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sando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142초

Unreported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Leaves of Evergreen Woody Plants in Korea: Muyocopron lithocarpi and Didymocyrtis cladoniicola

  • Gwon, Ju-Hui;Park, Hyeok;Lee, Jong-Chul;Choi, Jae-Wook;Eom, Ahn-Heum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73-378
    • /
    • 2021
  • In this study, endophytic fungi were isolated from the leaves of evergreen woody plants in Hansando Island in South Korea. The fungal isolates were identified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DNA sequenc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the large subunit regions of rDNA. It was confirmed that two endophytic fungal species, Muyocopron lithocarpi and Didymocyrtis cladoniicola, isolated in this study have not previously been reported in South Korea.

대구 및 도서지방 주부의인스턴트 식품에 대한 인식 및 소비에 관한 연구 -대구, 울릉도, 한산도 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Image and Consumption abut Instant Food of Homemakers in Ullungdo, Hansando, and Daegu)

  • 박영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7-47
    • /
    • 1994
  • A survey on images and consumption for Instant food for 450 homemakers in Ullungdo, Hansando and Daegu area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ought of Homemakers food took 'easy to cook' and 'save time' as the best advantage in the image on instant food, while 'tasty' as the lowest one. It appeared that characteristic variables as household income, homemaker's education, homemaker's age, and area had influence on the image about instant food. 2) Processed food(ham, sausage)was purchased the most, while fermented food(kimchi, gochuchang) was purchased the least. It appeared that characteristics variables as household income, homemaker's education and homemaker's age had influence on the purchasing degree of instant food. 3)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homemaker's image on instant food and household income(0.247) and area(0.211).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homemaker's image on instant food and homemaker's age(-0.171). 4) Homemaker's purchasing degree about instant food had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homemaker's image on instant food(0.389), household income(0.247) and area(0.211)and had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homemaker's age(-0.190). 5) Fat intake had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homemaker's purchasing degree(0.281) and homemaker's image(0.144) on instant food. Energy intake had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homemaker's purchasing degree(0.206) and homemaker's image(0.138) on instant food.

  • PDF

한산도에 서식하는 식물의 잎에서 분리된 5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 (First Reports of Five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Leaves of Plants Inhabiting the Hansando Island in Korea)

  • 박혁;이종철;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17-22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경남 통영시의 한산도에서 서식하는 식물의 잎을 채취하여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균주는 배양특성과 포자등의 형태성특성 및 rDNA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영역, small subunit 및 large subunit 영역, 그리고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α 영역의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연구결과 5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 균주를 확인하였으며, 확인된 종은 Arthrinium camelliae-sinensis, Beltraniella humicola, B. portoricensis, Microxiphium theae, Piceomphale pinicola이다. 확인된 미기록 균주의 형태적 특성 및 분자생물학적 계통분석의 결과에 대해 서술하였다.

경남 한산도 봉암 잘피밭 어류의 월별 종조성 변화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 in Eelgrass Bed of Bongam on Hansando Island, Korea)

  • 한동훈;이대희;박준수;김준섭;이용득;박종율;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0-138
    • /
    • 2017
  • 경남 통영시 한산면 추봉리 봉암에 위치한 잘피밭의 어류의 월별 종조성과 양적 변동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2009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매월 예인망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총 30종, 3,237개체, 6,850.1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한 종들은 살망둑, 그물코쥐치, 복섬, 점망둑, 일곱동갈망둑, 실고기로 전체 개체수의 86.7%를 나타내었다. 잘피의 평균 엽장은 8월에 $772.7{\pm}136.0mm$, 건중량 81.6 g, 11월 평균 엽장은 $698.1{\pm}146.4mm$, 건중량 57.2 g, 2월 평균 엽장은 $499.2{\pm}96.4mm$, 건중량 15.41 g, 5월의 평균 엽장은 $642.5{\pm}208.3mm$, 건중량 61.90 g이었다. 봉암 잘피밭 어류 군집은 9월부터 12월까지 종수와 개체수가 감소하다가 그 이후부터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계절변화에 따른 수온 변화가 잘피밭의 어류 종조성에 주요한 영향을 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A new species of the genus Eurycletodes Sars G.O., 1909 (Copepoda: Harpacticoida: Argestidae) from South Sea of Korea

  • Bang, Hyun Wo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4호
    • /
    • pp.480-488
    • /
    • 2020
  • The genus Eurycletodes Sars, 1909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 new species of the genus Eurycletodes was collected from Hansando Island, South Sea of Korea. So far, Eurycletodes comprises 27 species, with no previously recorded species reported in East Asia, including Korea. Eurycletodes (Oligocletodes) vadumus sp. nov. is morphologically most closely related to E. (O.) denticulatus Por, 1967, E. (O.) aculeatus Sars, 1920, and E. (O.) diva Menzel, 2011, but clearly distinguishable from the others based on the follow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bsence of A2 exopodal seta, A1 last segment with two inner setae, P4 exp-3 proximal inner seta modified, the ratio of length and of caudal rami (1.6 times), and mandibular palp with three setae. Together with the new species, the number of valid species in this genus has risen to 28. A key to species of the genus Eurycletodes is provided.

경남 통영 한산도 여차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Fish Species Composition in the Eelgrass Bed of Yeocha on Hansando Island, Tongyeong-si, Southern Korea)

  • 박세웅;김준섭;이용득;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2-30
    • /
    • 2021
  • 이 연구는 한산도 여차 잘피밭의 어류상 조사를 통해 월간 출현 어종을 알아보고 인근의 봉암 조사 결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2009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지인망을 이용해 수행하였고, 조사 기간 동안 총 29종 2,394개체, 10,378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살망둑이었으며, 다음으로는 복섬, 그물코쥐치, 점망둑, 망상어 순이었고, 이들 6종이 총 개체수의 89%, 생체량의 83%를 차지하였다. 잘피밭에서의 어류 종조성은 계절에 따른 변화가 뚜렷했으며, 개체수는 5월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에 가장 많았고, 생체량은 4월에 최고값을 나타낸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월별 개체수와 생체량 변동 및 타 논문과의 비교를 통하여 여차 잘피밭이 어류의 성육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도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에 대한 주기적인 조사를 통해 남해안 연안 어류상 변화에 대비한 자료를 확보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인공종묘에 의한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의 성장 (On the Growth of the 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 from Artificial Seeds)

  • 유성규;임현식;임동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5-84
    • /
    • 1988
  • 1984년 2월부터 1986년 7월까지 한산도 앞바다에서 우렁쉥이 성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고의 성장에 있어서는 실험개시시 평균체고 0.5 mm에서 25경월후에는 9.15 cm로 자랐다. 육중의 성장은, 1985년 2월부터 1986년 3월까지의 13개월만에 1.27 g에서 41.69 g으로 증중하였다. 수온이 높고 (평균 $23.53^{\circ}C$), 해수비중이 낮은 (평균 1.0233)시기인 여름철에는 길이나 무게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체고에 대한 체폭의 상대성성비는 양식기간에 따른 성장과 더불어 낮아져서 우렁쉥이의 모양이 점차 장형이 되는 경향을 보였다. 월별 우렁쉥이 폐사율은 6월과 7월에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전체적으로 보면 $10.83\%$였다.

  • PDF

패류양식을 위한 적지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STUDIES ON ENVIRONMENTAL FACTORS IN MARINE BIVALVE CULTURE)

  • 이춘구;장남기;최신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3-40
    • /
    • 1969
  • 1. 각종 패류의 양식을 위한 적지요인 지수표를 만들기 위하여 패류의 밀도가 높은 서식지의 해수와 저질토양에 대하여 물리화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2. 해수의 혼탁도와 유기물, 규산염, 치환성 Cu의 함량을 상호관련이 있으며, 인천, 군산, 그리고 한산도근해의 해수에서는 이들 함량이 높고, 여수에서는 이보다 낮으며, 강능의 해는 가장 낮았다. 3. 각종 패류가 서식하고 있는 지역의 해수중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염류와 유기물의 함량은 각서식지간에 유의차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적지환경요인은 주로 토양조건이라고 추정할 수 있었다. 4. 유용패류의 적지토성은 입자조성의 크기로 볼 때 동죽$\gtreqqless$가무락$\leqq$대합$\leqq$바지락의 순으로 되어 있었다. 5. 저질토앙의 치환성 Ca, Cu의 함랑은 각서식지간에 차이가 없으며, 본조사지역에서 패류의 서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것 같다. 6. 저질토양의 유기물 함량은 바지락 서식지에서 가장 높았으며, 총질소는 유기물의 함량과 관련이 있었다. 7. 보수능과 유효인산량은 둥죽서식지에서 높고, 바지락, 대합, 가무락서식지간에는 유의차가 존재하지 않으며 낮았다.

  • PDF

양식 우렁쉥이(Halocynthia roretzi)의 자원 생태학적 분석 및 적정관리 방안 (Population Ecological Study of Cultured 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 and Management Implications)

  • 장창익;임현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9-63
    • /
    • 1990
  • 양식되고 있는 우렁쉥이(Halocynthia roretzi)의 생잔율과 성장률, 성장 단계에 따른 생산양과 생물학적 생산양의 변화 및 회전율 등 개체군 생태학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 연구 결과를 기초로하여 적정 양식 관리 방안을 수립하고자 1985년 2월부터 1986년 7월까지 한산도 장작지 양식장에서 양성실험을 실시하였다. 우렁쉥이 개체군은 지수함수적인 감소식에 적합하였으며 그의 전사망계수(Z)는 0.0614/month(Var(Z)=0.000126)로 추정되었다. 우렁쉥이 개체들의 전중(TW) 및 육중(MW)의 성장은 조사 기간 내에서 직선적인 성장으로 나타났으며 성장식은 다음과 같다. TW= -2.816+7.7071t($r^2$= 0.951) MW=-2.284+2.8450t($r^2$=0.946), 여기서 t는 월 수 우렁쉥이 성장률(G)은 G=3.012exp(-0.06552WT) ($r^2$=0.618)로 수온(WT)과 역상관의 관계를 보였다. 양식 기간중의 수하연당 평균 생체양은 첫해 3월의 2.14kg/수하연부터 이듬해 3월의 16.26kg/수하연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생물학적 생산양은 하계(6월 -7월)의 3.28kg/수하연부터 첫해 늦겨울(2월-3월)의 6.46kg/수하연으로 추정되었다. 회전율은 첫해 늦여름(7월-9월)의 0.293에서 첫해 늦겨울(2월-3월)의 3.013으로 나타났다. 자원 중양이 최대가 되는 적정 수확 시기는($t_{mb}$)는 본수하 후 16.7개월이 경과된 이듬해 6월 말로 추정되었으며 이것을 육중양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는 17.1개월이 경과한 이듬해 7월 초순으로 나타났다. 최대 수획가능 전중양은 17.4kg/수하연이었고 이때 육중양은 6.3kg/수하연이었다. 양식의 과정은 본 연구를 통하여 예시된 바와 같이 자원생태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수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