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4초

A Contour Descriptors-Based Generalized Scheme for Handwritten Odia Numerals Recognition

  • Mishra, Tusar Kanti;Majhi, Banshidhar;Dash, Ratnakar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3권1호
    • /
    • pp.174-183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feature for recognizing handwritten Odia numerals. By using polygonal approximation, each numeral is segmented into segments of equal pixel counts where the centroid of the character is kept as the origin. Three primitive contour features namely, distance (l), angle (${\theta}$), and arc-tochord ratio (r), are extracted from these segments. These features are used in a neural classifier so that the numerals are recognized. Other existing features are also considered for being recognized in the neural classifier, in order to perform a comparative analysis. We carried out a simulation on a large data set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features with respect to recognition accuracy and time requirements. Furthermore, we also applied the feature to the numeral recognition of two other languages-Bangla and English. In general, we observed that our proposed contour features outperform other schemes.

영문 대문자의 획 정보와 후처리를 이용한 온라인 필기 단어 인식기 구현 (Developing an On-line Handwritten Word Recognition System Using Stroke Information and Post-processing Techniques)

  • 윤인구;김우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3)
    • /
    • pp.19-22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new on-line handwritten algorithm for continuous alphabet uppercase characters. The algorithm is based on the idea that alphabet uppercase character consists of at most 4 strokes. It tries to determine the maximum output for a recognition result among outputs of four recognizers which have the capacity to discriminate the character using from 1 through 4 stroke information. The recognition module has 4 neural network based recognizers, which can recognize from 1 through 4 stroke character. We also use specialized post-processing techniques for improving the recognition performance. Trained on 440 input data and choosing 390 uppercase words for a recognition test we reached a 92% recognition rate.

  • PDF

Fuzzy 推論을 이용한 온라인 筆記體 한글문자 認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On-Line Handwritten Hangeul Character Recognition Using Fuzzy Inference)

  • 최용엽;최갑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103-110
    • /
    • 1990
  • 本 論文에서는 퍼지推論을 利用한 온라인 筆記體 한글文字의 認識에 관하여 硏究하였다. 筆記者 마다의 筆體變動으로 인한 애매성을 解決하기 위해, 각 스트로크間의 相對位置情報마다 作成되는 生成 을 퍼지推論에 適用하여 筆記體 한글을 認識하였다. 處理시간을 短縮하기 위하여, 入力文字의 스트로크 數에 따라 미리 分類한 基準文字의 小群을 선택하였고, 이 小群의 文字들과 入力文字와의 거리에 許容限果를 주어 基準文字들을 감소시켜 퍼지推論에 적용하였다. 10人으로부터 수집된 39990字의 筆記體 한글文字에 대하여 實驗한 結果, $99.5{\%}$의 認識과 0.4초/文字의 平均處理 速度를 얻었다.

  • PDF

오프라인 필기체 한글 인식을 위한 자소 내 자획의 분리 (Stroke Extraction in Phoneme for Off-Line Handwritten Hangul Recognition)

  • 정민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385-392
    • /
    • 2006
  • 본 논문은 오프라인 필기체 한글 인식을 위한 요소 기술의 하나인 자소 분할을 위한 새로운 자획 추출법을 제안한다. 수평 런 길이를 이용하여 자소의 자획을 수직, 경사, 수평으로 구분 분리한다. 수직 자획이나 경사 자획의 수평 런 길이는 자획 두에가 되며, 수평 자획의 수평 런의 개수가 자획 두께가 된다. 수평 자획을 분리 추출한 후, 끊어진 수직, 경사 자획을 자획 두께의 수평 런으로 연결하여 분리한 자획들이 문자의 특징을 나타내게 한다. 추출된 자획들은 온라인 필기체 한글 인식 시스템에서 개발 사용되고 있는 자획 사전 정합을 통해 문자 인식을 할 수 있다.

  • PDF

딥러닝에 의한 한글 필기체 교정 어플 구현 (An Implementation of Hangul Handwriting Correction Application Based on Deep Learning)

  • 이재형;조민영;김진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13-22
    • /
    • 2024
  • 현재 디지털 기기의 확산과 함께 일상에서 손으로 쓰는 글씨의 비중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키보드와 터치스크린의 활용도 증가에 따라 한글 필기체의 품질 저하는 어린 학생부터 성인까지 넓은 범위의 한글 문서에서 관찰되고 있다. 그러나 한글 필기체는 여전히 개인적인 고유한 특징을 포함하면서 가독성을 제공하는 많은 문서 작성에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손으로 쓴 한글 필기체의 품질을 개선하고, 교정하기 위한 목적의 어플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제안된 어플은 CRAFT(Character-Region Awareness For Text Detection) 모델을 사용하여 필기체 영역을 검출하고, 딥러닝으로서 VGG-Feature-Extraction 모델을 사용하여 필기체의 특징을 학습한다. 이때 사용자가 작성한 한글 필기체의 음절 단위로 신뢰도를 인식률로 제시하고, 또한, 후보 폰트들중에서 가장 유사한 글자체를 추천하도록 구현한다. 다양한 실험을 통해 제안한 어플은 기존의 상용화된 문자 인식 소프트웨어와 비교할만한 우수한 인식률을 제공함을 확인할 수 있다.

Research on a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algorithm based on an extended nonlinear kernel residual network

  • Rao, Zheheng;Zeng, Chunyan;Wu, Minghu;Wang, Zhifeng;Zhao, Nan;Liu, Min;Wan, Xiangku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1호
    • /
    • pp.413-435
    • /
    • 2018
  • Although the accuracy of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based on deep networks has been shown to be superior to that of the traditional method, the use of an overly deep network significantly increases time consumption during parameter training. For this reason, this paper took the training time and recognition accuracy into consideration and proposed a novel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algorithm with newly designed network structure, which is based on an extended nonlinear kernel residual network. This network is a non-extremely deep network, and its main design is as follows:(1) Design of an unsupervised apriori algorithm for intra-class clustering, making the subsequent network training more pertinent; (2) presentation of an intermediate convolution model with a pre-processed width level of 2;(3) presentation of a composite residual structure that designs a multi-level quick link; and (4) addition of a Dropout layer after the parameter optimization. The algorithm shows superior results on MNIST and SVHN dataset, which are two character benchmark recognition datasets, and achieves better recognition accuracy and higher recognition efficiency than other deep structures with the same number of layers.

필기한글 단어 인식에서 사전정보의 효과 (An effect of dictionary information in the handwritten Hangul word recognition)

  • 김호연;임길택;남윤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9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19-1022
    • /
    • 1999
  • In this paper, we analysis the effect of a dictionary in a handwritten Hangul word recognition problem in terms of its size and the length of the words in it. With our experimental results, we can account for the word recognition rate depending not only on character recognition performance, but also much on the amount of the information that the dictionary contains, as well as the reduction rate of a dictionary.

  • PDF

대용량 필기 문자인식을 위한 최소거리 분류법의 성능 개선 전략 (Performance Improvement Strategies on Minimum Distance Classification for Large-Set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 김수형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10호
    • /
    • pp.2600-2608
    • /
    • 1998
  • 본 논문은 한글이나 한자처럼 문자 부류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 효과적인 오프라인 필기 문자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간단하며 구현하기 쉬운 최소거리 분류법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최소거리 분류법의 인식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단계 선인식(multi-stage pre-classification) 및 신경망을 이용한 후보문자 재정렬(candidate reordering)의 두 가지 전략이 첨가되었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은 PE92 데이터베이스 상의 574 종의 한글 문자들에 대한 실험을 통해 입증하였는데, 인식률은 86%, 처리 속도는 초당 15자로서 기존의 연구 결과보다 우수함을 관측하였다.

  • PDF

런 길이를 이용한 필기체 한글 자획의 교점 검출 (Detection of Intersection Points of Handwritten Hangul Strokes using Run-length)

  • 정민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887-894
    • /
    • 2006
  • 본 논문은 런 길이를 이용해 필기체 한글 문자에서 자획의 교점을 검출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첫째로, 수평 런 길이와 수직 런 길이를 이용해 필기체 한글 문자의 자획 두께를 구하고, 둘째로, 자획 두께를 이용해 입력 문자의 자소를 수평 성분과 수직 성분으로 분리하며, 마지막으로, 자획의 수평 성분과 수직 성분을 이용해 자획의 교점을 구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수평 성분과 수직 성분 분석은 각도와 관계없이 자획 두께와 런 길이의 변화량만을 이용해 구한다. 자획의 교점은 오프라인 필기체 한글 인식을 위한 요소 기술 중 하나인 자소 분리를 위한 분리점 후보가 되며 분리된 자획은 필기체 한글 인식을 위한 특징을 나타낸다.

  • PDF

다층 퍼셉트론을 이용한 한글 필기체 온라인 인식 (Hangul Handwritten Character On-Line Recognition using Multilayer Perceptron)

  • 조정욱;이수영;박철훈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2B권1호
    • /
    • pp.147-153
    • /
    • 1995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position- and size-independent handwritten on-line Korean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using multilayer neural networks which are trained with error back-propagation learning algorithm and the features of Hanguel consonants and vowels. Starting point, end point, and three vectors from starting point to end point of each stroke of characters inputted from mouse or tablet are applied as inputs of neural networks. If double consonants and vowels are separated by single consonants and vowels, all consonants and vowels have at most four strokes. Therefore, four neural networks learn the consonants and the vowels having each number of strokes. Also, we propose the algorithm of separating the consonants and vowels and constructing a charac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