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at Walk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7초

뉴질랜드 그레이트 워크스의 탐방로 훼손 - 통가리로 알파인 크로싱, 루트번 및 케플러 트랙을 사례로 - (Deterioration of Hiking Trails at Great Walksin New Zealand - Case Study on Tongariro Alpine Crossing, Routeburn, and Kepler Tracks -)

  • 김태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03-115
    • /
    • 2017
  • This paper shows the types of deteriorated hiking trails and degrading factors at three Great Walks such as Tongariro Alpine Crossing, Routeburn Track and Kepler Track in New Zealand. The deteriorated trails could be classified into gullying, widening, narrowing, branching and sidewall erosion. Department of Conservation carefully manages overland flows on trails for preventing surface erosion, thus the Great Walks show only a minor problem of gully on trails which is usually active in a mountainous area. Widening and branching of trails caused by tread erosion are not also developed due to the restriction of visitors as well as the management of rainwash. However, despite the detailed maintenance and prevention of an overuse of trails, some trails traversing steep slopes in a alpine zone under a periglacial environment are severely degraded along their sidewalls. It suggests that a unvegetated sidewall of trails has to be strictly managed in an early stage of occurrence and a slope-traversing section should be selected with more consideration when establishing a route of hiking trails.

건축물 바닥재의 마모에 따른 미끄럼성능 변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Slipperiness of Building Floor-coverings by Friction Wear)

  • 신윤호;최수경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3-6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sents useful data on the choice or development of floor covering from slip viewpoint by examining closely the impact of the changes in sliding experiments due to the wear of floor covering by walk. The result of wear practical test per ten thousand walks enforces some kind of popular floor covering and measure of coefficient of slip resistance as follows: (1) When surface of floor covering is in the state of wet, the degree of wear doesn't affect greatly in slip. (2) When surface of floor covering is in dry and clean state, most floor coverings have the tendency to lower the coefficient of slip resistance with the amount of walk on it. (3) Change in the tendency of slip resistance by wear appeared mainly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state of floor covering and organic floor covering appeared to have great reduction of coefficient of slip resistance than the inorganic ones. (4)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n changes in tendency of coefficient of slip resistance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walk and if two hundred thousand walks were done, regardless of surface shape or kind of site, etc, the safety of floor covering, in slip viewpoint, greatly reduces.

기능성 신발 쿨핀(Coolfin) 착용이 발등 및 엄지발가락 혈액순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unctional Shoes (Coolfin) on Top of Foot and Great Toe Blood Circulation)

  • 김윤진;이동렬;상희선;이미남;박지원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6권4호
    • /
    • pp.220-225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 short walk putting on Coolfin shoes on the foot temperature rise and blood circulation. Methods: Twenty healthy adults participated in experiments in this study. All subjects walked respectively barefoot and putting on Coolfin shoes. Infrared imaging cameras were used to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on the foot temperature.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emperatures of the great toe and top of the foot after 20-minute walks with bare feet and in Coolfin shoes. Both the temperatures of the great toe and top of the foot decreased after a 20-minute walk in the barefoot condi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p<0.05). Both the temperatures of the great toe and top of the foot increased after a 20-minute walk in the condition of putting on Coolfin shoe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p<0.05). Conclusion: A short walk putting on Coolfin products induces the movement of the toes to increase the blood flow and accordingly, has a direct impact on the increase of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eet, so they are effective products for helping blood circulation in the feet.

3D프린터와 아두이노를 활용한 교육용 휴머노이드 로봇 (Educational humanoid robot using 3D printer and Arduino)

  • 김석훈;김남호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11호
    • /
    • pp.9-16
    • /
    • 2022
  • 로봇의 유형중 양발로 보행하는 로봇은 만들기가 쉽지 않다. 이를 위해서는 정밀한 서보모터 설정과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제작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과정은 초보자에게는 매우 어렵고 로봇에 적합한 아두이노 쉴드 모양이 없기 때문에 만들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rduino 및 plug-in type shield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모션제어를 단순화할 수 있는 PC제어 프로그램 개발과 로봇을 제작하고, 서보모터 값을 설정하여 모션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과정을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로봇 제작에 관심을 갖고 있는 초보 개발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모유지의 예서 해석 및 참고 의의 (Analysis and Reference Significance of Mo Youzhi's Letter)

  • 장국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67-71
    • /
    • 2024
  • 莫友芝(모유지)(1811-1871)는 청나라 말기의 저명한 학자, 시인, 서예가이다. 모유지는 일생 동안 경력이 풍부하고 시야가 넓으며 특히 증국 번 막부에 들어간 10년 동안 많은 정치, 문화 엘리트를 사귀었다. 모유지는 총명하고 부지런하며 학문에 열중했으며 당시 각계각층의 유명인들과 교유할 수 있는 기회가 있어 재능을 충분히 발휘했다. 청대에는 금석학이 전례 없이 번영했고, 서예에서는 비학(碑學)이 서단의 절대적인 주도가 되었으며, 전예서는 진한(汉漢) 이후 처음으로 크게 번영하였다. 시대에 순응한 모유지는 학문에 몰두하고 한묵을 돌보며 자신만의 서예의 길을 걷는것이 사실이다. 그의 글씨 중 전서, 예서, 해서, 행, 특히 전서 예서가 정교하다. 본 고는 예서를 바탕으로 전형적인 풍격과 비정형 형태을 각각 설명하고 예서와 다른 서체 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당대 예서 창작에 대한 예서의 참고 의의를 간략하게 요약하였다. 논술 과정에서 서예를 근거로 관련 문헌을 탐독하고 모유지의 인생 경험을 결합하여 객관적이게 진술하였다.

일제하 한국인의 식품 섭취 및 생활 계층별로 본 영양소 섭취량에 관한 연구 (An Examination of Food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Koreans by Walks of Lif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Ruling)

  • 김성미;이성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82
    • /
    • 1989
  • While ruling Chosun, with a view to making Chosun the primary supplier of food, Japan made the peasantry of Chosun go to ruin by leaving land from them through land enterprises, and the projects of increasing rice production. At the same time, Japan formed the higher classes comprising pro-Japanese capitalists, landlords and intellectuals, and protected them in order to carry out her colonial policies. Naturally there came into being a great gulf between the minority of high society and the majority of the poor in Chosun. As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food life between the two, I'm going to examine the literature of those days to grasp exactly the condition of their food intake. As for the staple food, out of thirteen provinces in Chosun, 13% lived on only rice and 27% on other minor cereals with no rice. As for the subsidiary food, about thirty percents did not take any animal protein. The examination of intake of nutrition by classes shows that the higher and middle classes took the necessary amount of calorie and protein and that the component ratio of calorie was comparatively properly distributed. The lower classes are defined as those whose monthly income was less than 100 won and the peasantry in general. And again the peasantry are classified into three-high, middle and low-according to their farming conditions. The tenant farmers in Kyeongguido and the peasants of Darli community took enough amount of calorie and protein, but much smaller amount of animal protein. Fire-field farmers led not less miserable food intake than the extremely poor peasants. They seldom lived on rice. Potatoes, oats and millets were their staple food. Lastly, Engel's coefficient for the Tomack-min (the residents in mud huts) who were among the three extremely poor classes, was 73.3%, which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lower classes in then Japan. Rationed rice and barley were their staple food but the rationed amount was not sufficient to satisfy needs of physical labor. In conclusio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ruling of Chosun, the minority of higher and middle classes in Chosun generally took sufficient amount of nutrient, while the status of food intake with poor peasants, fire-field farmers and Tomack-min was extremely miserable.

  • PDF

장애인복지관 프로그램 운영자의 옥상녹화 구성요소 선호도 (A Study on the Preference for Green Roof Operators of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 윤지영;강은지;강현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54-462
    • /
    • 2012
  •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장애인들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복지관 운영자를 대상으로 옥상녹화지의 공간, 시설 및 식재식물,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대상지는 세 지역으로 전원형태의 복지관인 남양주 장애인복지관, 도심형의 서울 장애인복지관, 전원과 도심의 중간형태를 띠고 있는 시흥 장애인복지관을 선정하여 대상지별 특성에 따른 선호도 차이에 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 지역 모두 50%이상이 복지관내 옥상녹화지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며 이용목적으로는 산책과 대화의 장소로서 옥상을 활용하고 있었다. 시설물 선호도는 세 지역에서 벤치, 파고라, 휴지통 등 휴게시설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식재식물은 허브식물, 관상수 등 관상가치가 높은 식물을 선호하고 있었다. 공간선호도의 경우 텃밭, 체험실습장, 생태습지 등 원예프로그램을 할 수 있는 자연체험공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복지관 옥상녹화지는 휴식공간과 함께 장애인들의 자연학습공간으로서 충분히 활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선호 프로그램의 경우 자연체험프로그램(28.9%)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원예프로그램(27.0%) 순으로 나타나 옥상에서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장애인복지관 옥상녹화지를 단순 휴게의 공간 뿐 아니라 장애인들의 자연체험, 원예치료공간으로서 치유기능을 부각시킬 수 있는 녹화구성요소의 차별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건설 자동화 서비스로 인한 노동시장의 변화와 대응전략 -목적, 시사점, 전략을 중심으로- (Changes in the Labor Market and Response Strategies of Construction Automation Services -Focused on purpose, implication, and strategy-)

  • 이재명;이용기
    • 서비스연구
    • /
    • 제12권3호
    • /
    • pp.158-175
    • /
    • 2022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기술 진보로 대량 실업과 고용불안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특히 건설 자동화 서비스 방식은 빠른 발전과 기술간 융합에 따라 작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현장 안전사고 방지, 건설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노동자들의 자리는 감소할 것이며 소득분배도 악화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이에 본 연구는 노동 시장의 불안감을 완화시키고 정부 및 사회 각계각층이 고민하여 방향성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현재 건설 분야에 종사 중인 2명의 전문가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의미 도출과 현 경향을 파악하고 필요한 개선방안과 제도적 영역에 관해 규명하고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목적, 시사점, 전략적 총 3개의 주제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산업현장의 대응, 노동자 대응, 교육훈련 대응, 정부와 기업의 대응으로 총 4개의 분야별로 대응 전략을 제언할 수가 있다. 산업 현장의 대응은 수평적이고 유연화된 조직 문화로 전환 되어야 하고 기존 노동자의 교육과 신규 인재양성이 필요하다. 노동자 대응은 융합능력과 깊은 전문성을 길러야 하며 교육훈련 대응은 직업교육과 훈련에 초점을 맞춘 재교육 시스템 도입을 갖추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와 기업의 대응은 건설 기술 서비스 창업 및 창직 활성화를 지원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건설 자동화 서비스의 기술혁신에 따른 사회 전반의 생산성 향상과 효율성이 노동 시장에서 실업률 상승과 일자리 감소 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로 이어지지 않도록 향후 경제 및 사회학적으로 논의를 활성화할 필요성이 있다.

조선시대 궁궐 후원 농경지(農耕地) 조영의 특성 (Studies on the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Rear Garden Farmland at Joseon Palace)

  • 정우진;심우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2-77
    • /
    • 2012
  • 본 연구는 조선시대 궁궐 내에 조성된 농경지 조영의 양상과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 유교적 농본 중심의 시대상이 궁궐 안에서 특수한 권농의 공간으로 반영되었음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대상지는 경복궁 후원, 창경궁 후원과 경복궁 신무문 밖 후원이 되며,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궁궐 후원 농경지는 "농사직설"의 편찬, 친경례와 기곡제의 설행으로 대변되는 조선 통치집단의 권농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임금이 자신의 거주지인 궁궐 안에 한 해 농사의 풍흉을 가늠할 포지를 조성한 것이며, 국초부터 일제 강점기 직전까지 각 궁궐에서 운영되었다. 조선시대 후원 농경지 4개소에 대한 분석 결과로는 첫째, 세종 때 조성된 경복궁 후원 농경지는 현 향원지 내부에 존재하고 있었으며, 선진농법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포지로 조성되었다. 성종이 조영한 창경궁 후원 농경지는 조선 최초의 친경례 직후에 조성되어 적전친경의 맥락으로 이해해 볼 수 있다. 인조는 경덕궁이 임시로 거처했던 시어소임에도 불구하고, 체류의 기간이 장기화되자 정전의 뜰을 파고 농포로 조성하였는데, 조선시대 정치사에서 후원 농경지의 비중이 매우 높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고종이 조성한 경농재 일곽의 농포는 선대의 권농행보를 계승하면서 창경궁 후원 농경지의 공간 구성을 그대로 가져온 특성을 보이고 있다. 둘째, 관수와 수체계, 관경대의 명칭, 입지에 있어서 일정한 공통점이 도출되었는데, 이는 조선시대 농본공간의 보편적 형식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후원 농경지 외에 궁궐 내에서 내관들에 의해 관리되던 채전과 국가의 큰 제사에 쓰일 과일을 위한 궁궐 내 과수원의 운영 양상을 고찰하여 조선시대 궁궐 조경이 엄숙함, 질서정연함이나 장식성에만 치중되지 않고,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실용적 생산적 조경공간으로 존재하고 있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궁궐에서 왕실의 주도로 생산적 조경의 다양한 활동이 전개되고 있었고, 임금이 솔선수범하여 선진농법을 시험하였다는 점은 우리의 고유한 궁궐조경의 일면이 되며, 조선의 독자적인 궁궐문화로서 그리고 여타의 유교 국가에는 없었던 유일한 애민농본의 조경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대구수목원 이용객 만족모델을 통한 운영 방안 연구 (A Study on Operation Strategy by Multi-variate Regression of Deagu Arboretum Visitor's Satisfaction)

  • 강기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1호
    • /
    • pp.36-45
    • /
    • 2012
  • 현대인들에게 수목원이 제공하는 환경과 식물에 대한 교육은 단순히 도시 속에서 자연환경을 조성하고 방문객들에게 휴양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대구수목원 방문객들의 이용만족도에 대한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목원에서 제공해야 할 시설과 프로그램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 그에 따른 의견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변수의 크기를 관찰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에서 만족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의 순위는 산책로의 동선흐름, 환경에 대한 교육효과, 시설의 청결성, 입장료나 방문시의 비용, 자연경관, 수목종류의 다양성, 수목원의 접근성, 직원의 친절, 수목원 내의 편의시설의 확충과 보완으로 나타났다. 이용객의 성향은 인근의 거주자가 연간 5회 이상 이용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용객들이 요구하는 대구수목원의 시설과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질문에서 문화행사와 이벤트, 아름다운 경관조성, 휴게 및 편의시설의 확충을 가장 시급한 과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죽은 수목과 나지에 대한 관리도 시급히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상과 같이 이용객의 만족도와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한 대구수목원의 운영관리전략은 지역민과 함께하는 이벤트와 축제, 옴부즈맨제도 도입, 관내 학생들과 교사들에 대한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치된 나지와 죽은 수목의 교체, 매점 시설의 개선과 보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고 다른 수목원의 프로그램과 타 시설을 예시로 들어 운영전략을 제안 하였다. 이러한 사항은 대구수목원에서 외부의 자원을 투입하지 않고도 충분히 개발할 수 있는 운영관리의 내용이라고 생각된다. 이용객의 만족감은 사소한 것에서부터 시작되며 작은 차이가 큰 만족감을 결정하기 때문에 하드웨어적인 부분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