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oves

검색결과 350건 처리시간 0.021초

50인 미만 소규모사업장의 보건관리 실태 (Current State of Occupational Health in Small-Scale-Enterprises of Korea)

  • 윤순녕;김영임;정혜선;김순례;유경혜;송영숙;김화중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0-104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and characteristics of employees working in small-scale-enterprises (SSE) employing less than 50 workers. Samples were chosen among the two thousands employees working in 838 factories where located in Youngdungpo-Ku, Seoul, Korea.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ed: 1. Most factories investigated in the study were manufactures (68.6%) which were established in 5 to 10 years ago (29.2%), employing less than 5 workers (72.9%) and registered in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23.0%). 2. Health screening was undertaken in 24.9% workplaces for periodic health examination and in 1.5% for special health examination. Environmental monitoring was done in 3.3% factories. Very few factories displayed Material Substance Data Sheet (MSDS) in 3.1% among the total factories. 3. Workplaces usually had their own toilets in 75.9% and washing basin in 58.6% as types of sociowelfare facilities. 4. Employees responded in the study were mostly in the range of age from 30 to 39 in 34.7%. male in 84.8%. the married in 70.3%. manual workers in 42.0%. mostly working regularly 51 hours per a week in 48.2% and earned 710.000 Won to 1.000.000 Won per month in 35.0%. Medical utilization for employees were covered by factories sponsored medical insurance in 12.7% and by provincial sponsored medical insurance in 83.4%. 5. Two point six percents of employees were suffered by diseases. The health complaints indicated were mainly digestive problems in 46.7% and hypertension in 24.4%. 6. Employees wor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s for work such as gloves in 48.1%. safety shoes in 30.5%. ear plug in 5.5% and mask in 6.9%.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we recommend that various types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workplace working condition of each factory.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occupational health strategies. we think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monitor and to allocate how effectively they operate each other on the basis of longitudinal continuity. Besides, we would like to insist that these all management effort should be focused on prevention of disease and occupational health education of employees.

  • PDF

김밥 전문음식점 내 작업 환경에서의 Listeria spp. 오염의 변화 (Changes of Contamination Level of Listeria spp. during the Processing Environments in Kimbab Restaurants)

  • 김지연;권일경;하승열;홍종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2-236
    • /
    • 2005
  • 김밥은 소비자가 즐겨 찾는 대표적인 RTE식품으로 전문음식점에서의 구입 및 섭취가 증가하면서 안전성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김밥 전문음식점의 오전과 오후 시간대의 작업 조건에서 Listeria spp. 오염 변화와 관련된 사항을 분석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 관리되어야 할 내용을 파악하였다. 전체 264건의 시료 중 Listeria spp.는 114건($43.2\%$)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된 Listeria spp. 중 Listeria innocua 95건($83.3\%$), L. murrayi 18건($15.5\%$), L. grayi($0.9\%$)이 분리되었다. 인체 유해균인 Listeria monocytogenes는 검출되지 않았다. 모든 작업 환경에서 오전보다 오후 시간대의 오염수준이 더 높았으며(P < 0.05), 김밥 제조 과정에서 작업 도구의 세척$\cdot$소독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김밥은 열처리 없이 그대로 섭취하므로 식재료 및 도구의 초기 오염 관리와 제조된 김밥의 보존 온도 관리가 중요하다. 따라서 김밥 전문음식점에서의 식재료 준비 단계에서부터 오염 발생 요인을 제거하고, 준비된 식재료의 보관 온도 준수, 도마, 칼, 장갑 등의 세척$\cdot$소독 및 교환 횟수 준수, 식재료 보관 용기가 포함된 김밥 제조대의 오염 차단 설계, 특히 식품 취급 종업원이 위생수칙을 준수하도록 위생관리 지침 및 위생 교육이 강화되어야 하겠다. 이러한 위생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김밥 전문음식점의 현실에 맞는 Good Hygienic Practices를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이, 시판 김밥을 포함한 즉석조리 식품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조치인 것으로 판단된다.

학교급식소의 HACCP 시스템 적합성 검증(II) -비가열조리 공정을 중심으로- (Verification of the HACCP System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 Focus on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Foods in Non-Heating Process -)

  • 전인경;이연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154-116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 HACCP 적용 초등학교 5개교를 대상으로 비가열조리 공정 음식의 중요관리점별로 미생물 품질을 두 차례에 걸쳐 측정하여 학교급식에서 HACCP제도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미생물 검사를 실시한 메뉴로는 오이 실파생 채, 도라지오이 초무침, 쌈배추 겉절이, 과일야채 샐러드, 그린야채샐러드, 오이소박이, 수박 등 7종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채류, 무침류, 샐러드류에 사용된 실파, 도라지, 쌈배추, 방울토마토, 치커리 등 생으로 먹는 채소류는 세척 및 소독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미생물 기준치를 초과하였다. 또한 고춧가루, 마늘, 생강 등의 양념류 원재료의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수가 기준치를 초과하였으며, 음식 생산과정에 사용된 용기 및 기구 등의 미생물수도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식시의 온도도 12$^{\circ}C$∼27$^{\circ}C$전후였다. 따라서 생채소류의 소독, 커팅 시 교차오염방지, 손 위생, 용기류의 교차오염 방지, 배식 온도(5$^{\circ}C$ 미만) 등의 중요관리점이 적합하게 관리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가열조리 공정 음식의 생채류 소독시 소독액 농도의 수시 확인, 양념류의 미생물적 품질을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개선책 마련 등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생채나 샐러드처럼 차게 배식되는 식품의 배식온도 5$^{\circ}C$미만 혹은 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서 상의 차게 먹는 음식 1$0^{\circ}C$미만의 기준은 식수 900∼1,000식 이상인 대규모 학교에서는 현실적으로 준수하기 어려우므로 가능한 조리 후 배식 시간을 단축하도록 강조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칼, 도마 등의 용도별로 구분 사용할 수 있도록 학교차원에서 지원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의 세척ㆍ소독이 철저히 실행되도록 조리종사자 대상 위생교육을 보다 확실히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도시 거주 남자 대학생의 자각적 내한내열성과 체온조절 행동 (Thermoregulatory Behavior and Self-identified Thermal Tolerance of Young Males Residing in Urban Area)

  • 김다미;정다희;박준희;이주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45-263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hermoregulatory behavior of young males in terms of self-identified thermal tolerance. We recruited 436 male students from Seoul ($24.0{\pm}4.6yr$ in age, $175.3{\pm}5.5cm$ in height, $70.1{\pm}10.6kg$ in body mass, and $23.0{\pm}2.7$ in BMI) in accordance with four types of self-identified thermal tolerance: 1) tolerable of both cold and heat, BCH (N=15); 2) heat tolerable only, HTO (N=118); 3) cold tolerable only, CTO (N=162); and 4) neither cold nor heat tolerable, NCH (N=141).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5 questions regarding preference to cold or heat environment, seasonal thermoregulatory behaviors including clothing habits, seasonal sleeping environments, health care/physical fitness, and anthropometric items. The results showed that: 1) BCH preferred less auxiliary heating devices, gloves/hats, or thermal underwear in winter and had very few experiences with cold/heat injuries or catching a cold, whereas NCH showed the opposite behavior and experiences as BCH; 2) thermoregulatory behaviors were not symmetrical between summer and winter. Most male students preferred cold beverage/foods to using cooling devices to lower body temperature in summer, whereas auxiliary heating devices were preferred to warm beverage/foods to maintain body temperature in winter; 3) thermoregulatory behaviors of NCH had more items in common with HTO than CTO, while the behaviors of BCH were more closely related to CTO than the behaviors of BCH were more closely related to CTO than HTO. Overall, we confirmed that thermoregulatory behaviors were apparently classified by self-identified thermal tolerance, and such behaviors could be adjusted by improving cold or heat tolerance.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수확 후 처리 환경의 위생지표세균 및 병원성 미생물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Liriope platyphylla at Post Harvest Environments)

  • 김연록;하지형;김세리;박영춘;김경철;김원일;류송희;김황용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9-106
    • /
    • 2016
  • 총호기성균, 대장균군, Escherichia coli,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를 대상으로 충청남도 청양의 맥문동 재배 농가 3곳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하였다. 그 결과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S. aureus는 작업자가 착용한 장갑의 일부에서만 정성적으로 검출되었다. 수확한 맥문동과 접촉가능성이 있는 주변환경(토양, 수확기, 수확용기, 세척기, 세척수, 채반 등)의 미생물 오염도가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다만 일부 세척기에서 대장균군이 $4.35log\;CFU/100cm^2$ 검출되어 위생관리에 유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맥문동은 수확 이후에 세척과정과 건조 과정을 거치면서 미생물 오염도(총호기성균, 대장균군, B. cereus)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개 의료원을 방문한 지네 교상 환례에 대한 조사 (Study on the Centipede Bite Cases Who Visited a Medical Center)

  • 이동욱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1호
    • /
    • pp.79-86
    • /
    • 2002
  • 1998년 9월부터 1999년 8월까지 중소도시에 소재한 의료원 응급실을 방문한 지네 교상 환자는 여자 21명(58.4%), 남자 15명(41.6%)으로 총 36명이었다. 계절에 따른 변화는 6월에 한번 증가하고, 8월과 9월에 증가하며 9월에 가장 많았다. 시간에 따른 빈도는 일몰 후(저녁 6시부터 다음날 아침 6시까지)가 27명으로 일몰전 9명보다 많았다. 부위에 따른 빈도는 손가락 (30%), 목(28%), 발(25%), 손(14%) 등의 순이었다. 손과 손가락은 작업 중에 장갑을 끼거나, 일을 하던 중에 물렸으며, 발은 신발을 신다가 물렸다. 목의 경우는 잠을 자던 중에 물린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소적인 증상은 통증 36명(100%), 종창 36명(100%), 홍반 26명(72.2%), 감각이상 5명(13.9%)이 있었고 전신적인 증상은 어지러움 2명(5.6%), 오심 1명(2.8%) 있었다. 국소적 증상에서 통증의 호전은 대부분이 48시간 이내에 호전되었다. 종창의 호전은 48시간 이내 많은 호전이 있었고, 감각 이상은 72시간 이내에 호전되었다. 전신적인 증상으로 어지러움과, 오심은 24시간 이내에 호전되었다. 왕지네류 교상에서 치료와 예후는 각 나라마다 비슷하였다. 이에 우리 나라 실정에 맞는 표준화된 치료 지침을 만들어 지네에게 물렸을 때 국소적 증상과 전신적 증상, 그리고 외상에서 빨리 회복 될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 PDF

치위생 실습실에서 치위생과 학생의 감염에 관한 태도 연구 (A study on dental hygiene department students' attitude toward infection in a dental hygiene workshop)

  • 김은희;김설악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849-863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study dental hygiene department students' management of infection and their attitude toward infection.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24, 2009 to September 20, 2009. 269 sophomore and junior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from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and Gangwon-do participated in the stud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Results : 1. As for dental hygiene department students' recognition of the causes of infectious diseases, 80.7% of the respondents said hepatitis B was the infectious disease highly likely to occur in laboratories. 35.3% was correct about the antecedent variables of infection in the workshop, 24.9% about the oral symptoms of HIV and 18.6% about the diseases induced by HBV. The recognition rates were generally low. 2. About whether the respondents ask patients questions about infectious diseases, 80.7% of them answered Yes, but only 56.2% of them said they do so every time, and 17.8% of them said they never do so. 3. As far as washing hands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is concerned, 97.4% of the respondents said hand washing helps prevent infection. 72.5% of them said they wash their hands every time before they practice on a patient, while 84.0% of them said they washed their hands after the lab practice. 90.7% said they use liquid soap containing anti-microbial agents, and 81.8% of them said they use paper towels. 4. With regard to protective gear for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98.9% of the respondents said it is desirable to use disposable protective gear for each patient. When it comes to what they actually used as protective gear, 91.1% said aprons, 89.2% gloves, and 87.7% masks. However, a low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actually use goggles and replace masks when they got damp, 11.2% and 24.2% respectively. Conclusions : As for treating the surface of equipments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most of the respondents exhibited a high recognition rate. Relative fewer respondents actually treat the surface of equipments than those respondents who are aware of the need to do so. A high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also said they use alcohol sponge to treat the surface of each equipment in order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 PDF

대학급식시설의 위생관리개선을 위한 HACCP 적용에 관한 연구 - 생.숙채류를 중심으로 - (Application of HACCP for Hygiene Control in University Foodservice Facility - Focused on Vegetable Dishes (Sengchae and Namul) -)

  • 허영수;이복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93-304
    • /
    • 1999
  • 이 연구는 대학급식소를 대상으로 HACCP 개념을 적용하여 급식되는 생.숙채류(8종류)의 매생물적 품질을 평가하고 음식의 위생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주방의 위생 상태 평가에서 주방 바닥의 물기제거와 조리기구의 소독방법에 대한 기준 설정이 필요하였고, 조리종사자가 위생장갑과 위생적 기구사용에 대한 교육이 요구되었다. 주방의 배치에서 가열조리대와 선반의 거리가 가까워 가열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선반에 보관된 음식의 미생물 증식 가능온도($5~60^{\circ}C$)에서 다뤄지고 있었으며 육안으로는 신선한 것으로 보였던 원재로의 미생물 수치는 총균수 $10^{5}~10^{7}$, 대장균균 수 $10^{3}~10^{6}$으로 Solberg등이 제시한 총균수 $10^{6}$, 대장균군 수 $10^{3}$을 초과하여 보다 철저한 검수와 적절한 공급자 선정이 필요하였다. 생채의 경우 씻는 과정에서 미생물 수치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배식 단계에서는 모두 기준치를 초과하였다. 숙채는 데치기 혹은 볶는 과정에서 미생물이 거의 사멸되었으나 생채와 같이 시간이 경과함으로써 미생물의 재오염이 발생하였다. 사용도구에 대한 미생물 검사 결과 행주를 제외한 배식용기, 조리원의 손, 칼, 야채절단기는 모두 Harrigan과 McCanece가 제시한 총 균수 $100\;\textrm{cm}^2$당 500미만, 대장균군 수 100 $100\;\textrm{cm}^2$당 10 이하의 안전기준치를 초과하여 개선이 요구되었다. 결론적으로 급식되는 음식의 안전을 위해 최상의 원료구입과 음식생산단계에서의 시간단축, 적절한 온도에서는 보고나, 위생적 기구 사용등을 통해 미생물의 증식방지 및 위생 관리에 노력해야 하겠다.

  • PDF

상추와 생산환경의 미생물 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Safety of Lettuce and Cultivation Area)

  • 김세리;이지영;이서현;김원일;박경훈;윤혜정;김병석;정덕화;윤종철;류경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9-295
    • /
    • 2011
  • 본 연구는 상추를 대상으로 재배~수확 후 단계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이천지역 상추농가와 수확 후 처리시설에서 위생지표세균(일반세균수, 대장균군,E. coli)과 병원성미생물(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을 조사하였다. 상추 생산과정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결과, 대부분의 시료에서 일반세균수 수준은 4.0 log CFU/(ml, g, $100\;cm^2$, hand)이었다. 또한 수확 후 처리시설에서 사용되는 장갑에서 E. coli가 3.5 log CFU/hand로 비교적 높게 검출되었고, B. cereus는 토양과 저울에서 각각 3.5 log CFU/g, 2.6 log CFU/$100\;cm^2$로 타시료에 비해 높았다. 특히 정식 후 10일 째 상추의 일반세균수, 대장균군수 및 B. cereus의 오염수준이 정식 후 62일째 상추 보다 각각 l.19, 1.87, and 1.94 log CFU/g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및 L. monocytogenes은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상추의 유해 미생물 오염은 생산단계부터 발생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러한 유해미생물의 오염을 사전에 관리하기 위해서는 생산에서부터 소비까지 위해요소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작업치료실의 감염 실태와 감염예방 관리 실태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The Status of Infection for Infectious Diseases and Status of Infection Control in Occupational Therapy - Focusing on Busan)

  • 정남해;배원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9-49
    • /
    • 2016
  • 목적 : 부산 지역 내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작업치료실의 감염성 질환 감염 실태와 감염예방 관리 실태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6년 6월 한 달 동안 감염성 질환 감염 실태, 감염예방 관리 및 감염관리 인식도의 네 파트로 구성된 설문지를 부산 지역 내 작업치료실 23 곳, 작업치료사 1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 34.8%의 의료기관에서 작업치료사들이 옴, 결핵, C-diffficile, MRSA, HFM 등의 감염성 질환을 경험하였다. 작업치료사는 대부분의 감염예방 관리 항목에서 수행도가 높으나, '15초 이상 손 씻기'와 '장갑 착용 전 후에 손 씻기', '치료 시 마스크 착용'과 '사용한 마스크 즉각 버리기', '화장실 이용 시 시트 클리너 사용하기' 에서 낮은 수행도를 보였다. 그 외 '피, 침, 고름 및 분비물로 오염된 세탁물을 일반 세탁물과 분리 세탁하기'항목에서 낮은 수행도를 보였다. 또한 대부분의 작업치료사는 작업치료 임상에서 감염관리 교육은 중요하고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현재 감염교육은 대부분 근무처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감염예방 관리 수행 향상을 위해서는 치료사 개인의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제도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차후,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감염관리 교육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