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곽노의(1996). 유아발달 수준검사. 국립교육평가원. 75-112.
- 김귀순(2003). 초등학교 아동의 무용 참여가 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노재민(2008). 주제중심 산책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박경희(1989). 유아의 유니트블록 놀이 유형과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박선영(2006). 쌓기놀이에서 또래상호작용이 유아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박찬옥. 정남미, 곽현주(2002). 놀이지도. 정민사
- 신상인(1991). 적목놀이 항목에서의 교사 개입유형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신수경(2008). 놀이유형에 나타난 유아의 의사소통전략과 사회적 행동 및 문제해결 능력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신영균(1999). 웹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에 있어서 수학과 학업성취도와 메타인지가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신유경(1999). 유치원에서 주제가 제시된 쌓기놀이에 관한 질적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오은순(1994). 블록의 유형과 수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이경순, 최석란(2004), 유아들의 쌓기놀이에 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5(5), 95-110.
- 이은정(2004). 한국 민속무용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지은(2001). 무용특별활동 참여가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화도(2004). 유아-교사 간 상호작용 속에 나타난 메타인지적 개입양상에 대한 분석. 유아교육연구, 24(6), 67-87.
- 전경문, 강훈식, 노채희 (2004). 계획과 검토 단계를 강조한 문제 해결 전략의 효과. 대한학회지. 48(2), 182-188.
- 조규영(2011). 과학교과에서 과학자기효능감 증진 교수학습 전략 개발 및 적용.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지성애, 이규림, 안지영, 이연주, 조은정,(2009). 주제 중심 블록놀이 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3(1), 67-86.
- 지성애(2002), 유아놀이지도. 서울: 정민사
- 진명희(1986). 유아의 블록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최정인, 여성희, 심규철, 소금현(2012). 중학생의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과 메타인지와의 관련성. 중등교육연구, 60(1), 51-82.
- 하정희(1997). 연령집단구성에 따른 쌓기놀이에서 유아의 사회적 참여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허지은(2004). 생활주제 중심 인터넷 탐색활동이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 허해옥(1998). 주제중심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Artzt, A. F., & Armour-Thomas, E.(1992). Development of a cognitive-metacognitive framework for protocal analysis of mathematical problem splving in small groups. Cognition and Instruction, 9(2)
- Baird, J. R.(1986). Improving learning through enhanced metacognition: A classroom study.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8, 263-282. https://doi.org/10.1080/0140528860080303
- Bender, J.(1978). Large hollow block: Relation of quantity to block building behavior. Young Children, 33(6), 17-23.
- Cartwright, S.(1988). Play can be the building blocks of learning. Young Children, 43, 44-47.
- Chi, S. A.(1991). A comparision of the effect of play material on preschool chidren's social play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Collage, Mass.
- Cohen, L. E.(2006). Young children's discourse stragegies during pretend block play: A sociocultural approach. PH. D, New York: Fordham University.
- Dau, E.(1999). Child's play: Revisiting play in early childhood settings. Baltimore, MD: Paul H. Brookes Publishing.
- Johnson, H. M.(1996). The art of block building. In E. S. Hirsh(Ed). The block book(3rd ed.). Washington, D.C.: NAEYC.
- Katz, L. G., & Chard, S. C.(1989). Engaging Children's mind. NY: Ablex.
- King, N. R (1992). 유아의 놀이에 대한 상황의 영향. In M. Sapon-Shevin(Ed). Reconceptualizing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Brgining the dialogue. 신옥순.염지숙 역(2000). 유아교육과정의 재개념화: 그 대화의 시작(pp. 111-141). 서울: 창지사.
- Klein, D. C.(1998). The Effect of self-Monitoring and Multifle Context instruction on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Transfer Among Middle Students(CSC Tech. Rep. No. 466).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Evaluation, Standards, and Student Testing.
- Lindberg, L., & Sweiow, R.(1980). Early childhood education: A guide for observation and participation(2nd ed.). NY: Allyn & Bacon Inc.
- Pramling, I.(1990). Learning to learn: A study of Swedish preschool children. Springer Verlag. NY.Inc.
- Roger, D. L.(1985). Relation between block play and the soci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20(4), 245-261. https://doi.org/10.1080/0300443850200403
- Schirrmacher, R., & Fox, J. E.(2009). Art &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6th ed.). Clifton Park, NY: Thomson Delmar Learning.
- Schoenfeld, Alan H.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cademic Press, Inc.
- Schraw & Graham(1997). Helping gifted students develop metacognitive awareness. Roeper Review, 20(1), 4-9. https://doi.org/10.1080/02783199709553842
- Shigemastsu, K., & Katsumi, Y.(1993). Metacognition: The role of the "inner teacher"(5): Reasearch on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of "inner teacher". PME Conference, 17(2), II-278-II-285.
- Thomas, G.P.(2003). Conceptualisati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for investigating the metacognitive orientation of science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s: The Metacognitive Orientation Learning Environment Scale-Science(MOLES-S). Learning Environments Reasearch. 6, 175-197. https://doi.org/10.1023/A:1024943103341
- Winsor, C. B.(1974). Block as material for learning through play-The contribution of Caroline Pratt. In E. S. Hirsch(9ed.), The Block Book(pp. 87-99). Washington, D. C: NAEY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