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Algae

검색결과 600건 처리시간 0.027초

잔디 엽병을 유발하는 잠재인자로서의 남조류(Blue-Green algae)에 대한 관찰보고 (Blue-green algae as a Potential agent Causing Turf Leaf Disease)

  • 박대섭;이형석;홍범석;최병만;전재찬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1-170
    • /
    • 2008
  • 본 연구는 아직 국내에서 보고된 바 없는 조류에 의한 잔디 병 발생 가능성에 대한 연구로, 2008년 7월 경기지역 골프장내 켄터키 블루그래스가 식재된 티잉그라운드에서 흑갈색 얼룩 반점병을 일으킨 잎조직이 발견되면서 조류에 의한 잔디 병 발생 요인과 대책을 조사하였다. 1.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흑갈색 반점 염조직으로부터 다수의 남조류(blue-green algae)가 관찰되었고, 흑갈색 반점이 형성 부위의 엽몸, 엽귀, 그리고 엽집에서 남조류가 다수 발견되었으며, 이병조직 이외의 개체내 건전부위와 줄기에서도 남조류 파편이 발견되었다. 발견된 남조류는 Oscillatoria 계통이 많았다. 2. 잔디밭에서 남조류는 토양 내 뿌리나 지제부에서 관찰되는데, 이번 관찰시에는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흑갈색 얼룩반점 병반부위인 상단 엽조직에서 남조류가 관찰되었다. 또한 이병조직 주위의 건전한 부위에서도 작은 파편형태의 남조류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현재까지 식물조직 내 남조류의 이동경로에 대하여 알려진 바가 없지만 조직 내에서 남조류의 이동 가능성도 있다. 3. 흑갈색 얼룩반점이 형성된 켄터키 블루그래스 뿐만 아니라 황화현상이 발생한 벤트그래스 퍼팅그린의 잔디 잎에서도 남조류가 관찰되었으므로, 향후 초종에 따른 조류의 영향에 대한 세부연구가 수행되어져 야 할 것이다. 4. 약제처리로 조류 억제와 흑갈색 얼룩 반점 경감효과를 가져왔는데 프로피코나졸이 가장 우수하였고 이프로디온과 아족시스트로 빈 순으로 조류 억제가 관찰되었다. 6. 특히 고온 다습한 여름철에 조류 방제가 어렵고 적절한 조류억제제를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따라, 조류에 대한 일반적 관리에 머무르기보다는 더 적극적인 방제 방안 및 사전 예방 관리를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6. 끝으로 향후 조류의 잔디 조직 내 이동 및 감염 경로를 규명하고자 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Diversity of Micro-algae and Cyanobacteria on Building Facades and Monuments in India

  • Samad, Lakshmi Kumari;Adhikary, Siba Prasad
    • ALGAE
    • /
    • 제23권2호
    • /
    • pp.91-114
    • /
    • 2008
  • Fifty seven taxa of Cyanobacteria and 15 taxa of Chlorophyta were recorded from the exterior of buildings and rock surfaces of monuments in different regions in India. Four cyanobacteria, e.g. Chroococcidiopsis kashayi, Pseudophormidium indicum, Plectonema puteale and Scytonema geitleri, and the green alga Trentepholia abietina var. tenue occur on the sub-aerial habitats throughout the year. In addition, five other green algae: Chlorococcum infusionum, Scenedesmus arcuatus, Trentepholia aurea, Gloeocystis polydermatica and Printzina effusa, and 18 other cyanobacteria taxa of the genera Chroococcus (5), Asterocapsa (1), Cyanosarcina (2), Gloeocapsa (7), Gloeothece (2) and Scytonema (1) occur on the sub-aerial surfaces enduring extreme temperature and desiccation during summer months of the tropics. During the rainy season, the warm and humid climatic regime coupled with availability of moisture supported an additional ten green algae and 29 cyanobacteria in eight and 17 genera, respectively. The green algal genera Klebsormidium, Stichococcus and Trebouxia, which are dominant in temperate regions, did not occur on the sub-aerial habitats in India, however, species of Gloeocapsa, Chroococcus, Chroococcidiopsis, Phormidium, Leptolyngbya, Nostoc, Scytonema, Chlorella and Trentepholia showed global occurrence in similar habitats.

Assessment of Seasonal Algae Variability in a Reservoir

  • Lee, Ju Young;Han, Mooyoung;Kim, Tschung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23-228
    • /
    • 2014
  • We investigated seasonal algae variability and its influence on water quality in an agricultural reservoir. We observed that maximal total phosphorus (TP) loads were 1,715 kg from farmland in September, which changed the ecosystem in the reservoir. At this time, Dictyosphaerium pulchellum as green algae dominated. Aulacoseira ambigua as diatom became the most dominant from November 2010 to May 2011. The diatom was sensitive to water temperature. Microcystis spp. and Oscillatoria spp. as cyanobacteria were dominant during summer and fall, and sank down to the sediment during winter and spring.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during summer causes anaerobic conditions in the sediment, leading to regrowth of cyanobacteria. With regard to the ratio of total nitrogen (TN) to TP, green algae and cyanobacteria were dominant at TN:TP ratios less than 20-30. Diatoms were dominant at TN:TP ratios greater than 30-40. Statistical analysis indicated that diatom growth was dependent on water temperature and TN concentration. TP concentration and water temperature were the key factors for the growth of cyanobacteria and green algae. From thes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nagement of land-use was an important parameter for improving water quality in the agricultural reservoir.

New records of coccoid green algae in Korea

  • Kim, Yong Jae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42-50
    • /
    • 2017
  • Coccoid green algae collected from March to November 2015 from 79 freshwater ecosystem sites throughout South Korea, including lakes, ponds, swamps, streams, and rivers, were identified using light microscopy. A total of 218 taxa were identified, among which 11 were new species records in Korea; these 11 species were found at four sites (Hanagang River, Chukdong reservoir, Chukdong fishery, and Deokjin reservoir). The new species recorded were Fotterella tetrachlorelloides, Trochiscia naumannii, Keriochlamys styriaca, Placosphaera opaca, Siderocystopsis fusca, Siderocelis oblonga, Siderocelis estheriana, Pachycladella umbrina, Pachycladella zatoriensis, Crucigenia mucronata and Scenedesmus sempervirens.

유기농업 생태계로부터 담수 녹조류 분리 및 형태적 동정 (Isolation and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Fresh Water Green Algae from Organic Farming Habitats in Korea)

  • 김민정;심창기;김용기;홍성준;박종호;한은정;지형진;윤종철;김석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43-760
    • /
    • 2014
  • 본 연구는 유기농업에서 생물자원으로서 담수 클로렐라의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유기농 생태계로부터 담수 녹조류를 분리, 동정하고, 생물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지역의 수온은 $12.4{\sim}28.2^{\circ}C$, pH는 6.1~8.5이었다. 담수 녹조류를 분리할 때 고체배양법이 액체배양법보다 오염도가 낮고 분리 빈도가 높았다. 전국 9개 지역, 6개 담수 녹조류 서식처로 부터 총 115개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담수 녹조류의 분리 및 배양을 위해 질소원으로는 $NaNO_3$$KNO_3$, 탄소원으로 $Na_2CO_3$를 사용하였고, macro media의 구성 성분 중 $MgSO_4{\cdot}7H_2O$$CaCl_2{\cdot}2H_2O$를 분리하여 제조한 BGMM(BG11 Modified Medium)배지를 고안하였다. 담수녹조류는 배양 후 4일째부터 급격히 흡광도가 증가하였고 8일째부터 흡광도가 감소하였다. 공시한 7개의 균주 중 CHK008 균주가 배양 7일째에 가장 높은 흡광도를 보였다. 담수 녹조류 배양에 적합한 BGMM 배지의 pH는 6~7이었고 조사되는 빛이 강할수록 생육이 증가하였으며 5종류 당류 중에서 Glucose와 Galactose를 첨가하였을 때 클로랄라의 생육이 좋았다. 순수 분리한 16개 녹조류 균주의 균총색은 녹색, 진녹색, 연녹색을 나타내었고, 11개의 균주가 형광현미경하에서 강한 형광 빛을 나타내었다. 녹조류 16개 균주의 형태적인 특징을 조사한 결과 C. vulgalis, C. sorokiniana, C. pyrenoidosa, C. kessleri, C. emersonii, and Chlamydomonas sp.의 2개 속 6개종으로 동정되었다. 담수 녹조류의 세포 크기는 종마다 다양한 변이를 보였다. 대부분의 담수 녹조류의 세포형태는 구형이었다. Chlamydomonas sp.는 타원형이었고 Chlorella sorokiniana는 구형과 타원형이 섞여 있었다. 6개 녹조류 종류 중 Chlamydomonas sp.를 제외한 모든 균주는 편모가 없었다. Chlamydomonas sp. 1개 균주와 C. sorokiniana 5개 균주는 세포에서 점질물을 분비하였다.

수산물의 지질에 관한 연구 (제2보) -해조류 지질의 지방산조성에 대하여- (STUDIES ON THE LIPID OF AQUATIC PRODUCTS (PART 2))

  • 하봉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99-204
    • /
    • 1977
  • 8종의 식용해조류 지질의 지방산을 GLC로 분석하고 해조류 종속간에 어떤 특징이 있나,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해조류의 지질함량은 녹조류 $1.51\%$, 갈변류 $2.81\%$, 강조류 $1.02\%$로서 갈조류의 지질함량이 가장 높았다. 2) 지방산조성의 해조류 종속간의 함량 차이을 보면, 녹조류는 $C_{16:0}$산의 함량이 가장 높은 치를 나타내며, 동시에 $C_{18:1},\;C_{18:2},\;C_{18:3}$산의 함량도 높았다. 갈조류는 $C_{16:0}$$C_{18:1},\;C_{18:2},\;C_{18:3}$산의 함량이 비교적 높은 반면, $C_{18:0}$산은 다른 해조류에 비해 아주 낮은 함량치를 나타내고 있다. 홍조류는 $C_{16:0}$산의 함량이 높은 반면, $C_{14:0},\;C_{18:1},\;C_{18:2}$산의 함량이 매우 낮았다. 3) 조성지방산의 탄소수 $C_{14},\;C_{15},\;C_{16:},\;C_{18},\;C_{22}$의 분포를 보면, 녹조류는 $C_{16},\;C_{18}$산을, 녹조류는 $C_{16},\;C_{18},\;C_{22}$산을 각각 주요성분으로 하고 있다.

  • PDF

사람피부섬유아세포 및 섬유아육종세포로부터 유래된 기질금속단백질효소에 대한 해조류의 효능 (Effects of Seaweeds on Matrix Metalloproteinases Derived from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Human Fibrosarcoma Cells)

  • 박인환;이상훈;김세권;;전유진;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501-1510
    • /
    • 2011
  • 최근에 해양자원에 있는 동물, 해조류 곰팡이 세균에서 신규 잠재적인 후보약효제가 조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제를 탐색하기 위하여 암전이, 관절염, 만성염증 및 주름형성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s) (MMPs)를 목적효소로 이용하였다. 5종의 녹조류, 18종의 홍조류, 4종의 갈조류를 포함한 다양한 해조류가 사람피부섬유아세포 및 섬유아육종세포로부터 유래된 기질금속단백질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gelatin zymography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사람피부섬유아세포에서는 홍조류중에서 Laurencia okamurae, Polysiphonia japonica, Grateloupia lanceolate 및 Sinkoraena lancifolia에서 MMP-2 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 반면에 녹조류의 Enteromorpha compressa와 Enteromorpha linza, 갈조류의 Peltaronia bighamiae and Sargassum thunbergii에서는 MMP-2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사람섬유아육종세포에서는 MMP-9 활성화가 갈조류인 Sargassum thunbergii, 홍조류의 Polysiphonia japonica, 녹조류의 Enteromorpha compressa와 Enteromorpha linza의 존재 하에서는 감소되었다. 본 연구에서 흥미로운 발견은 녹조류의 E. compressa와 E. linza 및 갈조류의 S. thunbergii는 정상세포에서는 MMP-2에 대하여 활성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암세포에서는 MMP-9응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녹조류의 E. compressa와 E. linza 및 갈조류의 S. thunbergii는 항암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Rapid Removal of Green Algae by the Magnetic Method

  • Lee, Huk-Hee;Suh, Hyung-Sock;Chang, Tae-Su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151-156
    • /
    • 2012
  • This research described the magnetic method for the rapid removal of green algae in water. We modified the pH, cation concentration, and magnetic powder concentration to discover the best removal performance. In order to rapidly remove green algae from water, we added magnetic powder and chitosan into algae water to make a magnetic substance and this was extracted by a strong neodymium magnet. The optimized conditions were pH of 6.5-7.5, chitosan concentration of 10 mg/L, and magnetite powder concentration of less than 0.05%. A higher removing rate was observed when a higher amount of magnetite or chitosan was used, but the total amounts of phosphorus or nitrogen were not decreased.

New records of three endophytic green algae from Grateloupia spp. (Rhodophyta) in Korea

  • Kim, Chansong;Kim, Young Sik;Choi, Han Gil;Nam, Ki Wan
    • ALGAE
    • /
    • 제29권2호
    • /
    • pp.127-136
    • /
    • 2014
  • Endophytic green algae growing in fronds of Grateloupia spp. were examined for infection frequency from their field populations of Jeju, Wando, and Uljin, Korea in August and September 2013. Three endophytes were isolated in laboratory culture from a G. lanceolata thallus collected in Jeju. Unialgal cultures were made from the endophytes, an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with light microscopy. In addition, a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chloroplast-encoded elongation factor tufA gene sequence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G. lanceolata endophytes. Three filamentous green endophytic species, Ulvella leptochaete, Blastophysa rhizopus, and Bolbocoleon piliferum we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General biological information for the three endophytes was also described.

Antibacterial compounds in green microalgae from extreme environments: a review

  • Little, Shannon M.;Senhorinho, Gerusa N.A.;Saleh, Mazen;Basiliko, Nathan;Scott, John A.
    • ALGAE
    • /
    • 제36권1호
    • /
    • pp.61-72
    • /
    • 2021
  • Increased proliferation of bacterial resistance to antibiotics is a critical issue that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novel antibacterial compounds. Antibacterial activities have been evaluated in extracts from photosynthetic green microalgae, with varying levels of subsequent potential for development based on the strain of algae, strain of bacterial pathogen, and solvent used to extract the metabolites. Green microalgae from extreme environmental conditions have had to adapt to conditions that exclude many other organisms. The production of antibacterial compounds aids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survival of green microalgae in these extreme environments, as well as potentially serve other roles. This review investigates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reen microalgae from both extreme in-situ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induced extreme laboratory conditions and highli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