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PLC Chromatography

검색결과 2,212건 처리시간 0.03초

Effects of Microbacterium laevaniformans Levans Molecular Weight on Cytotoxicity

  • Oh, Im-Kyung;Yoo, Sang-Ho;Bae, In-Young;Cha, Jae-Ho;Lee, Hyeon-Gy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5호
    • /
    • pp.985-990
    • /
    • 2004
  • Levans produced from Microbacterium laevaniformans were isolated, characterized, and fractionated by molecular weight. TLC, HPLC, and GC-MS analyses of the exopolysaccharide showed that it was a fructan-type polymer and was composed of (2,6)- and (2,1)-glycosidic linkages. $^{13}C$-NMR analysis proved that the polysaccharide was mainly a $\beta$-(2,6)-linked levan-type polysaccharide. To investigate the cytotoxicity of the acetone-precipitated levan fractions such as M1, M2, and M3, HepG2, P388D1, U937, SNU-1, and SNUC2A cell lines were screened. Among the cell lines tested, the cytotoxicity of M1- M3 fractions were detected from only SNU-1 and HepG2 cells at the dosage level of $100-800\mu\textrm{g}ml$. The M2 fraction M_r$, 80,000) at 400 $mu{g/ml}$ had the greatest cell growth inhibition (84.6%) on SNU-1, while the M1 $(M_r$, 50,000) at $800\mu\textrm{g}ml$ showed the greatest (46.32%) on HepG2. To obtain more uniform M_r$ fractions of levan, the levan was further fractionated from S1 $(M_r$ 1,000,000) to S5 $(M_r$ 10,000)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Again, the S1-S5 fractions had strong cytotoxicity on SNU-1 and HepG2 cell lines. The greatest inhibition effects of S4 $(M_r$ 80,000) on SNU-1 and S5 $(M_r$ 10,000) on HepG2 were shown to be 49.5% and 73.0%, respectively. The cytotoxicity of the levan fractions was more effective on SNU-1 than on HepG2.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w and the cytotoxicity was not clear, smaller $M_r$, fractions of levan showed greater growth inhibition effect on the cancer cell lines in general. Therefore, it was indicated that a specific Mw class of levan is responsible for the effective cytotoxicity.

Development of HPLC Determination Method for Trace Levels of 1-, 2-Nitropyrenes and 2-Nitrofluoranthene in Airborne Particulates and Its Application to Samples Collected at Noto Peninsula

  • Hayakawa, Kazuichi;Tang, Ning;Sato, Kosuke;Izaki, Akihiko;Tatematsu, Michiya;Hama, Hirotaka;Li, Ying;Kameda, Takayuki;Toriba, Akira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5권3호
    • /
    • pp.146-151
    • /
    • 2011
  • 1-Nitropyrene (1-NP), 2-NP and 2-nitrofluoranthene (2-NFR) are useful markers for studying the atmospheric behavior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and nitro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NPAHs). However, present methods for measuring trace levels of these compounds are lesssensitive and laborious. Here we describe several improvements to a previously reporte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chemiluminescence detection system that allows it to determine trace levels of 1-, 2-NPs and 2-NFR. The proposed system was equipped with a reducer column packed with Pt/Rh instead of zinc whose life-time was limited. The combination of Cosmosil MS-II (monomeric ODS) and AR-II (polymeric ODS) columns was used instead of polymeric ODS columns as the separator column to improve the separation. An ethanol mixture with acetate buffer (pH 5.5) was used in place of an acetonitrile mixture with the same buffer to activate the reducer column. The same ethanol mixture was used as the mobile phase for the clean-up column. The switching time of the column switching valve was optimized to concentrate the amino-derivatives of above NPAHs quantitatively on the concentrator column. The concentrations of bis(2,4,6-trichlorophenly) oxalate and hydrogen peroxide in the chemiluminescence reagent solution were optimized to 0.4 mM and 30 mM, respectively, to increase the sensitivity. Under the above conditions, the detection limits (S/N=3) of 1-, 2-NPs and 2-NFR were 1 fmol (0.25 pg), 10 fmol (2.5 pg) and 4 fmol (1 pg), respectively. The proposed system was effectively used to determine trace levels of 1-, 2-NPs and 2-NFR in airborne particulates collected at Noto Peninsula. The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1-, 2-NPs and 2-NFR were not more than sub pg $m^{-3}$ levels. They were higher in winter (January) than in summer (July). In both seasons, the concentrations were in decreasing order, [2-NFR]>[1-NP]>[2-NP].

율무근의 식물화학적 성분 연구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roots and thei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 최윤혁;최춘환;이재연;안은경;오좌섭;홍성수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1호
    • /
    • pp.49-54
    • /
    • 2017
  • 본 연구는 천연 미백소재 탐색을 위하여 율무(C. lachryma-jobi var. ma-yuen) 부산물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검증하였으며, 그 중에서 뿌리 추출물은 $159.3g/{\mu}mL$$IC_{50}$ 값을 나타내었다. 율무 뿌리 추출물의 순차적 용매 분획에 대한 활성 검증 후 가장 활성이 우수한 EtOAc 분획물에 대하여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 MPLC및 preparative HPLC를 수행해 율무근으로부터 여섯 개의 화합물을 정제하였고, 이 물질들의 구조 분석은 LC-MS와 NMR 데이터 해석을 바탕으로 진행하여 각각 (+)-icariol $A_2$ (1), zhepiresionol (2), 4-hydroxybenzaldehyde (3), trans-${\rho}$-coumaric acid (4), N-(2-hydroxy-4-methoxyphenyl)-2-hydroxyacetamide (5), coixol (6)로 구조를 규명하였다. 화합물 1은 이 식물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으며, 화합물 5는 자연계로부터 처음으로 분리된 화합물로 확인하였다. 이들 화합물 중 4-hydroxybenzaldehyde (3), trans-${\rho}$-coumaric acid (4)와 coixol (6)은 순서대로 707.4, 6.5, $62.4{\mu}M$$IC_{50}$ 값을 나타내어 대조군으로 사용한 arbutin ($IC_{50}=618.7{\mu}M$)과 비교시 유사하거나 우수한 활성을 확인하였다. 이로 미루어 보아, 율무근 추출물과 활성물질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율무근 추출물의 미백소재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토복령의 항산화 및 산화적 DNA 손상억제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n oxidative DNA damage of Smilax china root)

  • 장태원;오창근;박재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2호
    • /
    • pp.109-117
    • /
    • 2018
  • 최근까지도, 현대사회의 암 발생률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인체 내부에서 내재적 또는 외재적인 요인에 의해 DNA 손상이 발생되고, 세포는 DNA 손상에 대한 방어기작을 통해 스스로를 방어한다. 또한, 비정상적인 DNA 생성 및 결손된 DNA 가닥의 복원은 노화, 암, 염증 등 다양한 질병으로부터 기인한다. 많은 연구자는 이러한 DNA 손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적절한 소재 탐색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으며, 특히 합성화합물의 부작용이 알려지면서, 천연물을 기반으로 한 암 예방적 소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토복령은 백합과(Liliacese)에 속하는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의 근경이며, 전통적으로 해독과 종기 등의 치료제로 사용되어왔다. 하지만 토복령의 DNA 손상에 대한 억제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토복령의 항산화 효과 및 DNA 손상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 식물이 포함하는 phenolic 화합물의 활성과 연관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에 대한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다. 토복령 추출물은 DPPH 및 ABTS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였으며, 높은 환원력을 나타냈다. HPLC 분석을 통해 phenolic 화합물을 정량 및 동정하였으며, 항산화 효과와 phenolic 화합물의 연관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OH^-$ 라디칼 및 $Fe^{2+}$으로 유발된 plasmid DNA 손상에 대한 방어 효과를 확인하였다. 세포 수준에서, DNA 손상에 대한 저해 효과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발된 NIH 3T3 세포의 ${\gamma]$-H2AX 및 p53 단백질 발현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H2AX 및 p53 mRNA 수준의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토복령 추출물의 phenolic 화합물의 항산화 효과 및 DNA 손상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옥수수의 조리 및 가공이 Aflatoxin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oking and Processing on the Reduction of Aflatoxin Content in Corn)

  • 여현종;김종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7-93
    • /
    • 2003
  • 본 연구는 aflatoxin이 오염된 옥수수에서 각 전처치 방법과 조리 및 가공 방법에 따라 aflatoxin이 감소되는 정도를 관찰하고자 수행되었다. Aspergillus parasiticus ATCC 15517을 접종하여 aflatoxin을 생성시킨 옥수수(GCB70, 미국산)에 태양 광선 조사, UV 조사 및 물 세척 등의 전처치를 실시하였으며, 각 전처치 후의 시료를 옥수수의 일반적인 조리 및 가공 방법(끓이기, 찌기, 굽기 및 튀기기)에 따라 죽, 떡, 빵 및 팝콘을 만들었다. Aflatoxin이 생성된 옥수수 시료(AC)와 전처치에 따른 부과물로서 AC에 태양 광선을 7일 조사시킨 시료(SC), UV를 56시간(7일간) 조사시킨 시료(UC)및 물 세척을 3회 수행한 시료(WC), 그리고 이들의 조리 및 가공 완성품에 대한 aflatoxin 함량을 HPLC로 정량하였다. AC의 total aflatoxin함량은 전처치 시료에서는 태양 광선 조사시와 UV조사시(UC)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물 세척시에는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감소는 아니었다. AC, SC, UC 및 WC를 조리 및 가공하였을 때 평균적으로 죽>팝콘>떡>빵의 순으로 aflatoxin이 감소되었다. 이로부터 aflatoxin에 오염된 옥수수의 조리 및 가공전 태양 광선 조사와 UV조사는 aflatoxin분해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끓이기, 찌기, 굽기 및 튀기기 등의 조리 및 가공 방법은 aflatoxin의 감소에 도움이 되며, 특히 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flatoxin이 오염된 옥수수에서 aflatoxin을 식품 중 기준치 이하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곡류와 그 가공품에서 Deoxynivalenol과 Zearalenone의 분석 (Co-occurrence of Deoxynivalenol and Zearalenone in Cereals and their Products)

  • 옥현이;장현주;최성욱;이나리;김현정;구민선;전향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75-381
    • /
    • 2007
  • 전 세계 인구의 주식인 곡물에 주로 오염되는 Fusarium 곰팡이독소인 DON과 ZEN을 70개 시료(옥수수, 백미, 현미, 보리, 옥수수통조림, 시리얼, 밀가루)에서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DON은 70개 시료 중 37개 시료에서 $7.4-379.4{\mu}g\;kg^{-1}$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ZEN은 17개 시료에서 $22.0-42.8{\mu}g\;kg^{-1}$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검출된 시료중 12개 시료는 DON과 ZEN이 동시에 검출되었고 평균 오염농도는 $319.7{\mu}g\;kg^{-1}$$37.3{\mu}g\;kg^{-1}$이었다. 본 연구에서 곡물시료 중 DON및 ZEN의 오염수준은 높지 않았으나 곰팡이독소의 생성은 기후변화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오염도 자료가 향후 지속적으로 축적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덕 잎의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s)과 항산화 활성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Leaves)

  • 김기호;김나연;강신호;이화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680-685
    • /
    • 2015
  • 더덕 잎의 활용가치를 높이고자 더덕 잎 추출물 내 존재하는 기능성 생리활성 물질과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더덕 잎의 생리활성 물질의 존재를 검정하기 위해 파이토케미컬 검색을 한 결과, 더덕 잎 추출물에 환원당, 사포닌, 트라이터페노이드, 타닌 및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생리활성 물질들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들 파이토케미컬의 존재를 근거로 하여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더덕 잎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250 및 $500{\mu}g/mL$ 더덕 잎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소거 실험에서 각각 43% 및 81%의 강력한 라디칼 소거 효과를 나타냈고, L-아스코브산의 71% 및 95%에 해당하는 환원력을 나타냈다. 또한, 더덕 잎 추출물 62.5, 125 및 $250{\mu}g/mL$에서 각각 73, 90 및 99%의 NO생성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항산화 활성을 기반으로 한 항염증 효능의 가능성도 제공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더덕 잎 추출물의 아글리콘 분획을 조제하여 분석한 결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인 루테올린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더덕과 같은 초롱꽃과(Campanulaceae)인 도라지의 항산화 연구에서 도라지 잎과 줄기 용매 분획물 중 줄기의 부탄올 분획물 $500{\mu}g/mL$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환원력과 화학성분을 보고한 바 있으나 항산화 활성 성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35). 루테올린이 함유되어 있는 더덕 잎 아글리콘 분획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 250 및 $500{\mu}g/mL$의 아글리콘 분획이 각각 67% 와 87%의 강력한 라디칼 소거 효과를 나타냈으며, L-아스코브산의 128% 및 141%에 해당하는 우수한 환원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더덕 잎이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모빅 캡슐(멜록시캄 7.5 mg)에 대한 멜락스 캡슐의 생물학적동등성 (Bioequivalence of MelaxTM Capsule to MobicTM Capsule (Meloxicam 7.5 mg))

  • 이예리;염승복;고연정;고정길;김호현;이희주;이경률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4권5호
    • /
    • pp.413-418
    • /
    • 2004
  • A bioequivalence of $Melax^{TM}$ capsules (Chong Kun Dang Pharm., Korea) and $Mobic^{TM}$ capsules (Boehringer Ingelheim Korea)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Single 15 mg dose of meloxicam of each medicine was administered orally to 24 healthy male volunteers. This study was performed in a $2\;{\times}\;2$ crossover design. Concentrations of meloxicam in human plasma were monitored by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UC_t$ (the area under the plasma concentration-time curve from time zero to 72 hr) was calculated by the linear trapezoidal rule method. $C_{max}$ (maximum plasma drug concentration) and $T_{max}$ (time to reach $C_{max}$) were compiled from the plasma concentration-time data.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AUC_t$ and $C_{max}$. No significant sequence effect was found for all of the bioavailability parameters. The 90% confidence intervals of the $AUC_t$ ratio and the $C_{max}$ ratio for $Melax^{TM}/Mobic^{TM}$ were 0.95 - 1.04 and 0.98 - 1.14, respectively. This study demonstrated a bioequivalence of $Melax^{TM}$ and $Mobic^{TM}$ with respect to the rate and extent of absorption.

사골농축액 시료 중에 함유된 아미노산 정량분석에 대한 오차 요인 및 측정불확도 추정 (Error factors and uncertainty measurement for determinations of amino acid in beef bone extract)

  • 김영준;김지영;정민유;신영재
    • 분석과학
    • /
    • 제26권2호
    • /
    • pp.125-134
    • /
    • 2013
  • 본 연구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사골농축액 시료 중에 23종의 아미노산 정량분석 시 발생할 수 있는 측정불확도를 평가하였다. 아미노산 분석에 관여하는 측정불확도 인자로 시료량, 최종 무게, 표준품 무게, 표준품 순도, 검정곡선, 회수율 및 재현성 등을 확인하였다. GUM(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과 EURACHEM에 근거하여 측정불확도에 대한 수학적 계산 및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사골농축액 시료 중 총 아미노산 함량은 36.18 g/100 g이었으며, 95% 신뢰수준(k, 2.05~2.36)에서 확장불확도는 3.81 g/100 g이었다. 측정불확도의 주요 요인은 분석시의 회수율과 반복성(25.2%) > 시료전처리(24.5%) > 검정곡선(24.0%)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미노산 분석 시 불확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실험자들의 주의와 개인적인 숙력도의 향상이 요구된다.

한국 성인의 Vitamin D 영양 상태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tamin D Status on Bone Mineral Density of Korean)

  • 문수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1호
    • /
    • pp.46-61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vitamin D nutritional status on bone mineral density of adults (21-49 years). To attain the aim, we measured bone mineral density (BMD) of the subjects at distal radius by single-photon absorptiometry (SPA). Serum level of 25-hydroxyvitamin D(25-(OH)D) , known to be the best indicator of indicator of vitamin D status in humans was analyzed . The factors affecting this vitamin D level were also investigated in autumn in 122 young adults. Serum level of 25-(OH)D was measured by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HPLC) and biochemical variables, general health status, time spent outdoors, and dietary intakes of the subjects. BMD of the male subjects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female subjects. Weight, activity and total energy expediture (TE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tal BMD. The mean level of serum 25-(OH)D was 24.4$\pm$11.0 ng./ml and by sex, 26.0$\pm$6.8ng/ml for males and 23.3$\pm$12.3ng/ml for females , th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p<0.01).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MD at distal-radius and s-25(OH)D levels (p<0.001). The serum level fo parathyroid hormone (PTH)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MD(p<0.05), with the more obvious correlation in females. Vitamin D intake was estimated to be 3.75$\pm$2.19ug/day in average. Among the nutrients studied, protein ,fat, calcium , and vitamin D intak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stal BMD. When food frequencies were concerned , milk and dairy produc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BMD level, and driedfoods, eggs , fats and oils, and cereals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ime spent outdoors was estimated to be about 70 minutes in average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distal BMD level(p<0.01). During the day, the specific time between 12 :00pm and 2:00pm showed the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MD (p<0.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variables showed that distal BMD could be fit 31.9% by the time spent outdoors a day, intake of Ca and vitamin D, and TEE. The standardized estimates were 0.344 for vitamin D intake, 0.284 for Ca intake 0.179 for the time spent outdoors a day and 0.273 for TEE. For males, s-25*OH)D level, TEE and time spent outdoors during a da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For females, intake of Ca and vitamin D could fit about 27.1% of the distal BM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