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p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3초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낙상예방 작업치료가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all-preventive Occupational Therapy Applied to Elderly in the Community upon Balance Ability)

  • 장기연;우희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32-240
    • /
    • 2010
  • 지역사회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작업치료가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노인들의 낙상 예방을 위한 작업치료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립보행이 가능하고 균형에 영향을 주는 약물 복용을 하지 않는 65세 이상 여성 노인들을 대상으로 실험군 13명, 대조군 13명으로 분류하여 낙상 예방을 위한 교육과 운동을 병행한 6주 간의 작업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균형 능력 평가는 Berg 균형척도와 Tetrax 낙상지수가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 실험군의 Berg 균형척도는 6주간의 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48.38에서 50.69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p=.017). 실험군의 Tetrax 낙상지수 또한 6주간의 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46.77에서 35.54으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나타내었다(p=.000).대조군의 Berg 균형척도와 Tetrax 낙상지수는 모두에서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낙상예방 교육과 운동을 병행한 낙상예방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6주 간의 적용이 노인의 균형 능력증진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았으며, 추후 낙상 예방 교육의 효과만을 다룬 연구들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골반압박벨트가 뇌졸중 환자에서 보행속도, 분속 수, 보장, 활보장, 및 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lvic Compression Belt on Gait Velocity, Cadence, Step Length, Stride Length of Gait and Dynamic Balance in Stroke Patients)

  • 신영일;김진영;이호종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3-70
    • /
    • 2019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pelvic compression belt on gait abilities and balance in subacute stroke patients. Methods: Twenty two patients with subacute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 Two group offered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for five day. The group was composed of twelve patients.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the pelvic compression belt and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although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provided in th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To assess the gait ability, the GAITRITE system was used and the Balance system SD was used to test balance. Al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a significant improvement the cadence, velocity,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in gait (p<.05) and show significant increase in the dynamic standing balance (p<.05). However, control group shows a significant improvement the cadence, velocity,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in gait (p<.05), but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ynamic standing balance. Furthermo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gait velocity, dynamic standing balance between two groups (p<.05). Conclusion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lastic pelvic belt application is effective to improve gait velocity, dynamic balance in the subacute stroke patients. Thus, the elastic pelvic belt is seemed to be one of the potential methods to facilitate the act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hemiplegia patients.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참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occupation-centered transition program on self-efficiency and social participation for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김고운;오혜원;김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41-449
    • /
    • 2017
  •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성인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기효능감 및 사회참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실제 사회참여가 필요한 성인기 이후의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가 되기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성인 지적장애인 44명을 대상으로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나눠 자기효능감 및 사회참여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효능감 척도(Self-Efficacy Scale)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참여를 알아보기 위해 사회참여척도(K-Community Participation Indicators; K-CPI)를 통해 평가하였다. 연구의 결과 자기효능감의 경우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자기효능감의 점수가 더 많이 증가하였고, 실험군에서는 점수의 변화가 유의하였으나(p<.05), 대조군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사회참여의 경우 실험군에서 더 많은 증가와 함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이러한 결과는 18세 이상 성인 지적장애인에게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및 사회참여의 향상에 효과를 가져다 준 것으로 사료된다.

치료적 중재 사이 낮잠이 뇌졸중 환자의 운동학습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Nap between Therapeutic Interventions on Motor Learning in Patients with Stroke)

  • 이나정;최용원;최민경;감경윤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9-14
    • /
    • 201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ap between therapeutic interventions on motor learning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 : Thirty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the screening by questionnaire about nap time, the patients were assigned to nap or non-nap group.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30 min were provided two times per day for 5 days per week and the serial reaction time tasks were conducted 2 times before and after a nap per day for 3 days per week. Between the therapeutic interventions, a nap for 60~120 minutes was allowed to the nap group while non-nap group was not. Intervention programs were carried out during the total 15-day. Result : Compared with the non-nap group, the reaction-precision level of nap group was increased (p<.05) for the non-affected upper extremity in the serial reaction time tasks.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nap between therapeutic interventions has positive effects on motor learning in patients with stroke.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적용한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a Dual-task Virtual Reality Program for Senior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황정하;박미숙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92-500
    • /
    • 2018
  • 본 연구는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적용하여 인지기능, 균형과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중재한 실험군 집단과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중재한 대조군 집단은 1회 30분, 1주일 5회, 총 6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이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에 비해 인지기능 중 기억력 항목과 균형 항목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이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에 비해 ${\beta}$파와 SMR파의 세기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효과적인 치료방법이었고, 다양한 질환을 겪고 있는 대상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의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

시설 노인을 위한 기능적 그룹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Functional Group Activity Program on Institutionalized Aged)

  • 방요순;김희영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3-92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es of physical function, perceptual and cognitive function, emotional function, and functional independence in the institutionalized aged according to functional group activity program (self help Tai Chi exercise plus functional task). Methods: Study subjects were 20 institutionalized aged from June to October in 2010. The subjects received functional group activity program two times a week for 15 weeks. Physical function (grip strength, coordination, lower extremity strength, balance, gait, trunk flexibility), perceptual and cognitive function, emotional function(depression, social skill), and functional independenc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physical function (coordination, lower extremity strength, gait, trunk flexibility), perceptual and cognitive function, emotional function (depression, social skill), and functional independence. The functional group activity program may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institutionalized elders to enhance their functions. Conclusion: The functional group activity program may be effective on elderly institutions which have limitation in human, material, environmental resources.

치매노인에게 적용한 복합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연구 (The effect of the multi intervention program applying to dementia elderly)

  • 김희정;이춘엽;정혜림;이규한;김동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21
    • /
    • 2015
  • 목적 : 본 연구는 복합 중재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작업수행능력, 인지, 균형, 삶의 질, 시간 사용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치매노인 15명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총 5단계로 복합 중재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 작업수행능력(COPM), 인지(MMSE-DS), 균형(BBS), 우울(GDS-K), 일상생활활동(MBI), 삶의 질(GQOL-D), 시간 사용(OQ)을 평가하였으며, 10주간의 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결과 : 복합 중재프로그램 적용 후 치매노인의 작업수행능력의 만족도, 균형능력, 삶의 질, 시간 사용 형태 중 이동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복합 중재프로그램은 치매노인의 작업수행 만족도와 삶의 질 및 균형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시간 사용 형태 중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 사용량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어 치매노인의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PNF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교대운동속도와 연속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n Orofacial Exercise Program using PNF on Diadochokinesis in Sub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 원영식;이순현;김계호;문종훈
    • PNF and Movement
    • /
    • 제16권3호
    • /
    • pp.475-484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PNF orofacial exercise program on diadochokinesis in sub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Methods: Thirteen subacute stroke inpatients with dysarthria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All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n=7) and a control group (n=6).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 PNF orofacial exercise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carried out an orofacial self-exercise. Both groups received the treatments 30 minutes per day, 5 days per week, for 4 weeks. The outcome measures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cluding an alternating motion rate (AMR) and sequential motion rate for diadochokinesis.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diadochokinesis (p<0.05). In the change values for both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did in /pə/ of AMR (p<0.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NF orofacial exercise programs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diadochokinesis in sub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스노젤렌과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Rehacom)이 인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noezelen and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Rehacom) on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 송민옥;김명진;유영민;이향진;양기웅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79-95
    • /
    • 2013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noezelen and Rehacom programs on improvement of attention and memory, and the effect of the Snoezelen program on stress reduction. Method : This study was targeted at 11 subjects in the Snoezelen experimental group, 11 subjects in the Rehacom group and 11 subjects in the non-experimental group. As the initial evaluation, all the subjects took electroencephalography. Then, the Snoezelen group and Rehacom group did Snoezelen training and Rehacom training, respectively total 12 times(for 20 minutes twice per week for six weeks), but no training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Three weeks after the training, the interim was carried out, and four weeks after the training, the final evaluation was carried out. Results : Subjects' attention increased to $58.15{\pm}4.96$ from $43.75{\pm}4.69$ during the Snoezelen training, and increased to $49.85{\pm}1.91$ from $43.28{\pm}2.71$ during the Rehacom training, which means the Snoezelen training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attention(P<0.05). Subjects' memory increased to $56.14{\pm}1.26$ from $43.19{\pm}3.46$ during the Snoezelen training, and increased to $50.94{\pm}4.0$ from $43.07{\pm}2.58$ during the Rehacom training. This also implies that the Snoezelen training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memory(P<0.05). Conclusion : Though both of the Snoezelen training and Rehacom training improved attention and memory, the Snoezelen program was more effective, and it also influenced stress resistance and physical arousal.

가상현실게임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눈-손 협응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Virtual Reality Games on eye-hand coordina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ed)

  • 조무신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3-69
    • /
    • 2015
  •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가상현실게임 프로그램이 눈-손 협응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발달장애아동 6명을 대상으로 그 중에 3명을 감각통합 프로그램과 가상현실게임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실험군으로 선정하였고, 나머지 3명의 아동들은 감각통합 프로그램만을 실시는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2013년 9월부터 10월까지, 총 10회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 중 하위 항목인 눈-손 협응을 사전-사후평가로 실시하여 결과로 나온 점수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가상현실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이 가상현실 프로그램 참여전보다 참여후가 눈-손 협응 능력의 평균점수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4). 감각통합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이 감각통합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참여 후가 눈-손 협응 능력의 평균점수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가상현실게임 프로그램을 이용한 훈련이 발달장애 아동의 눈-손 협응력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