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logical

검색결과 3,323건 처리시간 0.029초

산사태 조사.해석 기법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Technique to Landslides and Its Application)

  • 김경수;송영석;채병곤;조용찬;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18권1호
    • /
    • pp.69-81
    • /
    • 2008
  • 산사태연구는 산사태를 발생시키는 여러 인자들의 상호관계를 규명하는 방법, 확률론적으로 산사태 발생가능성을 예측하는 방법 사태물질의 이동경로와 확산범위를 산정함으로써 산사태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된 대부분의 산사태는 여름철의 집중호우에 기인되는 것으로 기반암 상부의 토층에서 발생되며, 강우조건, 지형조건과 지질 및 토질특성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사태 조사부터 위험성평가에 이르기까지의 산사태연구는 다양한 산사태를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해석함으로써 공학적 관점에서 여러 특징들을 관찰하고 그 특성들을 총괄적으로 해석하여야만 한다. 이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마천지역을 대상으로 산사태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자연사면 산사태에 대한 최적의 표준모델로 활용할 수 있는 산사태 조사 및 해석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경주시 외동읍 구어리 일대 동래단층 연장성 확인을 위한 물리탐사 적용 (Application of geophysical methods to determine the extent of the Dongrae Fault in the Oedong-eup area, Gyeongju City)

  • 황학수;함세영;이철우;이충모;김성욱
    • 지질공학
    • /
    • 제27권3호
    • /
    • pp.207-215
    • /
    • 2017
  • 동래단층 북단부는 경상북도 경주시 동남쪽 약 15km 떨어진 외동읍 구어리 일대에서 울산단층과 교차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지역에서 동래단층의 존재유무를 파악하고, 또한 동래단층대의 정확한 위치와 방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표지질조사와 지구물리탐사(자력탐사, 전기비저항탐사, 주파수영역 전자탐사)를 수행하였다. 지질학적 자료와 지구물리탐사 자료를 종합적으로 해석하여 동래단층의 존재를 확인하였고, 동래단층의 주 연장방향이 N14E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 방향성에 의하면 동래단층은 관거리 입실교 부근에서 울산단층과 교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충적층에 의해 덮여 있어서 야외 지표지질연구로는 확인할 수 없었으나, 지구물리탐사에 의하면, 연구지역 내에서 단층파쇄대의 폭은 약 200 m 이상이며 그 폭은 연구지역의 북부보다 남부에서 더 넓은 것으로 해석된다.

지질구조 영향에 의한 암반비탈면 붕괴 사례 연구 (Case Study on Rock Slope Failures Caused by Geologic Structures)

  • 박부성;조현;박동인;김준호;최재호
    • 지질공학
    • /
    • 제27권4호
    • /
    • pp.417-42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암반비탈면을 대상으로 붕괴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지질구조에 의한 붕괴현황, 원인분석 및 대책에 관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다양한 지질구조에 의한 암반비탈면 붕괴 사례 중 단층점토가 협재된 단층면의 교차에 의한 붕괴, 엽리 및 암맥관입접촉부 파쇄대에 의한 붕괴 및 심부 암종경계면(점토대)에 의한 붕괴 등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정밀지표지질조사, 물리탐사 및 시추조사 등을 통한 붕괴원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상 비탈면의 지질구조적 특성, 붕괴유형 및 지반조건 등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비탈면 활동을 방지하고 비탈면의 항구적인 안정성 확보를 위한 대책방안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Analyses on Thermal Stability and Structural Integrity of the Improved Disposal Systems for Spent Nuclear Fuels in Korea

  • Lee, Jongyoul;Kim, Hyeona;Kim, Inyoung;Choi, Heuijoo;Cho, Dongkeun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8권spc호
    • /
    • pp.21-36
    • /
    • 2020
  • With respect to spent nuclear fuels, disposal containers and bentonite buffer blocks in deep geological disposal systems are the primary engineered barrier elements that are required to isolate radioactive toxicity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delay the leakage of radio nuclides such that they do not affect human and natural environments. Therefore,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bentonite buffer and structural integrity of the disposal container are essential factors for maintaining the safety of a deep geological disposal system.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 in the design of such a system involves ensuring that the temperature of the buffer does not exceed 100℃ because of the decay heat emitted from high-level wastes loaded in the disposal container. In addition, the disposal containers should maintain structural integrity under loads, such as hydraulic pressure, at an underground depth of 500 m and swelling pressure of the bentonite buff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thermal stability and structural integrity in a deep geological disposal environment of the improved deep geological disposal systems for domestic light-water and heavy-water reactor types of spent nuclear fuels, which were considered to be subject to direct disposal. The results of the thermal stability and structural integrity assessments indicated that the improved disposal systems for each type of spent nuclear fuel satisfied the temperature limit requirement (< 100℃) of the disposal system, and the disposal containers were observed to maintain their integrity with a safety ratio of 2.0 or higher in the environment of deep disposal.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DCM설계정수 결정을 위한 제안 (Suggestion for Determination of DCM Design Parameter Based on the Statistical Method)

  • 정경환;신민식;한경태;이정화;김재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462-471
    • /
    • 2008
  • The quality control for DCM is based on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laboratory treated soils, the cement contents, setting and checking the strength of in-situ treated soils. Also the strength of in-situ is checked mainly by the core boring. In case of large size construction, it might be considered the distribution of DCM strength data as normal distribution, so it might be employed a statistical method to evaluate DCM strength easily. In Japan, it has been established correlation between the strength of laboratory treated soils, the strength of in-suit treated soil and the design strength. Also It has been employed domestically the correlation suggested by Japan. But the correlation, so called $\lambda$(ratio in the strength of laboratory treated soils and the in-suit) and $\gamma$(ratio in the strength of in-suit and the design strength), might be far different with the domestic due to different DCM system and soil properties. so it might be restrictive to use domestically. Therefore in this paper, It is presented correlation between the strength of laboratory treated soils and in-suit treated soil to be employed domestically by evaluating $\lambda$ based on the domestic in-suit illustrations.

  • PDF

2009 오키나와 Deep Mixing 심포지엄 및 공동연구 (International Symposium and Collaborative Study on Deep Cement Mixing, Okinawa 2009)

  • 정경환;신민식;한경태;이정화;김재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972-978
    • /
    • 2008
  • Quality Assurance of Deep Mixing to fulfill the requirements of geotechnical design cannot be achieved only by the process control During production conducted by the deep mixing contractor but it should involve relevant activities that are carried out prior to, during and after the construction by all the parties involved in a deep mixing project. The requirement is different for different application, and hence, QA/QC method/procedure and verification technique may be different for different applica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high quality of deep mixing work in the global marke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research project, such as investigation of illustrations, the variety of existing QA/QC methods/procedur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utcomes of different QA/QC methods. In these reason, it has been held the international meeting to discuss them, in that kind of activities in 2009 it will be held Symposium. Also Collaborative study for QA/QC is on goin, and conduction by all participated members. The subject for collaborative study are, task 1 : investigation of laboratory tests procedures, task 2 : comparing of different laboratory tests procedures, task 3 : QA/QC method/procedures, task 4 : integrated Task1 ~task 3. The discussion of the results in all task will be held in the Symposium separately. In this paper, it was presented four tasks. Also the results in task 1 and 2 conducting domestically until now, such as investigation of laboratory test procedures, effect on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by aging temperature and by delayed time.

  • PDF

대도시지역에 적합한 사면관리프로그램 (Slope Management Program of Available to an Urban Area)

  • 김경수;조용찬;채병곤;송영석;이춘오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44-651
    • /
    • 2006
  • In general, a damage that occurs due to landslide or slope failure in urban areas is larger than that in rural areas. In order to reduce the damage, a program is necessary to categorize slopes based on properties and to manage them systematically. Based on the above necessity, a slope management program which is applicable to slope management in an urban area has been developed at Hwangryung mountain in Busan as a target area. The program has a function of systematic slope information constructed by slope ID number of each slope or sub-region of a mountain, making a slope data sheet, analysis and grouping of slope stability, and establishment of a data base. It can also be utilized practically by end users due to the convenient input, edition, printing, management and operation of slope data. For practical utiliz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a research related to construction of the slope management system for a regional area is demanded to be performed continuously. The supply and utilization of a web based slope management system would contribute to damage reduction.

  • PDF

백악기 후기 미시령 병반의 기하학적 복원과 백담분지의 규모에 관한 소고 (An Exploratory Study on the Geometrical Reconstruction of the Late Cretaceous Misiryeong Laccolith and the Lost Size of the Baekdam Basin)

  • 최위찬;김유봉;;최성자
    • 자원환경지질
    • /
    • 제44권4호
    • /
    • pp.321-327
    • /
    • 2011
  • 창암점 도폭 (1:5만)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속초시 서쪽의 미시령 인근에서 반심성암으로 구성된 미시령 병반의 존재를 알게 되었으며, 원래의 병반 모양을 알기 위해 석영장석반암 직 상위에 산점상으로 분포하는 퇴적층에 대한 구조등고선과 단면도를 통한 기하학적 복원을 하였다. 병반의 형성시기는 상기 반암의 관입시기인 $84.4{\pm}1.8$ Ma (SHRIMP)로 고려된다. 삭박되어 잃어버린 백담퇴적분지의 원래 크기는 동-서 폭이 6 km, 남-북 길이가 16 km에 달하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지질조건에 따른 도로사면 안정검토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Stability Evaluation of Road Slope based on Geological Condition)

  • 박철숙;김재홍
    • 지질공학
    • /
    • 제17권4호
    • /
    • pp.577-587
    • /
    • 2007
  • 본 연구지역은 절취사면 연장이 약 450m에 달하며 사면 절취결과 암질의 측방변화가 현저한 지반조건을 나타냈다. 사면 안정대책의 수립을 위해 절취사면에서 구성암석, 지질구조, 불연속면의 방향성 등 지질공학적인 조사를 수행하였다. 절취사면의 방향성, 사면높이, 지반조건 등을 고려하여 6개의 Zone으로 구분하고, 안정성 분석은 불연속면의 방향성과 사면의 절취방향간의 기하학적 상관관계에 의한 안정성 분석이 가능한 DIPS 프로그램을 이용한 평사투영법으로 실시하였다. 사면안정성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시공성, 안정성, 경제성을 고려하여 비교적 큰 암괴의 이완시 도로 하단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고강도 낙석 방지망(higth tensile steel wire net) 설치, 사면 보호공, 옹벽의 증고 등 다양한 공법으로 사면안정 대책을 수립, 시행하였다.

의성 금성산 북부지역의 지열자원 지구물리탐사 (Geophysical Prospecting for Geothermal Resources at Northern Part of Kumseongsan, Euiseong)

  • 이기동;한기환;김기범;이종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6호
    • /
    • pp.35-44
    • /
    • 2006
  • 의성 금성산 북부지역에서 지열자원의 탐사와 화도의 자세를 파악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지구물리학적 탐사와 지질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력탐사, 자연전위탐사, 방사능탐사, 비저항탐사, 지표 부근에서의 온도검층 및 지질조사 등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여러 종류의 지구물리학적 이상들이 백악기의 화도와 관련되어 나타난다. 비저항 및 온도검층에서 관찰되는 이상들은 지질구조 및 지열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소규모의 방사능 이상들과 자연전위 이상들은 암석의 화학적 특성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지역의 퇴적암의 층리는 불투수층인 화산암을 향하여 급한 경사가 발달하였으며 지하수와 지열자원의 배태를 위한 이상적인 지질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지역의 지질과 연구지역 주변에 분포하는 두개의 기존 온천 부근의 지질은 경상계 퇴적암류와 화산암류로 분포되어 있어 서로 유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