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p Sociality Pla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집단사회성놀이가 자폐청소년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roup sociality play in sociality of autistic adolescent)

  • 우희순;원성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98-105
    • /
    • 2016
  • 집단사회성놀이는 놀이를 통한 사회성 증진을 목적으로, 그룹활동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목적 있는 활동, 인지, 신체움직임 등 여러 요소들을 잘 조합하여 자유롭게 자아를 표현시키는 치료적 방법이다. 이를 타인과의 의사소통 능력이 저하된 자폐청소년들에게 적용하여 궁극적으로 자폐청소년들의 대인관계 개선과 사회성을 증진을 유도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전 소재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사회성에 결함을 가지고 있는 8명의 자폐청소년을 대상으로 단일군 전후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집단사회성놀이 프로그램은 2013년 10월부터 12월까지 주 2회씩 7주간(총 14회기), 한 회기 당 60분씩 시행하였고 중재 전후의 사회성을 Wilcoxon 순위검정을 실시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이화-자폐 아동 행동 발달 평가(E-CLAC)와 사회성숙도 검사의 점수의 총점이 $39.88{\pm}6.78$에서 $47.00{\pm}4.28$, $49.96{\pm}28.00$에서 $61.36{\pm}21.75$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는 집단에서의 적응, 지시 따르기, 행동 빈도 증진 등의 하위항목에서 유의한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집단사회성놀이에 포함된 집단활동 요소와 대상자들의 발달을 고려한 놀이 활동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자폐청소년의 사회성 증진 효과에 효과적으로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중심 블록놀이 활동이 유아의 메타인지와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Theme Centered Block Play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Metacognition and Sociality)

  • 신수경;김현정;박윤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47-66
    • /
    • 2012
  • 본 연구는 주제중심 블록놀이 활동이 유아의 메타인지와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총 60명으로 평균월령은 73개월이었다. 실험집단에서는 주제중심 의 블록놀이 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서는 자유 블록놀이 활동을 실시하였다. '메타인지' 검사와 '사회성'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증을 통 해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주제중심 블록놀이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메타인지와 사회성 점수가 자유 블록놀이 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 유아들의 점수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섭식장애가 있는 뇌성마비아동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구강 감각 놀이 치료프로그램의 효과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Oral Sense Play Treatment Program on the Social Enhancement in Dysphagic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오혜원;김고운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65-275
    • /
    • 2020
  • Purpose :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apply oral sensory play therapy program to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o have sensitive oral senses to find out the effect on oral sensory ability, oral function, performance ability and sociality.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children diagnosed with cerebral palsy, and 10 experimental groups and 10 control groups. Oral sensory play therapy programs, including oral sensory programs,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only oral sensory programs were conducted in the control group. Oral Sensory Treatment Level was used to identify the sensory profile and the overall oral function of the oral function was used, and th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were examined to find out the performance of the work, and social skills were examined for social skills (SMS). Results : The level of oral sensory treatment, overall oral function, work performance and sociality all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the oral sense and oral function in the 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in the case of work performance and sociality.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oral sensory play therapy program is an effective arbitration method for oral sensation, oral function, work performance and social enhancement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udy of arbitration protocol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ith oral sensory problems will have to be more active.

Dynamic Changes in the Bridging Collaterals of the Basal Ganglia Circuitry Control Stress-Related Behaviors in Mice

  • Lee, Young;Han, Na-Eun;Kim, Wonju;Kim, Jae Gon;Lee, In Bum;Choi, Su Jeong;Chun, Heejung;Seo, Misun;Lee, C. Justin;Koh, Hae-Young;Kim, Joung-Hun;Baik, Ja-Hyun;Bear, Mark F.;Choi, Se-Young;Yoon, Bong-June
    • Molecules and Cells
    • /
    • 제43권4호
    • /
    • pp.360-372
    • /
    • 2020
  • The basal ganglia network has been implicated in the control of adaptive behavior, possibly by integrating motor learning and motivational process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inforcement appear to shape our behavioral adaptation by modulating the function of the basal ganglia. Here, we examined a transgenic mouse line (G2CT) in which synaptic transmissions onto the medium spiny neurons (MSNs) of the basal ganglia are depressed. We found that the level of collaterals from direct pathway MSNs in the external segment of the globus pallidus (GPe) ('bridging collaterals') was decreased in these mice, and this was accompanied by behavioral inhibition under stress. Furthermore, additional manipulations that could further decrease or restore the level of the bridging collaterals resulted in an increase in behavioral inhibition or active behavior in the G2CT mice, respectively. Collectively, our data indicate that the striatum of the basal ganglia network integrates negative emotions and controls appropriate coping responses in which the bridging collateral connections in the GPe play a critical regulatory role.

유아의 숲동화 구연학습이 자기감정조절과 공동체의식 함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Oral Narration Learning for Children's Forest Fairy Tale on Self-Emotional Regulation and Community Spirit Cultivation)

  • 강영식;마지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12-124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의 숲동화 구연학습이 자기감정조절과 공동체의식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S시소재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8주간 16회기 실험 연구 하였다.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숲동화 구연학습을 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나 실험집단의 숲동화 구연학습의 유용성을 입증해주었다. 특히 공동체의식 요인의 기본생활 습관과 공동체 의식, 사회성발달, 자기인식에서 모두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숲 체험 활동에서의 자연과에서 소통과 함께 동화소재를 자연 속에서 읽으면서 듣고 직접 체험함으로써 유아들이 동화를 통해 주의 집중하고 자연과의 교감 속에 자연 그대로 느끼는 순수한 감성을 바탕으로 또래와 함께 상호 협력하고 공존을 위한 관계 향상은 물론 원칙과 질서를 지키고 이를 실천하려는 소중한 마음이 동화 속 이야기와 함께 자기감정조절까지 증가시킴을 실증해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같은 결과는 숲 활동에 있어 단순한 놀이나 교육 중심에서 벗어나 숲동화 연계 활동을 통해 감정조절 뿐만 아니라 공동체의식 향상에도 긍정적인 교육효과를 가져다 줌에 따라 이의 활용이 보다 확산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