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yeongju Historic Area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3초

경주도심 노후주거지 현지개량방식의 주거환경개선사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n-sit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in Downtown Area of Gyeongju)

  • 이유영;정준현;이윤정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63-166
    • /
    • 2008
  • With both Gatdui and Daean areas, under construction for upgrading the old housing in Gyeongju downtown a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implications of upgrading methods in a historical and cultural city, by using a physical survey in the areas and life survey among their residents, as well as by analysing the level of their satisfaction with and requirement for housing and their preferring housing type. The upgrading patterns of residents were analysed by examining cases constructed newly in the manner of upgrading. The findings showed that it is required for both existing authorities and private parties to assume roles and responsibilities for upgrading the old housing while recently there have been continuous conflicts between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the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within the city and even the city identity also has been neglected by resid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take development conditions and resident's economic situation into consideration and introduce a wide range of methods for rearrangement, by turning the importance of housing upgrading to social rearrangement for the purpose of positive alternation.

  • PDF

경주도심 노후주거지 현지개량방식의 주거환경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On-sit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and Suggestions for the Downtown Area of Gyeongju)

  • 이유영;정준현;이윤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37-46
    • /
    • 2009
  • With old housing being renovated in both the Gatdui and Daean areas, of the Gyeongju downtown a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various renewal approaches in a city that is rich in both history and culture. The study included a physical survey of the areas under construction as well as a questionnaire given to residents to analyse their level of satisfaction with and requirements for housing and their preferring housing types. The study also analysed renewal patterns among the residents were analysed by examining the ways in which particular renovations had been performed. The findings showed that both governmental authorities and private parties need to be involved and work together if such renewals are to be successful.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regular conflicts between those in favor of development and those in favor of preserving the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of the city. At times the city identity has been neglected by resident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take both development conditions and the residents' economic situations into consideration when making decisions about renewal and to consider a wide range of methods for rearranging housing patterns, with the goal of transforming housing renovation into a broader program of social rearrangemen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ocial patterns in the city.

An Evaluation on Citizens' Satisfaction with the Outdoor Landscape Lighting in Gyeongju Historic Areas - The Case of Wolseong District -

  • Park, So-Yeong;Heo, Sang-Hyun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_2호
    • /
    • pp.186-19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citizens for their satisfaction with the outdoor landscape lighting in Gyeongju Historic Areas registered as UNESCO World Cultural Heritage in November 2000 and thereupon,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the design of the outdoor landscape lighting for the cultural properti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ditions of the outdoor landscape lighting in Wolseong Zone of Anapji, Banwolseong, Dongbu Sajeokji, Cheomseongdae and Gyerim, there were found 391 lighting fixtures of 12 types in Anapji, 138 lightings of 4 types in Banwolseong, 38 lightings of 6 types in Cheomseongdae, 28 lightings of 3 types in Dongbu Sajeokji and 54 lightings of 5 types in Gyerim. As a result of analyzing citizens' satisfaction with the outdoor landscape lighting, it was found that citizens were satisfied more or less with the nightscape image changed by the outdoor landscape lighting; their satisfaction scored 3.836 on average for Anapji on a 5-point Likert type scale, 3.516 for Banwolseong, 3.446 for Dongbu Sajeokji, 3.650 for Cheomseongdae and 3.479 for Gyerim. However, citizens' satisfaction with the originality of the nightscape was generally low: 3.055 for Anapji, 2.914 for Cheomseongdae, 2.877 for Banwolseong, 2.847 for Gyerim and 2.665 for Dongbu Sajeokji. On the other hand, since most of the lighting fixtures were installed as inserted lights or floodlights, the color tones of light source were relatively highly distinctive, but the peripheral spaces around the cultural properties were rather dark, which means that citizens were feeling inconvenient more or less for using the amenities such as bench or waste box. All in all, their satisfaction with the outdoor landscape at the sample zone at night scored 2.981, lower than the normal level.

단야구 소유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Owners of Smith's Tools)

  • 차순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6권
    • /
    • pp.157-179
    • /
    • 2003
  • The smith's tool is a tool used for the forging that directly heat-treats and treats ironware. Smith's tools have been thus far excavated from 58 archaeologic sites in Korea, which include 46 hammers, 40 nippers, 5 tweezers, 17 chisels, and 12 anvils, totaling to 120 items. The historic sites from which smith's tools have been excavated indicate 2 sites in Nangnang, 6 in Goguryo, 30 in Silla, 3 in Baekjae, 15 in Gaya, and other 2 sites. Those smith's tools excavated from tumuli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Korea are known to be those from the Silla and Gaya areas, and some have been found in the Goguryo and Baekjae areas but require more accumulation of artifacts. Furthermore, the result of having investigated those smith's tools burnt with the corpse in tumulus revealed that smith's tool owners are classified into the blacksmiths who were directly engaged in manufacture and the ruling class who controlled them. Moreover, the smith's tools excavated from large-sized tumulus are presumed to have the potential that symbolically exhibits smithy-iron working, as compared with other funerary objects. Key words: smith's tool, blacksmith, manager.

역사도시구조와 연계한 도시수체계의 구성형태와 역할에 관한 연구 - 경주, 개경, 한양, 수원화성을 중심으로 - (A Composition and Role of Urban Water System in Connection with Historic City Structure - Focusing on Gyeongju, Gaegyeong, Hanyang, and Suwon Hwaseong -)

  • 강인애;이경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99-110
    • /
    • 2021
  • 본 연구는 신라왕경 경주, 고려 개경, 조선 한양, 조선후기 신도시로 조성된 수원 화성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역사도시에서 나타난 도시수체계의 구성방법이 지니는 특성을 파악해보고자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특히 도시입지, 도로, 도시시설 배치 등을 중심으로 도시골격구조와 연계하여 물길이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고 수체계의 구성형태에 대한 해석을 통하여 도시 내 수공간 경영에 투입되었던 기술적, 계획적 요소와 함께 도시구조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에서는 자연수계를 기반으로 부분적인 하천 정비와 인공수계를 도입하여 도시수체계가 구축되고 있다. 특히 물과 자연수계는 도시의 입지를 결정하는 핵심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도시구조와 도시발달과정, 도시구조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는 지리적 관념과 어우러져 물이 지니는 상징적 의미와 더불어 치수, 이수 등의 관점에서 요구되는 현실적 수요가 중요한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다. 물 공간과 관련된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시 형성·발달과정에서 물 공간을 경영하기 위한 다양한 계획적, 기술적 요소가 도입되었다. 연구대상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도시형성·발달과정에서 도시수체계가 지니는 계획적 요소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로 연구대상지로 선정된 신라왕경 경주, 고려 개경, 조선 한양, 수원 화성의 도시수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에는 배수, 재해를 고려한 치수의 관점이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수체계의 구축방법이나 활용성에서는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로 물과 자연수계는 도시입지의 상징적 요소로서, 그리고 지리적 관념과 어우러진 도시 입지를 결정하고 도시의 좌향을 결정하는 핵심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셋째로 도시가 형성되기 이전의 자연수계는 지형여건과 어우러져 도시 형성·발달과정에서 구축되는 도시수체계의 구성형태를 결정하는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다. 넷째로 자연수계를 기반으로 구축된 도시수체계는 자연물길과 계획적 인공수로가 결합되어 도시구조의 일부로서 위계별 수계의 활용성이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다섯째로 도시수체계는 배수체계와 재해를 고려한 치수의 관점 이외에 도시용지의 확보, 도시시설 배치와 영역 확보, 기능지역 구성, 토지구획과 연계하여 계획적으로 구축되고 있다.

경주 전통사찰의 침입외래식물 현황 및 관리방안 - 분황사, 백률사, 삼불사를 중심으로 - (The Invasive Alien Plants and Management Plans of Traditional Temples in Gyeongju - Focused on Bunhwangsa Temple, Baekryulsa Temple and Sambulsa Temple -)

  • 유주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44-58
    • /
    • 2022
  • 분황사, 백률사, 삼불사는 유명한 문화재구역은 아니지만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경주국립공원과 경주역사유적지구에 위치해 환경적, 문화적으로 보존이 필요한 지역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경주 전통사찰의 침입외래식물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문화재의 고유환경과 경관을 관리하기 위함이다. 전체 식물상은 73과 136속 154종 3아종 11변종 4품종 5잡종 12재배품종의 188분류군이며, 조경식물은 163분류군, 침입외래식물은 38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식재된 침입외래식물은 13분류군이며, 생태계교란 생물은 애기수영, 가시상추, 미국쑥부쟁이 3분류군이었다. 침입외래식물은 조경식재와 같은 인위적 원인도 있지만 외부에서 자연적으로 유입된 것도 있었다. 사찰의 주차장은 간섭과 교란이 많아 침입외래식물의 주요 전파경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관리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전통사찰의 조경식재는 한국의 자연환경 및 전통경관에 맞는 자생종 위주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문화재 중심의 식재지침 개발이 요구된다. 두 번째, 전통사찰은 환경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위치해 있으므로 침입외래식물의 식재를 자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 번째, 사찰환경의 보전을 위해 주변의 생태계교란 생물을 조속히 제거해야 할 것이다. 네 번째, 전통사찰의 경관적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입지환경, 역사성 등을 고려하여 특색 있는 식재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유산 신라왕경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속성 분석 (The analysis for attributes of OUV of the capital of Shilla Kingdom)

  • 김의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1호
    • /
    • pp.151-174
    • /
    • 2022
  • 2019년 제정된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에 관한 특별법'에 따르면 신라왕경은 신라 및 통일신라 시기의 수도를 일컫는 말로서 왕이 거주하고 정치하던 경주 및 그 인근 지역을 말한다. 신라왕경은 경주역사유적지구라는 명칭으로 200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목록에 등재된 유산이며 경주역사유적지구로 등재된 5개 지구 중 월성지구와 황룡사지구, 대릉원지구에 해당한다. 신라왕경은 남산지구나 산성지구와 달리 대부분이 물리적 실체가 없는 고고학 유적(archaeological sites)으로 구성된 유산이다. 경주시는 신라왕경을 구성하는 유산들을 복원하여 관람객들에게 보다 직접적인 경험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역 관광을 진흥하고자 하였다. 2005년 월정교 복원을 시작으로 신라왕경 복원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경주시는 월정교 다음으로 동궁과 월지의 서편 건물지를 복원하려 하였으나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복원을 반대하면서 차후 유사한 사업에 대한 유산영향평가를 권고하였다. 유산영향평가 절차 중 평가 대상 유산의 OUV속성 분석과정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신라왕경에 대한 OUV속성 도출을 문헌 및 해외사례 분석을 통해 선제적으로 수행하고자 한다. 문헌연구의 경우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 및 세계유산 관리와 관련된 국내·외의 연구자료를 살펴보았고 해외사례는 폴란드 크라쿠프 역사 지구, 영국 스톤헨지와 에이브베리 거석 유적,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신라왕경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속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신라왕경을 구성하는 다른 유산의 복원사업 또는 인근 지역의 건설공사 계획 수립 과정에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기존에 수립된 신라왕경의 관리체계를 세계유산의 관점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지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etection Trend of Helminth Eggs in the Strata Soil Samples from Ancient Historic Places of Korea

  • Seo, Min;Chai, Jong-Yil;Kim, Myeung Ju;Shim, Sang Yuk;Ki, Ho Chul;Shin, Dong Hoo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4권5호
    • /
    • pp.555-563
    • /
    • 2016
  • For several years, we have conducted a series of studies on the patterns of ancient parasitism prevailing in the soil of rural and urban areas of past Kingdom of Korea. Actually, during our survey of paleoparasitology in archaeological sites of Korean peninsula, numerous ancient parasite eggs were discovered in the samples from the city districts of Hansung (Joseon) and Buyeo (Baikje), the palace moat at Gyeongju (Silla), shell-midden site at Bonghwang-dong (Silla to Joseon), and the reservoir found in Hwawangsansung fortress (Silla). By the paleoparasitological studies, with respect to parasitism in the high-density populations of ancient towns and cities, we have managed to catch glimpses of the patterns prevalent therein: a serious parasitic contamination of the soil in ancient urban areas, but not in rural areas of the past. Our historical research also proposed the plausible mechanism of parasite infection very serious indeed among urban populations in Korean history. Although city dwelling doubtless has accrued significant benefits for people and populations with agriculture, it can be equally supposed that living in such highly populated areas might have facilitated the spread of parasite infection.

경주 월성의 산책로 훼손실태 분석 - 환경피해도 평가를 중심으로 - (Analysis on Trail Deterioration in Wolseong, Gyeongju-si - Focused on Assessing Impact Rating Class -)

  • 강태호;유주한;조홍하;이홍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3-3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월성에 분포하는 산책로를 체계적으로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산책로에 대한 보전과 복원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제공에 있다. 월성을 중심으로 내부 동선 5개, 외부동선 6개 총 2,415m, 97개 측점에서 산책로 상태를 조사한 결과, 평균 산책로 내부폭 2.2m, 나지 발생폭 2.56m, 최대 침식깊이 9cm로 나타났고, 외부 산책로폭 0.68m, 나지발생폭 0.85m, 최대 침식깊이 34cm로 나타났다. 훼손유형 발생빈도는 뿌리 노출 현상(48%)이 가장 많은 발생빈도를 보였고, 다음으로 암석 노출(40%), 노면 세굴현상(9%) 등의 순이었다. 산책로 주변으로 확산되는 훼손의 진행단계와 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환경 피해도 조사 결과, 내부동선 환경피해도는 좌측 2.3, 중앙 4.1, 우측 2.5로 나타났으며, 외부동선 환경피해도는 좌측 3.1, 중앙 4.3, 우측 3.5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월성 산책로의 훼손상태는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입지조건이나 이용압력의 증가 추세를 감안할 때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관리방안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Virtual Walkthrough를 이용한 경주 대릉원지구의 경관이미지 및 시각적 특성 분석 (An Image and Visual Characteristics Analysis of Gyeongju Daereungwon Area Using Virtual Walkthrough)

  • 덩베이지아;김영훈;정재현;허상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8-117
    • /
    • 2020
  • 본 연구는 경주시 역사유적지구 대릉원지구를 대상으로 Virtual Walkthrough 기법을 이용하여 가상체험한 후 평가를 통해 경관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미지 요인과 시각적 선호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릉원지구에 대한 선호도 분석으로 노서리 고분군 서쪽 경계에 위치하는 경관3이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릉원 서쪽 경계에 위치하는 경관5는 3점 미만의 낮은 점수로 분석되었다. 시각적 특성에 관한 요인분석 결과로 특이성, 공간성, 역사성 3가지의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요인점수와 시각적 선호도에 대한 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특이성이 역사문화경관 대릉원지구의 시각적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Virtual Walkthrough 기법은 입체성이 강하고 실재 경관에 대한 재현 정도가 높으며, 경관분석에 효율적인 기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로 역사문화경관 시각적 질의 향상에 자료 및 정보를 제공하고 앞으로 경관계획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