$ 동위효소 사이의 특성을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산 말뚝망둥어 Periopthalmus cantonensis(농어목:망둑어과)의 골학적 연구 (Osteological Study of the Mudhopper, Periopthalmus cantonensis (Perciformes, Gobiidae) from Korea)

  • 이충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02-410
    • /
    • 1990
  • 한국산 P. cantonensis의 골격 특징을 조사하기 위하여 같은 망둑어과 어류에 해당되는 Tridentiger obscurus, Synechogobius hasta 및 Odontogobius platycephala등의 골격들과 비교 검토한 결과, 새조골이 5개이고, 상미축골이 2개이며, hypomeral이 존재하는 점은 서로 일치하였으나, 뇌두개를 구성하는 골격들이 융합되었고, 익상골이 사각형이면서 방형골과 떨어져 있으며, 3개의 사출골은 융합하고, hypomeral이 늑골에 100% 부착하며, 준하미축골이 매우 퇴축되었으며, 또 치골과 관절골 사이의 관절이 잘 움직이고, 훙대와 요대의 관절과 이들의 지느러미 기부에 근육이 발달된 점 등으로 본 P. cantonensis에서만 독특하게 나타나고 있어 본 종은 망둑어과 어류 중에서도 계통분류학적으로 매우 특이한 분류군으로 사료되었다.

  • PDF

한국 남해안의 풀망둑에 기생하는 요각류 Acanthochondria brevicorpa 감염률의 계절성 (Seasonality of the Infection of Acanthochondria brevicorpa (Copepoda) on a Gobiid fish Acanthogobius hasta off the south coast of Korea)

  • 서해립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4
    • /
    • 1994
  • 완도 해역에서 1990년 4월에서 1991년 3월까지 숙주 어류인 풀망둑을 월별 채집하 여 기생성 요각류 Acanthochondria brevicorpa를 조사하였다. 감염률은 숙주 크기와 양의 상관이었다. 기생성 요각류는 전장이 24 cm 이상되는 어류에서만 채집되었다. 숙 주가 잡히지 않아 1990년 4, 6, 7월의 자료를 얻을 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A. brevicorpa의 감염률과 감염강도에서 뚜렷한 계절변동이 나타났다. 채집된 어류 83마 리 중 34.9%가 요각류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포란한 요각류는 2월과 5월 사이에 나 타났으며, 5월에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요각류의 유생 중 CC에서 CIII 유생은 조사기 간에 1마리도 채집되지 않았으며, 3월과 5월에 CIV와 CV 유생이 약간 발견되었을 뿐이 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요각류 A.brevicorpa는 주로 봄에 생식하고, 추가적인 숙주를 포함하는 생활환을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금강하구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의 생태 (Ecology of Synechogobius hasta (Pisces : Gobiidae) in the Kum River Estuary, Korea)

  • 최윤;김익수;유봉석;박종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5-123
    • /
    • 1996
  • 서해 군산연안에 서식하는 풀망둑의 생태 연구를 위해 1994년 5월부터 1995년 6월까지 매월 표본을 채집하였으며, 서식환경, 난소의 성숙과정과 산란기, 포란수, 자어의 출현과 착저(着底)시기, 성장, 먹이생물 등을 분석하였다. 본 종의 난소 발달과정은 $10\~11$월의 난원세포기, $12\~2$월의 성장기, $2\~4$월의 성숙기, 4월-5월 초의 완숙 및 산란기로 구분되었다. 4월 하순부터 산란을 시작하여 5월 중순에 대부분 산란을 종료하였고, 산란성기는 5월 초${\cdot}$중순이었다. 포란수는 전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약 $8,600\~49,000$ 여개를 포란하고 있었다. 성숙란을 포함하는 최소 성체는 전장 225mm(체장 180mm)였다. 5월 중순 이후 6월 초까지 전장 10mm 미만의 자어가 출현하였으며, 5월 말부터는 전장 $13.0\~15.0mm$의 개체들이 조간대 부근의 천해역에서 저서생활을 시작하였다. 이들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여 10월 무렵에는 평균 전장 141.7 mm에 달하였는데, 이후 12월부터는 천해역에서 자취를 감추고 이듬해 산란기까지 조하대로 이동하여 생활하였다. 본 연구에서 채집된 풀망둑의 최대 전장은 산란 직전인 4월에 채집된 것으로 수컷이 531mm, 암컷이 472mm 였다. 위내용물은 어린 개체들의 경우 요각류와 기타 무척추동물의 유생을 섭식하였고, 성체에 있어서는 게, 어류, 새우류, 두족류, 갯지렁이류 등을 다양하게 섭식하였으며, 특히 새우류의 섭식량이 많았다.

  • PDF

우이군도의 하계 조간대 어류 (Intertidal Fishes of Wooi-Islands, Chollanam-do, Korea in Summer)

  • 최윤;김지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59-263
    • /
    • 2000
  • 1998년 8월 14일부터 18일 까지 전라남도 신안군 우이군도의 조간대에 서식하는 어류를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한국미기록 1종을 포함하여 모두 5목 15과 22속 25종이였다. 이 가운데 망둑어과 Gobiidae 어류가 6종, 청베도라치과 Blenniidae 어류가 3종이었고,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어종은 망둑어과의 점망둑 Chasmichthys dolichognathus, 두줄망둑 Tridentiger trigonocephalus,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 였다. 한편 성촌(St. 2)에서 채집된 1개체는 Pomacentridae (자리돔과)의 자리돔속에 포함되는 Abudefduf bengalensis로 동정되었고, 이 종은 몸에 검은 가로줄무늬를 가진 특징으로 "흑줄돔"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 PDF

강화도 갯벌 천해의 건간망 어획 어류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Fish Catch Using a Fence Net in the Shallow Tidal Flat off Ganghwado, Korea)

  • 황선완;김종관;이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76-685
    • /
    • 2003
  • Seasonal variation of the fishery resource in the shallow waters of Ganghwado tidal flat was investigated using monthly collected samples with a fence net from June 1998 to May 1999. Thirty-six species were found including 27 fish species, 6 crustaceans, and 3 molluscs. Of the fish, Konosirus punctatus, Sardinella zunasi Liza haematocheila and Synechogobius hasta dominated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92.1\%)$ and in biomass $(94.5\%).$ A few number of resident species, such as L. haematocheila and S. hasta, were collected only during the cold months. As the water temperature increased in the spring, the adult migratory fish such as K. punctatus and S. zunasi, were collected. In the summer, the juvenile fish recruited in the shallow water showing a peak in fish abundance. The data suggested that they grew until late autumn before moving to deeper waters for over-wintering.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ed that the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was principally determined by water temperature and/or water temperature related factors.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fish assemblage in the study area suggested that these species are highly adapted to extreme seasonal temperature variation and high water turbidity.

탐진강의 어류상 (On the lchthyofauna of the Tam-jin River, Korea)

  • 나창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44-250
    • /
    • 1994
  • 1990년 9월 10일부터 1993년 10월 20일까지 탐진강 일대의 9개 지점을 중심으로 어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는 투망과 족대 뜰망, 낚시 등을 이용하여 채집한 어류는 총 13과 26속 34종이었으며, 이중에 최(崔)(1989)의 18과 41속 55종과 비교한바 대부분 유사한 종이나 정보에 따른 종중 Acanthogobius hasta, Macropodus chinensis, Channa argus가 출현하였고, 한국산 특산 어종으로는 Rhodeus uyekii, Acheilognathus yamatsutae, Acanthorhodeus gracilis,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Sualidus gracilis magimae, Microphysogobio yaluensig, Cobitis longicorpus, Psewdobagrus koreanus, Liobagrus mediadiposalis, Odontobutis platycephala 12종이며, 우세종은 Zaccoplatypus, Z. temmincki, Acheilognathus yamatsutae 순이고, Cyprinus의 19종이 가장 많은 종수로 밝혀졌다.

  • PDF

만경강 . 동진강 하구역 생물체(벼, 패류, 망둑어) 중 중금속 함량 및 분포 (Heavy Metal Content and distribution of Bioorganisms in Mankyeong.Dongjin River Area)

  • 권용훈;황갑수;장재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6-121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heavy metal contents and distribution in bioorganisms from the estuary area of Mankyeong-Dongjin river. In paddy plant, the average contents of heavy metals were in order of Zn>Cu>Pb>Cr>Cd in all parts. Those of Cd, Cr, Pb and Cu were all highest in the leaf while lowest in the brown rice. The average content of Zn was almost similar in all parts. In the dried muscular parts of shellfish, the average contents of heavy metals were in the range of 1.06~1.95 mg/kg for Cd, 2.93~4.98 mg/kg for Cr, 0.90~1.17 mg/kg for Pb, 8.41~18.58 mg/kg for Cu and 29.81~67.31 for Zn, respectively, In fish(Acanthogobius hasta), the averag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the dried body parts were in the range of 0.05~0.43 mg/kg for Cd, 0.65~4.59 mg/kg for Cr, 1.01~4.75 mg/kg for Pb and 1.34~4.19 mg/kg for Cu, with high accumulation in bone and head overal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