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overnment officials

검색결과 487건 처리시간 0.201초

여론 주도 집단의 환경보건 위해물질에 대한 인식도와 그 관리 정책에 관한 연구 -유전자재조합식품과 내분비계 장애물질을 중심으로 (Perceptions of Opinion Leaders on Environmental Health Hazards and their Management Policies in Korea -Focusing on the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Endocrine Disruptors)

  • 안종주;백남원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31-443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he opinion leaders, such as government officials, researchers, NGO workers, and journalists on the risks of endocrine disrupters (EDs) and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s) as well as the related policies on these two hazards or potential hazards. The opinion leaders generally considered the EDs as the most serious hazard among twenty-one environmental health hazards in Korea, and agreed that the EDs would continuously be the most serious hazard. On overall average, the GMOs were ranked the 11th among the twenty-one health hazards. Further investigation indicated that the GMOs were variously ranked by the group of respondents: they were ranked the 2nd by the NGO workers, the 7th by the journalists, the 9th by the researchers and the 11th by the government officials. In general, the respondents considered the dioxin as a hazard with the highest risk while the GMOs were considered less hazardous. The opinion leaders considered that although the risks of the GMOs and EDs were not fully verified, the risks should be controlled through the legislation. The EDs and GMOs should be separately regulated for the time being, while the EDs should put under more strengthened regulation. It is recommended that a web-site containing the information on the EDs and the GMOs be prepared for the journalists. In addition, a training program in relation to the EDs and the GMOs needs to be organized by the Korean Press Foundation and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o educate the journalists. A committee consisting of government officials, scientists, and NGO workers needs to be established, and it should provide framework of future policies and public relations programs.

15세기 궁궐 정전(正殿) 영역의 내부공간 이용방식에 관한 연구 -문헌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age of the Interior Space of Jeongjeon Zone at the Royal Palace in the 15th Century -Focused on the study of the literature-)

  • 이정국
    • 건축역사연구
    • /
    • 제13권3호
    • /
    • pp.7-19
    • /
    • 2004
  •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interior space of the Royal Palace in the 15th Century, the early years of Joseon Dynast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center of the Royal Palace, that is Jeongjeon(正殿, the royal audience chamber) and Haengrang(行廊, which encloses Jeongjeon on four sides and has many rooms).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usage of the interior space because the architectural space consists of the space unified by the organic function of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space.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interior space of Jeongjeon and Haengrang at the Royal Pala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terior space of those building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 Haengrang has several uses such as a night duty room, a storehouse, a government office or a banquet hall etc. So the interior spaces were finished with various methods that were suitable for the use of each room, and the material of the floor were the ground, Maru(the wooden floor) or Ondol(the Korean traditional heating system) There were held many kinds of ceremonies in Jeongjeon, and the government officials could not enter the inside of that building and took part in the ceremony on the front court of Jeongjeon, except the men performing the ceremony. But the high ranking officials could enter the inside when King gave a banquet and there, they prostrated themselves before King. They sat down with their legs crossed on the ground floor instead of sitting on a chair. When King held tea ceremony with Chinese envoys in Jeongjeon, they sat on Gyoui(交倚, a kind of armchair). Then, the government officials performing the ceremony in Jeongjeon prostrated himself around the King and the Chinese envoys and others stood around them.

  • PDF

국내 전자정부 담당자의 시각에서 본 전자정부 구현의 주요 성공요소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the Implementation of e-Government: From the e-Government Officials' Perspective)

  • 정승렬;김경섭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7권1호
    • /
    • pp.241-256
    • /
    • 2005
  • 본 연구는 전자정부가 성공적이기 위해 고려되고 관리되어야 할 영역이나 요인들, 즉 전자정부 구현의 주요 성공요소를 파악하고 이들 요소가 우리나라 전자정부의 구현 과정에서 얼마나 강조되고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는 지를 살펴본다. 또한 이들 성공요소가 전자정부 성과와 실제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의 전자정부를 성공적으로 전개시킬 수 있는 체계적 방안을 제시한다.

공무원 사이버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탐색연구 - 지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Cyber Education of Government Officials - Focusing on Local officials -)

  • 김하균;박명주;장창진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3권1호
    • /
    • pp.21-38
    • /
    • 2004
  • Along with the adv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introduction of the information era, cyber education through the internet has been activated in universities and private educational organization. However, most cyber education is not being practically applied in government employ. This study looks at the influential factors of cyber education in order to create a cyberspace where the public official can obtain information at a place and time convenient to them. This will provide a chance to activate cyber education effectively. The hypothesis was approv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xecuted in order to explain and predict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tial factors and cyber education eff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e influential factors of education effect as follows: - the instruction design and contents factors such as interesting educational contents, interaction between leamers and teacher, and positive instruction, all had an important influence. - the learner factors, such as a desire to leam, motivation, and interest in the lesson, also had a significant influence. -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ystematical basis and support, atmosphere, and consideration of others had a large effect on the education effect.

  • PDF

한국 재난관리체계에 대한 담당공무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Research about Recognition of Government Officials Regarding Korean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Charge)

  • 이정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10-25
    • /
    • 2010
  • 현대사회에서 재난의 잠재력이 커질수록 재난을 대비하고 대응하는 국가의 체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강화하기 위하여 재난관리담당부서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받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관리 기관 간 협력관계, 둘째, 재난관련법 제정 및 재난전담부서의 필요성 셋째, 재난관리 상황적 변수에 대한 인식으로 재난관리 상황요인에 대한 전반적 인식, 재난유형에 대한 전반적 인식, 재난규모에 따른 발생가능성에 대한 인식, 넷째, 재난관리의 구조적 변수에 대한 인식으로 재난관리에 대한 소방방재청, 유관기관, 지방자치단체의 인식 차이, 예방-대비-대응-복구단계의 혼선에 대한 인식에 대한 연구이다.

창덕궁 후원 부용정(芙蓉亭)의 조영사적 특성 (Historical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Buyongjeong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 Palace)

  • 송석호;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0-52
    • /
    • 2016
  • 창덕궁 후원의 부용정(芙蓉亭)은 독특한 평면형태, 공간구성, 건물의 장식 등이 뛰어난 비례와 대비를 이루고 있는 점을 인정받아 2012년 3월 2일에 보물 제1763호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지정사유가 형이하학적으로 평가되었고, 그마저도 왜 지금과 같이 독특한 형태로 조영되었는지 명확하게 규명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자연철학 및 사상에 관한 형이상학적 접근을 시도하였고, 조영의도와 공간구조의 특징을 규명하여 부용정의 정체성을 찾는데 주력하였다. 요약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부용정의 조영배경 및 특징: 정조는 즉위와 함께 창덕궁 후원에 규장각(奎章閣)을 창설하고 개혁정치의 일환으로 초계문신(抄啓文臣)을 양성하였다. 또한 각신(閣臣)들을 가인(家人)처럼 우대해주며 친정체계를 구축하였다. 정조의 적극적인 개혁정치는 신하들에게 후원을 구경시켜주기는 계기가 되었으며, 정조 16년(1792)에 각신을 중심으로 한 내각상조회(內閣賞釣會)를 공식적으로 발족하고 후원유람을 정례화하게 되었다. 후원유람은 꽃을 보고 낚시를 하는 상화조어연(賞花釣魚宴), 난정수계의 활동 등으로 이루어졌고, 이후 국가의 대신들이 참석하게 되면서 큰 행사로 발전하게 되었다. 정조는 대신, 중신, 각신들과 이러한 문화 활동을 함께하고 나아가 자신의 왕도정치를 실현할 장소로써 부용정을 조영한 것이었다. 둘째, 부용정의 입지와 공간적 특성: 정조는 즉위(1776)와 함께 택수재를 새롭게 개축하였다. 무엇보다 개유와-택수재-원도-어수문-규장각을 축선에 맞춰 연계한 점은 자신의 정치적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현재의 규장각 일원을 계획-설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조 17년(1793)에는 기존의 사우정(四隅亭) 형태였던 택수재를 군신(君臣)이 함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위계를 두어 증축하고 부용정이라 칭하였다. 지당 위에 위치한 부용정의 북쪽공간은 임금의 공간으로 다른 곳보다 한 단 높게 조성하였고 창호도아자살로 차별화한 특징을 보인다. 서쪽과 동쪽은 신하들의 공간이다. 중앙공간은 양측의 신하들이 북쪽공간에 입어한 임금을 배알하기 위해 마련된 공간이며, 서쪽과 동쪽의 신하들은 부용정의 귀퉁이 공간을 돌아 남쪽공간에서 중앙공간으로 입실하게 되는 구조로 조영되었다. 결국 부용정은 최소한의 공간으로 편전(便殿)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정원건축물인 것이다. 셋째, 부용정의 문화적 가치: 부용정 일원은 세조, 인조, 현종, 숙종, 정조 등 왕들의 사유적인 정원문화가 복합적으로 존재하며 꾸준히 발전된 특징을 보인다. 특히 정조는 선왕들이 조성해놓은 다양한 물리적, 사회적, 상상적 환경 등을 계승하였고 더불어 자신의 왕도정치를 위해 신하들을 후원에 불러들였으며 그 중추적 장소로 부용정을 완성한 것이다. 곧 부용정은 조선왕조의 영속성이 반영된 정원건축물로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할 수 있으며, 공간적으로도 유교사상이 정자에 반영되어 위계가 구분된 독특한 사례로써 왕의 정원에서만 나타나는 특수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백제 공복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ystem of Official Costume of Baekche)

  • 서미영
    • 복식
    • /
    • 제56권8호
    • /
    • pp.60-73
    • /
    • 2006
  • This study analyzes the Baekche official costume system, including the dress, cap and belt systems, by relating documentary records with the results of excavations. The study shows that the system differed depending on the time. A system of dress based on official ranks was instituted during the region of King Goi in the third century. The rap amd belt systems were begun in the first half of sixth century The official costume system, as recorded in the Chinese history $Sus{\u{o}}$, included many subdivisions of cap colors, which followed belt colors. According to $Gudangs{\u{o}}$, dress and cap systems changed in the seventh century. The official costume consisted of a $jacket(j{\u{o}}gori)$, trousers(baji), and coat(po). The coat had wide sleeves and reached below knees. Its collar had straight neckline. Officials of all rank wore silk caps and belts of matching colors. Officials above sixth rank used silver flower decorations on their caps. Officials wore wide-crouch trousers and generally adjusted the hems of the trousers, but this practice stopped in the sixth century. Officials wore shoes or boots depending on occasion. From a historical viewpoint, Baekche is important for having been the first Korean kingdom to establish a government organization. The salient feature of the system of organization established in A.D. 260(the twenty-seventh year of the region of King Goi) was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colors to identify different ranks.

공무원 인플루언서의 특성, 라이브커머스의 방송 특성이 지역 농산물의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인터넷 라이브커머스 방송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luencer of Public Officials and Internet Live Broadcasting in China on Local Agricultural Products' Brand Image, 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 마가상;이은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4호
    • /
    • pp.645-665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luencer of public officia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live broadcasting in China on the brand imag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Chinese consumers who had purchased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fter watching live broadcasts on the internet by influencers of government officials. A total of 31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8.0. The ke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luencer of public officials, reliability, attractiveness, and expertis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imag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Secon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live broadcasting, interaction and inform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imag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but entertainment did not. Third, the brand imag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local agricultural brand image was evident in the reliability, attractiveness, and expertise characteristics of the influencer of public officials and 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local agricultural brand image was evident in the interaction and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f internet live broadcasting and 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공무원연금의 지급정지제도가 가입자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및 지급정지제도의 발전방향 모색 (Effect of the Civil Servant's Suspension of Pension Payments on the Labor Supply and Suggestions on Developmental Alternatives of Suspension of Pension Payments)

  • 지은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2호
    • /
    • pp.375-403
    • /
    • 2005
  • 본 연구는 퇴직소득심사제도가 고령자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실증분석결과를 미국중심으로 고찰하고, 2005년 1월 기준 퇴직연금 혹은 장해연금을 수급하고 있는 178,363명의 공무원에 대한 공무원연금관리공단의 원자료를 통해 공무원연금의 지급정지제도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취업한 공무원은 총 8,086명으로 전체 분석대상의 4.5%였으며, 지급정지된 공무원의 중위생존기간은 3.3년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액정지자의 중위재취업기간은 반액 정지자에 비해 20개월 가량 짧고, 실제 회귀분석에서도 100% 지급정지자는 50% 지급정지자에 비해 재퇴직발생확률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행 제도는 유급소득활동만으로도 지급정지하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재취업노력조차 하지 않거나, 일시금수급을 선택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이를 분석에 포함한다면 그 영향은 더 클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연금 지급정지제도의 발전적 방향으로서, 지급정지제도를 연령과 소득에 따라 차등적용하되, 지연연금제도와 병행하거나 부분연금제도의 도입을 제안한다. 또한 효과적인 정책마련을 위해서는 심도 있는 실증분석이 뒷받침되어야 하므로 소득, 고용형태 등을 포함한 재취업특성에 대한 자료구축이 시급하며, 공무원연금관리공단의 관리체계 또한 강화해야 한다.

  • PDF

3D GIS 구축에 대한 지자체 공무원의 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Research on the Awareness of the Local Officials for 3D GIS Construction)

  • 최봉문;임영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279-290
    • /
    • 2007
  • 본 연구는 GIS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급진전되고 있는 3D GIS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구축 및 추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찾기 위하여 지자체 GIS의 실질적 구축 및 운영 주체가 되는 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결과를 지자체 위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각급 지자체의 3D GIS에 대한 개념 인지, 개발 필요성은 각급 자치단체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실제 시스템 구축과 사업추진은 자치단체 위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지방자치단체 3D GIS의 구축은 자치단체의 위계에 따른 차별화된 접근 방안을 가지고 추진되어야 한다. 특히 3D GIS 응용시스템개발은 도시계획 등 기존 GIS 활용분야의 고도화에 중점을 두고 추진되어야 한다. 그리고 3D GIS 추진을 위해서는 지자체 특성에 따른 합리적 지원 방안이 수반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