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ppiness satisfaction with life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7초

기혼남녀의 결혼만족 이유에 대한 내용분석 : 결혼만족 근원의 유사점과 차이점 (Content Analysis of Reasons for Marital Satisfaction : Comparison of Sources of Marital Satisfaction Among Men and Women)

  • 현경자;김연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9권
    • /
    • pp.225-263
    • /
    • 2002
  • This study examined reasons for marital satisfaction among men and women, and explored how sources of marital satisfaction varied with gender. Data were drawn from a sell-administered questionnaire study in which 173 married people residing in Seoul participated. Although the majority of both men and women in this study were at least somewhat satisfied with their marital life, men were, on average, more satisfied with their marriage than were women. Content analysis of reasons for marital satisfaction, obtained through an open-ended question, revealed that both men and women mentioned most frequently as their sources of marital satisfaction in this order: spouse, family, and children. However, while a large proportion of men's reasons for satisfaction concerned spouse, particularly affective relationship with their spouses, women's reasons indicated more diverse sources of marital satisfaction, including spouse, family, children, stability of living and of economy. Analysis of specific reasons for satisfaction in each source revealed that marital satisfaction was intimately connected with one's experience of happiness, love, stability, harmony, and peace, and that respondents experienced such positive emotions, leading to marital satisfaction, not only through relationship with their spouses, but also through other sources, such as children, family members, and respondents themselves. Moreover, good personality and health of spouse, family members, and children were frequently cited as reasons for marital satisfaction, and these reasons were more common among women's responses. Based on these results, both univers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arital satisfaction were considered, and gender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marital life were discussed. Finally, implications for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from this study were provided.

  • PDF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ife Stress and Stress Coping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 최윤숙;김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09-119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건강증진행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B시와 K시에 소재한 6개 대학교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최종 352부를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건강증진행위는 학교생활 만족도(F=9.18, p<.001), 행복 점수(F=20.64, p<.001), 건강 상태(F=12.40, p<.001), 아침식사 유무(t=3.31, p=.001), 편식 유무(t=-4.20, p<.001), 수면 시간(F=2.64, p=.049), 운동 유무(t=5.20,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는 생활 스트레스(r=-.289, p<.001)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스트레스 대처(r=.539, p<.001)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 대처(β=.439, p<.001)이었으며, 다음으로 행복 점수(β=.251, p<.001), 운동 여부(β=.172, p<.001), 편식 여부(β=.125, p=.002), 생활 스트레스(β=-.121, p=.005), 아침식사 여부(β=.083, p=.046) 순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46.0%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하기 위하여 스트레스 대처 정도를 증진시키고, 간호대학생의 행복감을 높이며, 생활 스트레스는 줄이고, 운동과 좋은 식습관을 유지할 수 있는 통합적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청소년의 봉사활동 참여정도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participation in volunteering activity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 김상우;장혜영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46-56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affects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that is, their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see if adolescents can improve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away from the negative emotions they are currently feeling through physical activities such as hand-help and consolation activities and check if self-esteem has mediating effects in this process. Design: Surve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the surveyor, with a total of 9,041. Results: First, it shows that the higher frequency of adolescents' physical activity leads to higher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it shows that the higher the self-esteem leads to higher subjective well-being felt by adolescents. Third, the level of youth physical activity itself contributes to subjective well-being while also affecting self-esteem, and the self-esteem also affects the subjective well-being that adolescents perceive. Conclusion: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programs to enhance subjective well-being for students with poor school life adaptat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as well as continuous attention such as organization and counseling of programs in schools to enhance self-esteem.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by encouraging and guiding teenagers with low satisfaction with life and low self-esteem to physical activities such as volunteer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ies that suit their aptitude, and the adolescents will get away from the negative emotions they are currently feeling and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life.

도시주부의 결혼 만족도와 離婚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rban wives' Marital satisfaction and Divorce Attitude)

  • 박찬미;서병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5권2호
    • /
    • pp.145-162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Wives' marital satisfaction and Divorce attitude as a basis building in marital stability . A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is study are marital satisfaction scale, which was adapted and reproducted from Dyadic Adjustment Scale(DAS) developed by Spanier and Divorce attitude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researcher refer to preceding study connected with a cause of divorce. The subjects were 354 married women dwelling in Seoul.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ile. mean , standard deviation, one 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is the tendency to high marital satisfaction group rather more than low marital satisfaction group and to permissional attitude group rather more than negative attitude group about divorce attitude. 2) There was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by number of children, wives's educational level, parents marriage happiness.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by length of marriage, family income, wives employments status, marriage pattern. 3) There was partially difference in wives' attitude toward divorce by wives educational level, family income. Bo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wives attitude toward divorce by the other factors. 4) wives' attitude toward divorce correlates with marital satisfac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is 283 significantly of .001 level. The more satisfaction wife feels about her own matrimony. the more negative a attitude she has toward divorce. This menas that attitude toward divorce depends upon their matrimony. 5) The four type of marital stability are as follows; high marital stability type, high subjective unstability type, high objective unstability type, high marital unstability type.

  • PDF

웰빙(Well-being)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 (Humanistic Approach To Well-being)

  • 조용기;김승남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21-346
    • /
    • 2019
  • 인간의 생명은 죽음을 맞이하는 한정된 시간을 갖는다. 이러한 시간에서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면서 인간 삶의 목적은 행복을 지향하고 있다. 행복을 위한 고민은 웰빙의 문화적 흐름을 낳았다. 웰빙은 일상적인 의미에서 잘 먹고, 잘 사는 것을 느끼면 개인이 하고 싶은 것을 하면서 지내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현대의 이러한 흐름들은 현재 살고 인간 삶이 더욱 어려워 졌다는 것을 의미한기도 한다. 여기에 진정한 웰빙이 무엇인지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무엇보다 웰빙이 행복을 위한 방법이라면 그 원인을 파악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이에 논자는 욕망의 문제에 집중하여 살펴보았다. 욕망은 인간 삶의 결핍과 장애로서 극복되어지거나 제거되어야 하지만 다른 측면에서는 삶의 동력으로서 작용한다. 욕망의 조절을 통해 진정한 웰빙의 의미를 찾을 수 있으며 행복은 실현될 수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진정한 웰빙은 욕망을 어떻게 조절하고 사용함으로 행복과 불행으로 나아갈 수 있으며, 여기에는 도덕적인 입장을 반영할 때 진정한 웰빙의 흐름이 문화적으로 지속되리라 본다. 결국 웰빙이라는 것은 행복의 목적을 지향한다. 이러한 웰빙은 목표를 이루고자 하는 도전의 과정을 통해 성취하고 만족하는 삶으로 나와 타인에 대해 도덕적 가치를 갖는 삶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인간의 삶에서 나와 관계된 모든 것들과의 균형을 유지하고, 안분지족하는 삶이라고 하겠다.

기혼여성의 행복은 세대별로 어떻게 다른가? - 생활시간의 영향을 중심으로 - (How does the Happiness of Married Women Differ by Generation? - Focusing on the Impact of Time Allocation -)

  • 이현아;김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7권4호
    • /
    • pp.63-74
    • /
    • 2023
  • 본 연구는 생활시간의 배분과 균형이 삶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 생활시간의 관점에서 시간사용에 대한 만족감을 통해 기혼여성이 느끼는 행복의 단면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통해 세대별 생활시간구조를 살펴보고, 생활시간의 관점에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보았다. 기혼여성의 행복을 시간차원의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세대별로 행복을 느끼는 정도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경제활동을 하는 기혼여성의 경우, 베이비붐세대와 X세대의 행복에는 의무시간인 주업시간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Y세대의 행복에는 돌봄필요가구원 여부의 영향력이 가장 컸다. 반면,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기혼여성의 경우, 베이비붐세대와 X세대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봉사 및 여가시간에 따라, Y세대는 성역할태도에 따라 행복수준이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생활시간관점에서 기혼여성이 느끼는 행복수준이 세대에 따라, 그리고 경제활동여부에 따라 다르고, 또 그 영향요인 또한 세대와 경제활동여부에 따라 다르다는 연구결과는 기혼여성 대상 가족정책 수립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유연근무제와 근로자의 일·생활균형 -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로 확산의 영향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Flexible Work Arrangements and Work-Life Balance - With a Focus on Working From Hom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손연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2호
    • /
    • pp.37-5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 23차 부가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유연근무제와 근로자의 일·생활균형의 관계에 대해 코로나 19 이후 재택근로 확산의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택근무제는 근로자의 행복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 일자리 안정성과 관련한 직무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재택근무자와 비재택근무자의 코로나19를 전후로 한 시간활용 변화를 수면시간, 자기계발시간, 자녀돌봄, 가사노동, 운동, 친교모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았는데, 가장 큰 특징은 재택근무자가 비재택근무자에 비해 코로나19 이후 가사노동 시간과 자녀돌봄 시간이 더욱 크게 증가하였다는 점이며 이러한 경향은 여성에게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재택근무제의 효과가 자녀돌봄과 일을 병행해야 하는 근로자들에게는 그 효과가 반감될 수 있으며, 그 영향은 여성에게 더 클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자녀돌봄 등으로 인해 일·생활갈등 상황에 놓인 재택근로자들이 업무생산성을 유지하고 일·생활균형을 실현할 수 있도록 사회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유연근무제도가 전통적 성역할을 강화하는 매개체가 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치과위생사의 정서, 감정노동, 행복지수와 재직의도와의 융합적 관계 (The Convergence Relationship on Emotion, Emotional Labor, Happiness Index, and Retention Intention in Dental Hygienists)

  • 원영순;박아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35-144
    • /
    • 2019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정서, 감정노동, 행복지수와 재직의도의 관계를 파악하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치과위생사의 재직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전북 4개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2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19.0을 사용하여 단변량 분석과 3단계에 걸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혼인 경우(p<.001), 긍정적인 정서일수록(p<.001), 감정표현의 빈도가 낮을수록(p=.010), 삶의 만족 행복지수(p<.001)와 심리적 행복지수(p=.012)가 높을수록 치과 위생사의 재직의도가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에 치과위생사의 정서, 감정노동, 행복지수는 재직의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중요 관련요인으로 인식되어야 하며 개인적 차원이 아닌 조직적 차원으로 개선해 나갈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본다.

일반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비교 (Comparison of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Non-Medical and Medical College Students)

  • 김남철;김상훈;임홍규;김정호;정형식;박종철;김영심
    • 정신신체의학
    • /
    • 제23권1호
    • /
    • pp.47-56
    • /
    • 2015
  • 연구목적 일반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정도와 유형, 삶의 만족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등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13년 11월과 2014년 3월부터 4월까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소재 4개 대학교의 일반대학생 863명, 의과대학생 851명, 총 1,714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정보와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행복도, 음주, 니코틴 의존, 우울증상 등을 포함하는 건강 관련 요인들에 대해 자기보고 질문지를 이용하여 현장 조사하였다. 결 과 첫째, 일반대학생은 의과대학생보다 스트레스 총점이 유의하게 높았다. 일반대학생은 의과대학생에 비해 취업문제에서, 의과대학생은 일반대학생에 비해 학업성취도, 사교 활동의 변화, 친구의 죽음이나 질병에서 유의하게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일반대학생은 의과대학생에 비하여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셋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서 일반대학생은 행복도가, 의과대학생은 우울증상이 가장 설명력이 높은 변인이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일반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수준과 유형, 삶의 만족도 정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관련요인 등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생들에게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정신건강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여고생의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 및 학습 내용의 활용도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HIgh School Girls’s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Home Economics Course)

  • 고현숙;김기남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9-31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find out the general tendency of high school girls’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Home Economics course 2) to find out the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Home Economics Course 3)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Home Economics Cour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39 high school girls of third grade in Chunnam province including Ko-heung Kun. The questionaire was used as a methological instrument. The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x$^2$-test, T-test and F-test.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general tendency about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Home Economics Course. A third of 639 subjects answered that Home Economics Course was helpful for their livers. 45.1% of the subjects felt that Home Economics Course was eaiers to study than the other courses required in High school. 31.9% of the subjects liked Home Economics Course while 11.9% of subjects disliked it. 79.7% of the subjects wanted more practical studies and practices than theoretical studies in class of Home Econmics Course. The degree of application of Home Economics Course was low level; average score was 19.6 out of 30 points. 2. Variables related to the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Home Economics Course.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recognition toward Home Economics Course were the degree of helping housework, the degree of happiness as a femal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home life. The higher the level of income, happiness as a female and the satisfaction with home life, the higher the application score of Home Economics Course. 3.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Home Economics Course.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Home Economics Course. Students who showed affirmative responses to Home Economics Course, their application scores of home Economics Course were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who showed negative respon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