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ing degree days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35초

생육도일(GDDs)에 따른 '춘광' 봄배추의 적정 재배 작기 예측 (Estimation of Optimum Period for Spring Cultivation of 'Chunkwang' Chinese Cabbage Based on Growing Degree Days in Korea)

  • 위승환;송은영;오순자;손인창;이상규;이희주;문보흠;조영열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5-182
    • /
    • 2018
  • 본 연구는 기온에 따른 봄배추 '춘광'의 재배 적기를 밝혀 농가에 적정 재배시기를 제공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기온이 외기보다 $6^{\circ}C$까지 단계적으로 상승하도록 설계된 온도구배 터널을 3개의 구역(외기+$2^{\circ}C$, A; 외기+$4^{\circ}C$, B; 외기+$6^{\circ}C$, C)으로 나눈 후 작기(2017.3.6., 1차; 3.20., 2차; 4.3., 3차)에 걸쳐 정식하였다. 재배기간 동안의 생육도일(growing degree days, GDDs)은 1차 A, 1차 B, 2차 A, 1차 C, 2차 B, 3차 A, 2차 C, 3차 B, 3차 C 순으로 높았다. 구중은 1차 B, 1차 C, 2차 A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나 처리간 높은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나 생태적인 특성(엽수, 엽면적, 최대엽의 엽장 및 엽폭 등)은 차이가 없었다. 다만, 생육초기 $13^{\circ}C$ 이하의 저온에 감응하였던 결과로 1차 A 처리구에서 5.5%의 추대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2차 C, 3차 A, B, 및 C 처리구에서 기온이 높아짐에 따라 각각 11.0, 5.5, 33.3, 및 44.4%의 속썩음 현상이 발생하였다. GDDs에 따른 배추 구중은 587 GDDs까지 증가하다 729 GDDs 이후에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GDDs에 따른 배추 수량과 적정 재배시기 예측식에서 최대 기대수량은 정식 후 64일 기준 GDDs가 601일 때 16.3MT/10a이었다. 최대 수량의 95%(약 15.5MT/10a) 이상을 재배 적기로 설정할 때 적정 범위는 478~724 GDDs로 산출되었다. 재배적기 예측식의 검증 결과, 봄배추 주산지인 진도, 해남, 나주, 서산, 평택의 GDDs는 각각 634, 619, 666, 652, 및 719이었고, 예측식에서 산출된 범위(478~724 GDDs)에 포함되었다. 결과적으로 봄배추의 재배 최적기는 예측식의 최대값인 수확기준 601 GDDs이며 적정 범위는 호냉성인 온도 특성을 감안하여 478~724 GDDs인 것으로 판단된다.

파종기가 귀리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ing Date on Growth and Yield in Oats)

  • 현승원;박양문;고무수;강영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59-365
    • /
    • 1994
  • 귀리의 생육기를 예측하는데 유효적산온도(GDD)의 이용성을 검토하고 제주지방에서 종실용 귀리의 파종적기를 구명하고자 1991년과 1992년에 귀리 1006를 10월 9일부터 12월 9일까지 15일 간격으로 5회(10월9일, 10월24일, 11월9일, 11월24일, 12월9일) 파종하여 귀리의 생육일수 및 GDD, 생육 및 수량관련 형질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두 해 모두 만파할수록 출아일수는 길어졌으나 출수일수와 성숙일수는 짧아졌다. 파종부터 출아까지 GDD는 대체로 만파할수록 적어지는 경향이나 파종기 이동에 따른 경향이 출아일수보다 현저하지 않았다. 두 해 모두 출아부터 출수까지의 GDD는 만파할수록 적어졌고 출수부터 성숙까지의 GDD도 11월 24일까지는 만파할수록 적어졌으나 12월 9일 파종구에서는 더이상 적어지지 않았다. 2. 파종기가 10월 9일에서 12월 9일로 늦어짐에 따라 1992년 파종의 출수기 엽면적지수는 7.7에서 5.1로, 성숙기 건물중은 1920kg/10a에서 823kg로 감소되었고, 2개년 평균 간장은 120cm에서 89cm로 짧아졌다. 3. 두 해 모두 수장, 1수입수, l 중은 파종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m^2당 수수, 1000입중, 종실수량은 11월 9일 파종구에서 가장 많았고 이보다 조파하였거나 만파하였을 때 감소되었다. 따라서 제주지방에서 종실용 귀리의 파종적기는 11월 상순으로 판단된다.

  • PDF

Determination of the energy contents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corn, waxy corn and steam-flaked corn fed to growing pigs

  • Ma, Dongli;Li, Juntao;Huang, Chengfei;Yang, Fengjuan;Wu, Yi;Liu, Ling;Jiang, Wei;Jia, Zhicheng;Zhang, Peijun;Liu, Xuezhen;Zhang, Shu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0호
    • /
    • pp.1573-1579
    • /
    • 2019
  • Objective: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gestible (DE) and metabolizable energy (ME) contents as well as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nutrients in corn, waxy corn and steam-flaked corn fed to growing pigs. Methods: Eighteen growing pigs with initial body weight of $15.42{\pm}1.41kg$ were randomly allotted to three diets including a corn diet, a waxy corn diet and a steam-flaked corn diet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Each treatment contained six replicates. The experiment lasted for 12 days, which comprised 7-d adaptation to diets followed by a 5-d total collection of feces and urine. The energy contents and the nutrient digestibility in three ingredients were calculated using direct method. Results: Compared to normal corn, both the amylose and dietary fiber contents in waxy corn were numerically lower, but the starch gelatinization degree was numerically greater. Moreover, the DE and ME contents as well as the ATTD of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in waxy corn were significantly greater (p<0.05) than those in normal corn when fed to growing pigs. Furthermore, the steam-flaked corn had greater (p<0.05) DE and ME contents, and ATTD of ether extract and ADF compared to normal corn. Conclusion: Both variety and processing procedure have influence on chemical compositions, energy contents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corn. The waxy corn and steam-flaked corn had greater degree of starch gelatinization and DE and ME contents compared to normal corn when fed to growing pigs.

재배시기, 정식일에 따른 배추의 생육 모델 개발 및 생산량 예측 평가 (Development of Growth Models as Affected by Cultivation Season and Transplanting Date and Estimation of Prediction Yield in Kimchi Cabbage)

  • 이진형;이희주;김성겸;이상규;이희수;최장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35-241
    • /
    • 2017
  • 본 연구는 배추의 작황 예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생육조사로 정식시기를 봄과 가을에 2주 간격으로 3회씩 각각 정식하여, 생체중, 건물중, 엽장, 엽폭, 엽수, 엽면적등을 정식후 2주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정식 후 일수에 따른 생체중과 건물중의 변화와 GDD에 따른 생체중, 건물중, 엽면적 그리고 엽수의 변화에 대하여 회귀분석하였다. 정식 후 일수에 따른 봄배추와 가을배추의 생장을 S자형 곡선으로 분석한 결과 생체중의 회귀식은 각각 FW=4451.5/[1+exp{-(DAT-34.1)/3.6}]($R^2=0.992$)과 각각 FW=7182.0/[1+exp(-(DAT-53.8)/11.6)]($R^2=0.979$) 였다. 그리고 GDD에 따른 봄배추의 생체중의 모델은 각각 FW=4411.2/[1+exp{-(GDD-585.2)/128.6}] ($R^2=0.992$) 및 FW=13718/[1+exp{-(GDD-1278.6)/219.5}] ($R^2=0.981$)였다. 봄배추와 가을배추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각각 11348.3kg/10a와 1,5128.2kg/10a로 노지재배의 단수와는 차이를 보인 반면에 봄배추의 경우 시설재배의 단수 1,1147.3kg/10a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차후에 노지재배를 통해, 배추의 생산성에 관여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하고, 실시간으로 계측한 생육 및 기상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보다 정확한 예측프로그램으로 보정 및 검증해야할 것이다.

Assessment of planting soil temperature and growing degree day impacts on silage corn (Zea mays L.) biomass

  • Moonju Kim;Jiyung Kim;Mu-Hwan Jo;Kyungil Sung;Kun-Jun Ha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6권5호
    • /
    • pp.949-961
    • /
    • 2024
  • The annual forage crop production system, enclosing silage corn (Zea mays L.) and following cool-season annual forage, can enhance forage production efficiency where available land is limited for pasture production. In this forage production system, successful silage corn cultivation has a significant value due to the great yield of highly digestible forage. However, some untimely planting or harvesting of corn due to changing weather often reduces biomass and feeding values. Therefore, a study was conducted to quantify the corn silage biomass reductions by the deviations from optimum planting soil temperature and optimum growing degree day (GDD). The approximations of maximum corn production were estimated based on field trial data conducted between 1978 and 2018 with early, medium, and late-maturity corn groups. Based on weather data, the recorded planting dates and harvest dates were converted into the corresponding trials' soil temperatures at planting (STP) and the GDD. The silage corn biomass data were regressed against STP and GDD using a quadratic function. The maximum biomass point was modeled in a convex upward quadratic yield curve and the optimum STP and GDD were defined as those values at the maximum biomass for each maturity group. Optimized STP was at 16.6℃, 16.2℃, and 15.6℃ for early, medium, and late maturity corn groups, respectively, while optimized GDD at harvest was at 1424, 1363, and 1542℃. The biomass reductions demonstrated quadratic functions by the departures of STP or GDD. The 5% reductions were anticipated when STP departed from the optimum temperature by 2.2℃, 2.4℃, and 1.4℃ for early, medium, and late maturity corns, respectively; the same degree of reductions were estimated when the GDD departed by 200, 180, and 130℃ in the same order of the maturity groups. This result indicates that biomass reductions of late-maturity corn were more sensitive to the departures of STP or GDD than the early-maturity corn. Therefore, early maturing cultivars are more stable in biomass production in a silage corn-winter annual forage crop production system to enhance forage-based livestock production efficiency.

팔당호 호안에서 수심과 경사에 따른 식생 분포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with Water Depth and Crossing Slope at the Shoreline of Reservoir Paldang)

  • 이광우;김민경;안창연;심우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8
    • /
    • 200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generate systemic data for the aquatic plant distribution according to water depth and crossing slope in the shorel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nxiety to 0 near area Bidens frondosa, Scirpus tabernaemontani, Carex dispalata etc. total class 21 observe, and Phragmites communis, Iris pseudoacorus etc. class 6 of anxiety 0-70cm extent examined. Class 21 of anxiety observed all such as Bidens frondosa, Scirpus tabernaemontani, Carex dispalata in near area to 0, and Phragmites communis, Iris pseudoacorus etc. class 6 of anxiety 0-70cm extent examined. Anxiety 70-100cm extent Nymphoides indica, Ttapa japonica etc.. class 2 appeared to line Zizania latifolia, Typha angustata back 2 papers, 130cm and examined that Nelumbo nucifera was limit anxiety state 230cm. 2. Aquatic plants of Phragmites communis, Zizania latifolia, Typha angustata etc. range mainly to gentle gradient of slant 10 degree low and distribution pattern was ranging by Zizania latifolia, Typha angustata, Phragmites communis period of ten days from deepwater place. Nelumbo nucifera was forming become independent stock keeping away invasion of plant that ability to breed was different because was prosperous. Slant 10 bores was growing near sleep in been strange steep slope earth and distribution of emerged plant appeared punily and emerged plant and swampy land plant were ranged extensively in gentle gradient of 10 degree low. 3. On lake surrounding plant when wish to do distribution of natural conditions reference need to. That is, gentle gradient and distribution form of steep slope earth are different, and same pitch must consider enough this because appear as distribution, distribution according to that some plant species were growing was different.

월 평균 기온과 강우 자료를 이용한 일 기온 자료의 생성 (Generation of daily temperature data using monthly mea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ata)

  • 문경환;송은영;위승환;서형호;현해남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52-261
    • /
    • 2018
  • 이 연구는 월평균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일 최고기온, 일 최저기온을 생성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전국 23개 기상관서의 과거 30년간의 일기상자료를 분석하여 일 최고기온 및 일 최저기온의 연간 변동 경향을 나타내는 모수(중심값($\hat{U}$), 진폭(C), 편이(T))와 일간 변동을 반영하는 모수(A, B)를 탐색하였다. 그 중 중심값은 지점간의 연 평균자료로부터 도출하였고, 중심값을 제외한 모수들은 전국 평균을 기상생성과정에 적용하였다. 먼저 강우발생 유무에 따라 일 기상자료를 생성한 후 월 자료를 이용하여 보정하고 마지막으로 일 최고기온 및 일 최저기온을 생성하였다. 이 방법으로 전체 23개 지역에 대하여 월별로 생성하였을 때 전체 월별 분포의 95% 이상 관측된 분포와 유사한 일 자료를 생성할 수 있었다. 또 이 방법에 의해 과거 자료와 유사한 생장도일(Growing Degree Day)를 생성할 수 있었고, 조사대상이 아닌 지역에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었다. 이 방법은 기후변화시나리오 등 월 자료가 확보되어 있는 경우에 일기상자료를 생성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북방농업지대에서 유효적산온도를 이용한 벼 해충의 발생시기 비교 (Comparison on the Time of Occurrence of Major Rice Insect Pests Based on Growing Degree Day in Nor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 김순일;엄기백;김대용;박형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239-249
    • /
    • 2019
  • 본 연구는 북방농업지대에서 벼 해충의 지역 간 발생상황을 비교하기 위하여 곤충의 발육에 필요한 온도를 이용하여 발생 시기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발생세대수나 발생 시기 등을 비교하였다. 벼 해충 6종(벼물바구미, 벼잎벌레, 흰등멸구, 벼멸구, 혹명나방, 멸강나방)에 대해 유효적산온도를 이용하여 발생 시기를 추정한 결과 월동해충은 지역에 따라 발생 시기에 차이가 있었으며, 동북방향으로 갈수록 발생시기가 늦어져, 북부고산이나 동해안북부에서는 발생시기가 가장 늦었다. 또한 해충의 발생시기가 6월부터 8월 사이에는 비래해충 1세대 성충 발생시기와 같이 지역 간 발생 시기에 차이가 적어 비슷한 시기에 발생하였으며, 기온이 낮아지는 8월부터 9월에 발생시기가 되면 지역 간 차이가 커서 벼멸구의 2세대 성충이 발생하지 못하거나, 흰등멸구, 혹명나방, 멸강나방 등의 2~3세대 성충의 발생이 안 되는 지역이 많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으로 보아 북방지역의 동북지역, 동해안북부, 북부내륙, 북부고산지역에서의 벼해충 발생은 적을 것으로 추정되며, 중부산간의 평강, 양덕을 제외한 동해안남부, 수양산 이남, 이북지역은 국내 경기, 강원북부지역과 비슷한 발생을 보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파종기가 종실 및 싸일레이지 옥수수의 생육기간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Growth Duration and Grain and Silage Yields of Maize at Different Planting Dates)

  • 이석순;박근용;정승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7-343
    • /
    • 1981
  • 단교잡종 옥수수민 수원19호를 3월 26일부터 7월 9일까지 15일 간격으로 8회 파종하여 파종기가 종실 및 싸일레이지 수량과 생육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가 빠를수록 파종에서 출현까지 일수가 길어지나 출현율은 65%인 3월 26일의 극조식을 제외하면 4월 9일 이후의 파종구는 출현율이 80% 이상이었다. 2. 종실수량은 4월 25일까지는 파종기간에 차이가 없었으로 그 이후는 파종이 지연될수록 자수를 발달시키지 못하는 포기의 증가와 수당잎수의 감소로 수량이 감소하였다. 3. 건물중으로 표시한 싸일레이지 수량은 5월10일 파종까지는 차이가 없었으나 그 이후는 파종이 지연될수록 수량, 건물비율, 종실중/전건물중 비율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4. 파종에서 출사까지 일수는 파종류가 지연됨에 따라 108 일에서 52일까지 감소하였으나 유효적산 온도로 표시하면 파종기에 관계없이 비슷하였으며 평균 815$^{\circ}C$이었다. 5. 종실 및 싸일레이지 생산을 목표로 할 때 등숙기간은 다수확을 위한 파종한계기 이내에 파종하면 각각 44 및 40~42일 이었으나 다수확을 위한 파종만한기 이후에 파종하면 성숙까지 일수는 헌저히 증가되었다. 그러나 유효적산온도로 표시하면 파종에 상관없이 종실용은 평균 697$^{\circ}C$ 싸일레이지용은 651$^{\circ}C$이었다.

  • PDF

오장(五臟)의 구조에 대한 통합의학적 고찰 (Integrative Study on the Structure of Five Viscera)

  • 이수진
    • 혜화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31
    • /
    • 2012
  • Allopathic medicine has had a lot of limits though it has maintained the status of mainstream medicine, therefore these day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s in traditional medicine of East Asia. According to this trend, the integration between allopathic medicine and traditional medicine has become a hot issue and the need of mutual understanding on their physiology and pathology increases. However,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medical theory based on ying-yang, five phases, viscera and bowels is still difficult to be accepted to allopathic medical fields. Therefore, this research tried to investigate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s of the structures between five viscera and organs. As a result,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investigation and understanding on viscera in traditional medicine or organs in allopathic medicine has in common in some degree. However, the integration and comparison between two medicines should be done cautiously because there still are the basal different points of understanding of human structure and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