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bitat Quality Model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1초

InVEST 모델을 이용한 서식처 가치 평가 - 제주도를 중심으로 - (Habitat Quality Valuation Using InVEST Model in Jeju Island)

  • 김태연;송철호;이우균;김문일;임철희;전성우;김준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11
    • /
    • 2015
  • Jeju Island is managed intensively in terms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spect because of its extraordinary ecosystem types comprising numerous rare, protected flora and fauna. To depict rapid change of habitat status in Jeju Island, the InVEST Habitat Quality model has been operated and compared analytically with the Eco-Natural map. The Habitat Quality map of Jeju Island is turned out to have similar inclination with Eco-Natural map. We compared the average habitat quality value in each Eco-natural map class in Jeju Island and the habitat quality value of first second third grade and non-included area decreased as 0.95 0.76, 0.53 and 0.37 in eco natural map respectively. Compared to biodiversity map based on biological investigation, the result of the InVEST habitat quality model can be simply obtained by land cover map with threat and sensitivity data.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make explicit coefficients for Jeju Island and Korean peninsula, then the Habitat Quality model could be applied to past and future scenarios to analyze extent of habitat degradation in time series to help decision makers.

수생태계 건강성 자료를 이용한 InVEST habitat quality 모델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InVEST habitat quality model using aquatic ecosystem health data)

  • 이지완;우소영;김용원;박종윤;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9호
    • /
    • pp.657-666
    • /
    • 2021
  • 인간활동으로 인해 서식처의 변화, 서식처의 파편화를 비롯하여 기후변화, 토지이용의 변화 등으로 생태계 생물 다양성은 빠르게 손실되고있는 상황이다. 최근 들어 유역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유역관리 차원에서 접근하려는 시도가 시작되었으나 어떠한 수단을 통해 생물다양성과 서식처 관리에 대하여 접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Integrated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and Tradeoffs (InVEST) habitat quality model을 이용하여 유역의 서식처 질을 평가하는 것이다. 서식처 평가결과는 생태·자연도 및 수생태 건전성 평가결과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금강유역의 서식처 질은 0.0 ~ 0.86으로 분석되었으며, 유역의 하류보다 상류에서 서식처 질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자연도 등급별 평균 서식처 질을 비교한 결과 1등급, 2등급, 3등급에서 각각 0.80, 0.76, 0.71이었다. 수생태 건전성 결과와의 상관성 분석결과 R2은 0.58, Pearson 상관계수는 0.76 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서식처 보호의 강화와 장기적인 생물 다양성 관련 정책의 실행을 지원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델파이기법을 이용한 법적보호종 서식환경평가의 환경영향평가 적용방안 개발 - 파주시, 시흥시, 안산시, 화성시에서의 황조롱이를 대상으로 - (Application of the Habitat Evaluation Procedure(HEP) for Legally Protected Wildbirds using Delphi Technique to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In case of the Common Kestrel(Falco tinnunculus) in four areas (Paju, Siheung, Ansan, Hwaseong) -)

  • 이석원;노백호;유정칠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3호
    • /
    • pp.277-290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pose the new procedure to apply Habitat Evaluation Procedure(HEP) of target species using delphi technique, which is suitable to develop endangered species with few researches and ecological knowledges. To identify habitat quality of specific species in development project site, we can develop habitat model and create habitat suitability maps. In this study, we select the Common Kestrel(Falco tinnunculus) as target species in four areas(Paju, Siheung, Ansan, Hwaseong) which is located nea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Delphi technique was selected to get the reliable information on the species and habitats requirements. Through the delphi approach, seven habitat components were determined as suitable variables for the Common Kestrel: density($n/km^2$) of small mammals, area($km^2$) of bare-grounds, pasturelands and riparian, and open area(%), spatial distribution and area of croplands, landscape diversity, breeding sites(tall trees, cliffs, high-rise buildings), and the length of shelf. Habitat variables used in this model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 of suitable land-cover type(open areas, croplands, pasturelands, wetlands, and baregrounds) and the quality of feeding sites(within 250m from edges of woodlands). Habitat quality of the Common Kestrel was assessed against occurred sites derived from the nationwide survey. Predicted habitat suitability map were closely related to the observed sites of the endangered avian species in the study areas. With the habitat suitability map of the Common Kestrel, we assess the environmental impacts with habitat loss after development project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조류서식지 평가모형을 이용한 서울시 녹지네트워크 구상 (Development of Green Network Plan Using Bird Habitat Evaluation Model -A Case Study of Seoul, Korea-)

  • 차수영;박종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9-38
    • /
    • 1999
  • Present green space planning of Korea pay little attention to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urban areas. The quality of urban wildlife habitat has been deteriorated severely due to fragmentation and isolation of urban open spaces. The application of ecological corridors to urban green space planning and management can greatly enhance the bird habitat of Seoul.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bird habitat potential of existing urban parks of Seoul, and to investigate methods to develop ecological corridors for wild birds.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The first part is to construct bird species/habitat relationship model. The second part is to evaluate 207 urban parks of Seoul with the model. Based on the relative potential for bird habitat, urban parks of Seoul can be classified into cores, nodes, and points of the network. Outcomes of this part can also be used to enhance the quality of bird habitats by identifying limits or weakness of existing green spaces for bird habitat. The final part is to develop three green network plans; north-south network, the Han river network, and a district network for Kangnam-Gu.

  • PDF

어류 분포에 미치는 기후변화 영향 평가를 위한 서식적합성 모형 적용 (Application of Habitat Suitability Models for Assessing Climate Change Effects on Fish Distribution)

  • 심태용;배은혜;정진호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2호
    • /
    • pp.134-142
    • /
    • 2016
  • 기후변화에 의한 온도 상승 및 강수량 변화는 수량 및 수질을 포함한 수환경의 변화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수생생물의 서식지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서식지 변화는 생물종의 서식적합도 변화로 이어지고, 서식적합도에 의해 종분포가 결정된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의한 담수 어류의 서식적합성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기존의 서식적합성 모형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서식적합성 모형은 PHABSIM, CCHE2D, CASiMiR, RHABSIM, RHYHABSIM, River2D과 같은 서식지-수리 모형과 CLIMEX와 같은 서식지-생리 모형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서식지-수리 모형들은 수리학적 인자 (유속, 수심, 기질)를 이용하여 서식적합도를 예측하기 때문에, 수온을 포함한 수질의 영향을 평가할 수 없다. 반면, CLIMEX는 기후 인자에 대한 생물의 생리학적 반응을 평가하기 때문에, 물리적 서식지 (수리학적 인자)의 영향을 평가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식지-수리 모형인 PHABSIM과 서식지-생리 모형인 CLIMEX의 구동 원리를 융합하여 기존의 모형들보다 다양한 환경 인자에 대한 영향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모형인 생태학적 서식적합성 모형 (EHSM)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이 모형은 기후변화에 의한 어류의 서식적합도 변화를 더욱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HP기법을 적용한 생태계서비스 InVEST 모형 서식지질 기준 설정 (Establishing Habitat Quality Criteria for the Ecosystem Services InVEST Model Using AHP Techniques)

  • 신해선;장정은;이상철;권혜연;김경록;장진;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7-78
    • /
    • 2024
  • 생태계서비스란 자연생태계가 인간에게 주는 혜택을 통틀어 일컫는 용어이다. 생태계서비스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모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InVEST는 대표적인 생태계서비스 모형이며 그 중 서식지질 평가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서식지질 평가가 실시되고 있다. 서식지질 평가를 위해서는 서식지질 초기값으로 위협인자에 대한 민감도 평가가 이뤄져야 하는데, 이는 국가 및 적용분야에 따라 판이하다. 그래서 그동안 진행된 국립공원 서식지질 평가를 바탕으로 전문가 설문(AHP)을 실시하여 서식지질 초기값인 민감도의 기준을 조정하였다. AHP실시 결과 자연초지, 경지정리가 안된 밭 등 10개 항목이 상향조정되었으며, 하천, 호소 등 8개 항목이 하향조정되어 총 18개 항목이 조정되었다. 조정된 민감도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형인 북한산국립공원과 계룡산국립공원, 사적형인 경주국립공원, 해상해안형인 한려해상국립공원 그리고 산악형인 지리산국립공원과 설악산국립공원을 대상지 서식지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국립공원내 분포하는 시가화건조지역과 수역에 대한 부분이 서식지질 평가에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이 기준을 이용하여 자연공원의 서식지질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주거단지 건설이 하천에 미치는 생태영향평가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along with Construction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 안광국;한정호;이재훈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5호
    • /
    • pp.631-648
    • /
    • 2012
  • The integrative ecological approaches of chemical assessments, physical habitat modelling, and multi-metric biological health modelling were applied to Gwanpyeong Stream within Gap-Stream watersheds to evaluate environmental impacts on the constructions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For the analysis, the surveys conducted from 45 sites of reference streams within the Gap-Stream watershed and 3 regular sites during 2009 - 2010. Physical habitat health, based on the habitat model of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QHEI) declined from the headwaters(good - fair condition) to the downstream(poor condition). Chemical water quality, based turbidity and electric conductivity(EC), was degraded toward to the downstream, and especially showed abrupt increases, compared to the values of control streams(CS). Also,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a in the downstreams were greater compared to the control stream(CS), indicating an eutrophication. Biological health conditions, based on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IBI) using fish assemblages, averaged 19.3 which is judged as a fair condition by the biological criteria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The comparisons of model metric values in sensitive species and riffle-benthic species on the Maximum Species Richness Line(MSRL) of 45 reference streams indicated a massive disturbances in all sampling locations. Also, tolerance guild and trophic guild analyses suggest that dominances of tolerant species and omnivores were evident, indicating a biological degradation by habitat disturbances and organic matter pollutions. There was no distinct longitudinal variations of IBI model values from the headwater to the downstream in spite of slight chemical and habitat health gradients among the sampling sites. Overall, integrative ecological health(IEH) scores, based on the chemical, physical, and biological parameters, were low compared to the 45 reference streams due to physical and chemical disturbances of massive constructions of the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This stream, thus showed a tendency of typical urban streams which are disturbed in the chemical water quality, habitat structures, and biological integrity. Effective stream management plans and restoration strategies are required in this urban stream for improving integrative stream health.

River2D 모델을 이용한 섬진강의 생태유지유량 산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Ecological Instream Flow Estimation using River2D Model in the Seomjin River)

  • 노경범;박성천;진영훈;박명옥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22-829
    • /
    • 2011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stimate the ecological instream flow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fish habitat in running water ecosystem which has very important status for stream environment. Estimation of the ecological instream flow in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by application of a two-dimensional depth averaged model of river hydrodynamics, River2D model. It can model fish habitat in natural streams and rivers and assess the quality of physical habitat accoriding to the species preferences for habitat suitability. Zacco platypus and Zacco temmincki were selected as target fish species in the study area of the Seomjin river. The Habitat Suitability Criteria (HSC) developed by Sung et al. (2005) were used for target fish species, life stages and habitat conditions in the study. Weighted usable area (WUA) was computed by the River2D model considering preferences of target fish species for velocity, depth, and channel substrate.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ecological instream flow of $10.0m^3/s$ is needed to maintain the target fish habitat at each life stage in the river.

멸종위기 야생생물 산림 서식지 질적 평가 체계 개발 (Developing system of forest habitat quality assessment for endangered species)

  • 윤광배;김선령;정석환;이진홍;도재화;한승현
    • 환경생물
    • /
    • 제40권3호
    • /
    • pp.307-31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서식지 질적 평가에 대한 추진체계를 6단계로 구분하고, 평가 대상지 선정 방법과 서식지 질적 평가 항목을 제시하였다. 서식지 질적 평가 항목은 서식지의 건강성, 안정성, 단절화 및 파편화 정도, 서식지 적합성, 위협 정도 등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현시점에서는 자료부족으로 인하여 서식지 질적 평가 체계가 적용 가능한 멸종위기종이 극히 일부에 해당된다. 서식지 질적 평가 체계는 향후 멸종위기종들에 관한 서식환경자료가 축적되고 이를 기반으로 평가항목들에 대한 정량적 기준 및 가중치가 부여되면 멸종위기종별 주요 서식지에 대한 보전방안 마련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역 건전성평가를 위한 InVest-Habitat quality 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InVest-Habitat Quality Model for Assessing Watershed Health)

  • 이지완;박종윤;우소영;이용관;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451-451
    • /
    • 2021
  • 인간활동으로 인해 서식처의 변화, 서식처의 파편화를 비롯하여 기후변화, 토지이용의 변화 등으로 생태계 생물 다양성은 빠르게 손실되고있는 상황이다. 특히 생물 다양성은 생태계 복원력에 중요한 인자로서 유역의 건전성 회복을 위해 생물 다양성을 중요한 인자로 고려하려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유역 건전성은 주로 큰 하천에서의 친수성, 서식처, 유량 및 수질 등에 적용되어왔고 국내에서는 최근 들어 유역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량 및 수질관리, 환경문제 등의 해결을 위해 유역관리 차원에서 접근하려는 시도가 시작되었으나 어떠한 수단을 통해 생물다양성과 서식처 관리를 접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20년 동안 도시화, 댐 건설 등 토지이용변화가 크게 발생한 금강유역(9,865 km2)을 대상으로 InVest 모델 중 서식처 가치평가 모델 (Habitat Quality Model)을 이용하여 유역의 서식처 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수생태계 건강성 모니터링 자료와 비교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