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ps style

검색결과 749건 처리시간 0.025초

치과위생사의 스켈링 작업 시 발현되는 두경부 및 견부 주위 근육들의 표면 근전도를 이용한 특성 분석 (Analysis Characteristic the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of Head Neck and Around of Shoulder Muscles Express Scaling Working of the Dental Hygienist)

  • 전은숙;남건우;하미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37-442
    • /
    • 2012
  • 이 연구는 20명의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스켈링 실습 시 발현되는 근육들의 활성도와 통증부위를 파악하여 치과위생사의 작업자세에 따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스켈링 시 근활성도의 측정은 free EMG를 이용하였고, 근골격계 통증부위를 알아보기 위해 Nordicstyle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세에 따른 스켈링 시 통증의 발현은 팔꿈치, 등, 다리, 무릎, 발목/발은 그룹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목, 어깨, 손목/손, 허리에서는 자세에 따라 통증의 정도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2. 자세에 따른 근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올바른 자세를 가진 그룹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승모근과 상완요골근에서 변화를 보였고, 나쁜 자세를 가진 그룹에서는 후두부근, 상승모근, 상완요골근에서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3. 근활성도에서 두 군간의 변화양상은 좋은 자세로 스켈링을 실시한 그룹에서는 낮은 근활성도를 보였으나, 나쁜자세로 스켈링을 실시한 그룹에서는 근활성도가 과하게 증가되었다. 따라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스켈링을 실시하는 것이 근육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알수 있었고, 앞으로 임상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직무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전설적 불로장생약과 고려홍삼의 현대 과학적 효능과의 연관성 (A correlation of the modern scientific efficacy of Korean Red Ginseng with the legendary medicine for anti-aging and longevity)

  • 이영득
    • 인삼문화
    • /
    • 제2권
    • /
    • pp.39-70
    • /
    • 2020
  • 본고에서는 유래가 다른 상고사서의 상호 해석과 검증을 통하여, 위서(僞書)로 의심 받아 왔던 『부도지』, 『환단고기』, 『규원사화』의 기록이 논리적으로 실제 기록일 수 있음을 입증하였고, 『사기』 및 『열자』의 중국사서에도 등장하는 전설적인 '불로장생약'의 실체가 고려 인삼임을 밝혔다. 나아가 핵심 서적인 『부도지』의 인류이동 설명에 부합하는 Y 염색체 인류이동 지도를 참조하여, 각 인류 집단의 생활상을 기반으로 사상체질의 형성과 동남아인에 대한 고려인삼 열감문제의 기원이, 역사적 또는 과학적 관점에서 PPT유형 진세노사이드로 인한 체질문제로 추정하였다. 이 문제의 해결이 홍삼제조시의 PPT유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의 PPD유형 진세노사이드 생산으로 해결되며, 또한 홍삼제조시 홍삼다당체의 함량 증가로, 홍삼다당체, PPD유형 진세노사이드, 원래 고려인삼에 다량 포함된 아르기닌에 의하여, 신체 내 '열충격단백질'의 발현이 증가되는 방법임을 설명함으로써, 고려 홍삼의 '아답토젠' 또는 '장생불사약'으로서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이론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미국삼(서양삼)과 고려인삼의 생육환경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그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한국 근로자의 식품섭취 기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s for Food Intake of Korean Industrial Workers)

  • 김창숙;안명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
    • /
    • 1993
  • This study was carried on the preferences for food intake pattern of Korean industrial worker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 17, to March 31, 1992 by questionnaires which was composed of 21 it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426 clerical workers, and 439 physical worker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In the educational background, clerical workers was almost of highschool or collage graduates, and physical workers was almost of highschool graduates. Marginal food cost of per person for lunch a day was from 500 Won to 1,000 Won. They replied that amount of staple food and side dishes were appropriate, and the type of preferable foods was Korean style cooked rice. Also it was known that physical workers thought their nutritive condition more badly than that of clerical workers. So the physical workers considered their health very much when they had meal. It was represented that unbalanced diet, without diet and drinking alcohol effected badly to food intake and taste of food was the most important point in food intake. 2. Preferences for staple foods; Cooked rice was preferred the most by the subjects. Cooked rice with redbean was preferred by clerical workers and cooked rice with soybean was preferred by physical workers and cooked rice with soybean was preferred by physical workers. Also clerical and physical workers liked Kalkooksoo (hot noodle), Nangmyun (cold noodle), bread, vegetable bread and disliked Sphagetti, Ramyun (Instant noodle) in same rate. In the next, cooked rice covered with raw fish pieces (Sushi) was preferred by clerical workers and Mandu-kook was preferred by physical workers. Also they disliked Curriedrice and Hashrice in same pattern. 3. Preference for side-dishes; The Acceptances for side-dishes were high soybean paste soup (clerical workers:43.7%, physical workers:34.4%), Kim chi stew, fried potatoes, crab steaming (37.8%, 36.9%), broiled fish (34.6%, 33.9%), fried green pepper, Ham, Chinese cabbage Kim chi, and pickled garlic by clerical and physical workers all together. But in clerical workers, Wooghugi beef-rib tang, Deodeok muchim, spinach namul, beef jangjeorim, fried shrimp were shown to have high preference in physical workers, beef-rib tang, wild onion and shepherd's purses muchim, soybean sprout, fish jeorim, fried sweet potatoes were high preference. 4. Preference of Snacks; The preferences for snacks were high in strawberry (clerical:36.3%, physical:34.3%), milk (49.9%, 44.4%), waxy rice Doek (30.7%, 30.2%), coffee (40.1%, 38.9%) by two groups in same order.

  • PDF

Cardiovascular Health Metrics and All-cau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Among Middle-aged Men in Korea: The Seoul Male Cohort Study

  • Kim, Ji Young;Ko, Young-Jin;Rhee, Chul Woo;Park, Byung-Joo;Kim, Dong-Hyun;Bae, Jong-Myon;Shin, Myung-Hee;Lee, Moo-Song;Li, Zhong Min;Ahn, Yoon-Ok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6권6호
    • /
    • pp.319-328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estimated the association of cardiovascular health behaviors with the risk of all-cau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CVD) mortality in middle-aged men in Korea. Methods: In total, 12 538 men aged 40 to 59 years were enrolled in 1993 and followed up through 2011. Cardiovascular health metrics defined the following lifestyle behaviors proposed by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smoking, physical activity, body mass index, diet habit score, total cholesterol, blood pressure, and fasting blood glucose. The cardiovascular health metrics score was calculated as a single categorical variable, by assigning 1 point to each ideal healthy behavior. A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hazard ratio of cardiovascular health behavior. Population attributable risks (PARs) were calculated from the significant cardiovascular health metrics. Results: There were 1054 total and 171 CVD deaths over 230 690 person-years of follow-up. The prevalence of meeting all 7 cardiovascular health metrics was 0.67%. Current smoking, elevated blood pressure, and high fasting blood glucos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ll-cause and CVD mortality. The adjusted PARs for the 3 significant metrics combined were 35.2% (95% confidence interval [CI], 21.7 to 47.4) and 52.8% (95% CI, 22.0 to 74.0) for all-cause and CVD mortality, respectively. The adjusted hazard ratios of the groups with a 6-7 vs. 0-2 cardiovascular health metrics score were 0.42 (95% CI, 0.31 to 0.59) for all-cause mortality and 0.10 (95% CI, 0.03 to 0.29) for CVD mortality. Conclusions: Among cardiovascular health behaviors, not smoking, normal blood pressure, and recommended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were associated with reduced risks of all-cause and CVD mortality. Meeting a greater number of cardiovascular health metrics was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all-cause and CVD mortality.

분류 지식의 생성과 이해 형태 학습을 통한 학생들의 두뇌활성 변화 (Learning-Related Changes on the Brain Activation Patterns in Classification of Knowledge-Generation and -Understanding)

  • 권용주;이준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87-497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수-학습 방식(범주생성형 vs. 범주이해형)이 학생의 분류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두뇌 수준에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교에 재학 중인 24명의 건강한 오른손잡이 학생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생성 집단과 이해 집단의 두 집단으로 나뉘어 12주간의 서로 다른 학습프로그램을 체험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과제수행 과정에서의 두뇌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학습프로그램 경험 전후에 fMRI 측정과 지필 검사를 실시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분류범주생성 과제의 수행에서 생성집단은 교수-학습 경험 후 대뇌피질 영역과 기저핵 영역이 함께 증가되었으며, 선택-갈등과 관련된 전두피질 영역과 해마옆이랑의 활성감소가 나타났다. 반면 이해집단은 의미 있는 활성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분류범주이해 과제의 수행에서는 이해집단이 교수-학습 경험 후 대뇌피질 영역과 해마옆이랑의 활성증가가 있었으며, 우측 전두피질부와 소뇌의 활성감소가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은 특정 교수-학습 양식에 의해 학생이 경험하는 학습양식은 이와 관련된 학생의 특정 두뇌 시스템의 발달을 강화 혹은 약화 시킬 수 있게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결과는 두뇌 맞춤형 과학적 분류 학습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부산지역의 외식실태조사 4. 저녁때의 외식성향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for Dining-out in Busan 4. The Propensity to Dining-out at Suppertime)

  • 김두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57-363
    • /
    • 2002
  • 부산지역의 외식실태 중 저녁때의 외식성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시내에 거주하거나 직장을 가진 대학생 이상의 남녀 792명을 대상으로 외식빈도, 외식장소, 외식동반자, 자주 가는 음식점과 음식 그리고 식사시 음주 여부와 자주 마시는 술의 종류 등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외식성향에 대한 다양한 결과를 알아내기 위해서 성별, 연령 그리고 직업별로 통계처리 하였으나 본 보고서에는 성별과 연령별 결과만을 발표하였다. 저녁때에 자주 가는 외식장소로는 시내 중심가(25.3%), 집 근처(23.4%), 소문난 곳(17.7%) 순이었으며, 남자는 시내 중심가(26.1%), 여자는 집 근처(27.6%)가 가장 높았으며, 젊을수록 시내 중심가에서의 비율이 높고 나이가 들수록집 근처의 비율이 높았다 저녁 외식때의 동반자는 친구(49.1%)와 가족(48.9%)이 대부분이었다. 저녁 외식 때 자주 가는 음식점은 갈비집(46.6%), 한식집(28.9%), 횟집(27.8%) 순이었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한식집, 갈비집 그리고 횟집의 순으로, 대학생과 20대는 햄버거점, 피자점 그리고 분식점 순으로 선호도가 높았다. 저녁에 외식때 자주 먹는 음식은 소갈비(43.0), 생선회(40.9%)순이었으며, 소갈비와 생선회에 대한 선호도는 나이가 많을수록, 피자와 햄버거는 대학생과 20대에서 선호도가 높았다. 저녁 외식때 약 77%가 술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주 마시는 술의 종류로는 소주(66.6%)와 맥주(26.0%)가 대부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산 시민의 저녁때의 외식성향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도 계속하여 다양한 부산시민의 외식업소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좀 더 다양한 조사를 계속할 것이다.

한국농촌노인의 건강증진관리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Promotion Needs Assessment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 조소영;김점자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6-161
    • /
    • 1996
  • This study was purposed to find health promotion and care need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of Korea. As the rural elderly are limited in accessibility to health care resources and could not immediately solve their health care needs when they need. health promotion and care services are expected to bring better and more practical solutions of their health care needs. Thus, the type of health care services to be developed in Korea rural area is discussed to have emphasis on health care service component in addition to health promoting components. Methods of this study was based on survey data analysis : total 322 persons aged older than 55 living at one 'Kun' in Korea administrative unit were interviewed by health workers working at the region and also get trained for this study data collection. The data collection interview was continued from February till May in 1996. The interview questions were modified with adjustment to Korea situation. with basis of the WHO's health promotion program compon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program for frequency, correlation, regression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74.8\%$ of the surveyed were sick at the survey time point. and $95.9\%$ known the diagnosis name of the disease. The most frequently complained diseases were Muscular-Skeletal diseases $(43.7\%)$. $34\%$ of those sick had never treated or discontinued therapeutic procedures. so that shown the necessity of systematic and usual health care services with health promotion program development for the elderly. (2) The percent of those who make social participation was $95.3\%$. and the activities were visiting neighbors $(70.4\%)$ and lack of qualified social activity programs. (3) $78.1\%$ of the surveyed had health counseling and education from professional health workers. Those ceased smoking and drinking were $59.6\%,\; 60.3\%$. respectively. Those had no application of therapeutic drugs or nutrion supplements was $40.7\%\;and\;94.1\%$ had regular meals. Those practiced exercises was low remarking $17.7\%$. (4) Positive health behaviors were better carried out by sick groups than by the healthier. except smoking. regular meals. and exercise. $17.5\%$ of sick group smoke more than one case of cigarettes. in contrast to $9.5\%$ of the healthier. (5) Mental health status was heathier among positive health behavior earners. Health counseling and education shown better score of mental health than those never counseled. (6) Positive health behavior practice frequenc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crossed by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status. (7) Health behaviors of the rural elderly people were carried out better when they had positive 'continuency in therapeutic procedure' 'health status'. 'familial relationship'. 'Health Status' of the rural olderly were explained by 'exercise'. 'drinking'. 'familial relationship'.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us, health behaviors practice mutually interact with health status. In conclusion. the health promotion and care program component are recommended to include ation on the necessity of positive health promotion active social acitivities. pleasant life style, adaption into changes on the elderly, safety in residential area. community acitivity and resource utilization. etc .. in addition to the elderly's disability and sickness caring services.

  • PDF

일 보건소 고혈압 관리 교육이 방문간호대상자의 고혈압 지식, 혈압변화 및 자가간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ealth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Self-care of Hypertension for Visiting Nursing Clients)

  • 고일선;김광숙;임미혜;이경자;이태화;박효숙;이현숙;김정애;김은영;정수경;최정민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4-145
    • /
    • 2007
  • Purpose: To test the effects of health education on the blood pressure, knowledge, and self-care of visiting nursing clien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96 participa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hypertension or had high risk factors for hypertension among those registered at a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The education program was individualized and delivered to enhance the management of hypertension including life-style modification, medication, and complication managements.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May to December 2006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paired t-test, and ANOVA. Results: The blood pressure of the participants after the educ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before the education. Education also significantly affected the increases of knowledge of the disease and self-care capability. However, the blood pressure and self care were not significantly improved for the age group over 85 years. Conclusions: This study proves that the individualized health education for visiting nursing clients was effective in improving blood pressure, knowledge, and self-care of hypertens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that are specifically targeted at particular age groups in order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self-care of hypertension.

  • PDF

야외텐트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칼라와 프레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nt design of outdoors -focusing on tent color and frame-)

  • 허진용;윤명한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167-176
    • /
    • 2007
  • 레저문화의 발달과 주5일제의 근무로 주말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야외로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팬션이나 캠핑카의 이용도 많은 반면 가족, 친구단위로 여름 휴가철에는 많은 텐트이용을 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텐트디자인 역시 조금씩 발전, 변화되어가고 있지만 기후, 문화습성, 선호색상에 따라 독특한 디자인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외국의 텐트디자인 만큼 발전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과 국내 텐트디자인 요소에서 컬러, 프레임 등을 중심으로 텐트디자인 경향을 비교분석하여 차이점을 조사하고, 이론적인 자료와 아이디어 스케치를 통하여 텐트의 크기, 넓이, 이동과 설치의 간편함 중심으로 우리나라 특성에 맞는 텐트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손쉽게 설치하고 운반의 용이성을 주기 위해 프레임에 대한 무게를 최소화하고 내구성의 강화와 공기 흐름을 유입경로를 파악하여 쾌적한 공간 연출을 위하여 기존의 텐트보다 창문의 스타일과 크기가 많아지고 텐트의 크기를 넓혀 가방이나 짐을 내부 한 구속에 창고형식의 공간을 두어 사용자들에게 최대한 넓은 활동 공간을 유도하였다. 이론조사를 통한 외국 텐트의 경향과 국내 텐트의 경향에 대하여 자료 수집정리와 텐트의 칼라비교와 언어이미지를 추출하여 프레임스타일을 응용스타일결과로 제시하여 3개월의 준비기간으로 샘플 제작을 하여 테스트 단계를 거쳐 중국 공장에서 양산되고 있다.

  • PDF

눈 형태에 따른 스모키 메이크업의 감성 이미지 (Analysis of emotional images according to eyes shapes and smoky makeup tone)

  • 김민경;류희욱
    • 감성과학
    • /
    • 제14권2호
    • /
    • pp.321-330
    • /
    • 2011
  • 한국인의 전형적인 3가지 유형의 눈 모양 (표준 눈, 작고 외겹 눈, 올라간 눈)에 대해 명암을 변화시킨 5가지 스모키 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의 이미지를 시각적 감성언어를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눈의 형태와 스모키 메이크업의 돈 변화(아이 쉐도우의 명암 조절)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들을 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스모키 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들의 이미지에 대한 메이크업 전공학생과 전문가 집단의 인식은 대부분 일치하였으나, 메이크업에 대한 테크닉 구사 능력과 식견의 차이뿐만 아니라 세대 차이 등으로 인해 몇몇 일러스트레이션들에 대해서는 뚜렷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스모키 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 자극물을 통하여 느껴지는 다양한 감성언어를 눈 형태와 스모키 메이크업의 톤 변화에 따라 느끼는 감성반응을 정리한 메이크업 이미지 포지셔닝 맵을 제시하였다. 무 메이 크업, 소프트 스모키, 면적 스모키에 대한 두 집단의 연상이미지는 각각 부드럽고 따뜻한, 부드럽고 정적 도시적, 차갑고 심플한 것으로 동일하게 평가 되었다. 반면에 면적 스모키에 대한 연상이미지는 인공적인 것(전문가 집단)과 선명하고 돋보이는 것(전공학생 집단)으로 다르게 평가되었다. 어두운 톤(dark)의 면적 스모키는 두 집단 모두 대체적으로 역동적이라는 감성평가가 나왔다. 눈 모양에 따른 메이크업 포지셔닝 맵은 스모키 메이크업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이미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추후 다양한 눈 모양에 따른 이미지 포지셔닝 맵을 통하여 이미지 감성을 정량화 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