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tea powder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32초

Monascus pilosus로 발효시킨 후발효 녹차가 고지방 식이 마우스의 체중과 혈청 지방함량 및 간 조직 항산화계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Dietary Effects of Post-fermented Green Tea by Monascus pilosus on the Body Weight, Serum Lipid Profiles and the Activities of Hepatic Antioxidative Enzymes in Mouse Fed a High Fat Diet)

  • 이상일;이예경;김순동;양승환;서주원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2호
    • /
    • pp.85-94
    • /
    • 2012
  • Monascus pilosus로 발효시킨 후 발효 녹차의 첨가식이가 고지방식이 ICR 마우스의 체중과 혈청 지방함량 및 간 조직 항산화계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정상대조군(NC), 고지방식이대조군(HC), 비발효녹차 분말을 2% 첨가한 고지방식이군(CHA) 및 M. pilosus로 발효시킨 후발효녹차 분말을 2% 첨가한 고지방식이군(mCHA)으로 구분하여 7주간 사육하였다. 체중은 CHA군과 mCHA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HC군에 비하여 각각 24.15 및 29.66%가 감소되었으며 식이섭취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체중 당 간 및 신장의 중량은 CHA군 및 mCHA군이 HC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체중 당 부고환주위지방의 무게는 mCHA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청 TG와 의총콜레스테롤 함량은 mCHA군에서 NC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CHA군과 mCHA군의 HDL-cholesterol 함량은 HC군에 비하여 96.55 및 119.32%가 높았다. CHA군과 mCHA군의 CHA군 및 mCHA군의 LDL-cholesterol 함량은 각각 0.67 및 0.41을 나타내었다. 간 조직의 GSH 함량은 HC군에 비하여 CHA군이 11.24%, mCHA군은 23.68%가 높았다. LPO 함량은 CHA군과 mCHA군이 HC군에 비하여 43.70 및 45.38%가 낮았다. CHA군과 mCHA군의 xanthine oxidoreductase D type 효소활성은 HC군에 비하여 각각 18.52 및 33.33%가 감소하였으며 mCHA군은 NC군 수준으로 높았다. XOD O type 효소활성은 CHA군과 mCHA군이 HC군에 비하여 각각 16.67 및 33.33%가 높았다. superoxide dismutase 활성은 CHA군과 mCHA군이 HC군에 비하여 유의차는 없었다. mCHA군의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은 HC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mCHA군의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은 HC군의 2.55배, CHA군의 1.5배로 높았으며 NC군과 대등하였다. CHA군과 mCHA군의 ALT 활성 HC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다. 간 조직의 현미경 관찰결과, CHA군과 mCHA군에서는 간 세포 내 축적된 지방의 크기가 작은 포말형으로 변화되고, 이로 인해 간 세포판과 동양혈관 형성이 간 소엽단위로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M. pilosus로 발효시킨 후발효 녹차는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발되는 비만과 고지혈증 및 지방간을 예방 혹은 경감시켜줄 수 있는 유효한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뽕잎과 녹차혼합분말의 급여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항당뇨효과 (Anti-diabetic effect of the mixture of mulberry leaf and green tea powder in rats with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 손희경;한주희;이재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49-559
    • /
    • 2014
  • 뽕잎, 녹차 및 뽕잎과 녹차혼합물이 sterptozotocin 유발 당뇨 쥐의 혈당 조절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험군은 정상군(N), 당뇨 대조군(STZ), 5% 뽕잎 분말 첨가 당뇨군(STZ-M), 5% 녹차 분말 첨가 당뇨군(STZ-G) 및 2.5% 뽕잎과 2.5% 녹차혼합분말 첨가 당뇨군(STZ-MG)으로 5군으로 나누어 4주간 실시하였다. 체중증가량은 뽕잎, 녹차 및 뽕잎과 녹차혼합물 첨가 당뇨군(STZ-M, STG-G, STZ-MG)들이 당뇨 대조군(STZ)에 비하여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다소 증가하였다. 뇨 중 포도당 함량은 뽕잎, 녹차 및 뽕잎과 녹차혼합물 첨가 당뇨군(STG-G, STZ-MG)들이 당뇨 대조군(STZ)에 비하여 감소효과를 보였다. 4주간 혈당의 변화는 뽕잎, 녹차 및 뽕잎과 녹차혼합물(STZ-M, STG-G, STZ-MG)의 급여로 혈당 수준이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뽕잎과 녹차혼합물 첨가 당뇨군(STZ-MG)이 혈당 강하효과가 가장 높았다. 시험 종료 후 혈청 포도당 함량은 뽕잎, 녹차 및 뽕잎과 녹차혼합물 첨가(STZ-M, STG-G, STZ-MG)로 당뇨 대조군(STZ)에 비하여 모두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 정상군(N)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혈청 인슐린 함량은 녹차 및 뽕잎과 녹차혼합물 첨가(STG-G, STZ-MG)로 당뇨 대조군(STZ)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혈청 fructosamine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뽕잎, 녹차 및 뽕잎과 녹차혼합물의 급여는 STZ로 유발된 당뇨 쥐의 혈당 강하효과를 확인하여, 당뇨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녹차 첨가 찐빵제조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Steamed Bread Making with Addition of Green Tea Powd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오유경;김창순;장덕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51-459
    • /
    • 2002
  • 찐빵에 녹차가루를 첨가해서 기능성 찐빵의 최적 제조공정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하였다. 찐빵제조에는 밀가루 단백질 함량이 12.5%인 강력분과 단백질 함량이 10.5%인 혼합분(50% 강력분+50% 박력분)을 사용하였다. 최적공정조건을 추적하기 위한 RSM의 반응표면모형에 녹차첨가량(X$_1$), 혼합시간(X$_2$), 발효시간(X$_3$)을 인자로 포함시켰다. 반응값은 녹차첨가 찐빵의 부피, 퍼짐율, 기계적 조직감 및 표면광택, 매끈함, 기공의 균일성을 측정치로 하였다. 그 결과 녹차첨가 찐빵제조의 최적조건은 강력분을 사용한 경우에는 녹차첨가량 1.1%, 발효시간 51분 7초, 혼합시간 12분 46초로 나타났고, 혼합분을 사용한 경우에는 녹차 첨가량 3.2%, 발효시간 39분 55초, 혼합시간 11분 8초로 나타났다. 따라서 혼합분으로 찐빵을 제조할 때 녹차가루의 첨가량을 더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았다. 관능검사에서도 강력분 녹차찐빵보다는 혼합분 녹차찐빵이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녹차의 기능성을 살린 찐빵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강력분보다는 단백질 함량이 낮은 혼합분을 사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루차 저온 저장 중 포장방법별 품질변화 (Effect of Packing Methods on Green Powder Tea Quality during storage at Cold Temperature)

  • 박장현;백창남;김영옥;최형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
    • /
    • 2005
  • 저온$(5^{\circ}C)$에서 가루차를 일반포장, 일반포장+항산화제, 일반포장+방습제처리시 4개월 이후 품질관련 성분인 총질소, 총아미노산, 탄닌, 카페인, 엽록소, 지방산 함량이 상당히 저하되었으며, 일반포장 + 진공처리는 일반포장 저장에 비해 1개월 정도 저장기간의 연장이 가능하였다. 제품의 표면색상은 저온$(5^{\circ}C)$보관시 일반포장에서는 저장 1개월에 a값(녹색)이 -16.43에서 저장 5개월에는 $42\%$정도 감소된 -10.11로 크게 감소되었다. 외관과 내질에 따른 관능평가시 저온$(5^{\circ}C)$저장의 경우 일반포장 내에서 1개월 경과시 89점이었으나 3개월 보관시 78점으로 가루차의 외관과 내질이 크게 열악해졌으며, 일반포장 + 진공의 경우 4개월 보관시 79점으로 일반포장보다 1개월 정도 더 연장보관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진공포장한 가루차를 $5^{\circ}C$에서 저장한 것이 처리구 중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당알코올과 한천을 첨가한 녹차다식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Dasik Containing Sugar Alcohol and Agar)

  • 한영숙;최원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6-154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Dasik through the addition of sugar alcohol(xylitol, mannitol, sorbitol, erythritol) and agar during the production of Dasik in order to complement the texture of Dasik. Dasik sample were prepared, and the sensory quality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were compared and the antibacterial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Dasik containing sugar alcohol against oral bacteria were also examin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isture content of green tea containing sugar alcohol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was over 30%. The water activity of the agar-added Dasik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pH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color L value was the brightest at 59.21 for FAOG, while the a value was the lowest for SG, and the b value was the highest for MG. In the texture analysis, the hardness of the control group was the highest at $5181.04\;g/cm^2$ for SSG. The cohesiveness was the highest at 0.16% for SG and the chewiness was the highest at 182.12 g for MG, while the lowest cohesiveness was determined to be 43.73 g for EG. As for the adhesiveness, the agar, sugar alcohol-added groups were overall negative (-) while SG was found to have the lowest negative value at -39.25 g.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control XYG group scored the highest in moistness, adhesiveness, chewiness, and overall acceptance. In addition, all groups except SSG exhibited antibacterial characteristics against P. bivia. In conclusion, Dasik with added agar was shown to complement the texture of Dasik due to the added sugar alcohol.

첨가농도를 달리한 천연물첨가 두부의 제조특성 (Effects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Natural Materials on the Manufacturing of Soybean Curd)

  • 최유원;정헌식;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56-261
    • /
    • 2000
  • 두부의 품질을 고급화하고 다양화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천연물을 첨가한 두부를 제조하여 기능성의 부여와 함께 기호성을 향상할 수 있는 천연물 첨가두부를 제조하였다. 천연물로는 클로로필과 카로티노이드를 가지고 있는 당근과 오이, 시금치 그리고 카테킨등에 의한 기능성이 확인된 녹차를 천연 첨가물로 선정하였다. 천연물 첨가두부의 수율은 무첨가 두부에 비하여 감소되었으나 색상에 의한 기호성의 증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천연물 첨가에 따라 두부의 조직특성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기호도 향상의 효과가 있었다. 최적 첨가 농도는 당근 4%, 오이 10%, 시금치 1.0%, 녹차는 0.05%로 결정할 수 있었다. 저장 중 총균수의 변화는 시금치와 녹차 첨가두부가 저장초기 균의 생육을 저지하여 저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녹차(綠茶)의 흡습특성(吸濕特性) (Sorption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 이주백;정신교;손태화;최종욱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4권
    • /
    • pp.50-54
    • /
    • 1986
  • 시판(市販) 녹차(綠茶)를 $20^{\circ}C$에서 상대습도(相對濕度)를 달리하여 저장하면서 흡습특성(吸濕特性)을 조사하였다. 녹차(綠茶)의 흡습속도(吸濕速度)는 저장상대습도(貯藏相對濕度)가 높을수록 컸으며 저장시간(貯藏時間)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녹차(綠茶)의 등온흡습곡록(等溫吸濕曲綠)은 전형적인 Sigmoid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상대습도(相對濕度)가 일정할 때 저장시간과 흡습속도와의 관계에서 다음과 같은 식(式)을 구할 수 있었다. $ln{\frac{dw}{dt}}=nln(t)+lnc$ B.E.T. 식(式)에 의해 구한 녹차(綠茶)의 단분자층수분함량(單分子層水分含量)은 7.01~7.87%로 나타났다. 저장시간(貯藏時間)과 흡습속도관계식(吸濕速度關係式)에서 구한 계산치 수분함량과 실측치수분함량을 비교한 결과 거의 유사한 경향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