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al separation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4초

항행안전무선시설의 지리적분리간격 분석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nalysis Program for Geographical Separation of Radio Navigation Aids)

  • 최재명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0-35
    • /
    • 2017
  • 항행안전무선시설은 전파를 이용하여 항공기 안전운항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전파를 이용하는 무선시설이 크게 늘어남으로써 인접채널에 의한 항공주파수 전파방해 가능성은 매우 커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항행안전시설을 위협하는 불규칙한 전파방해 및 인공위성을 활용하는 위성항행시스템 주파수 사용이 급증하고 있어 항공전파 안전성 확보가 시급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항행시스템의 종류별 특성과 주파수를 조사하였고, 분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국내외 지리적 분리간격 기준을 분석하였다. 또한, 항행안전시설 설치 시 인접시설에 영향이 없도록 국제규정을 적용한 항행안전무선시설의 지리적분리간격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분석 프로그램은 운영현황 표시 기능, 신설시 지리적 분리 시뮬레이션 기능, 미부합 시 조치방안 제안 기능 등을 제공한다.

구조적인 관계를 이용한 지도의 정보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formation Extraction from Map using a Structural Relation)

  • 전흥구;최관순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45-48
    • /
    • 2000
  • 지도영상은 숫자, 각종 심볼 그리고 지형적인 경계선, 도로, 강 등을 나타내는 라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하학적인 관계를 이용하여 지도영상으로부터 지도정보를 추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안된 이 방법은 연결성분만을 고려한 방법보다 개선된 방법으로 GIS 입력 모듈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 PDF

토착지명, 지리적 실체, 그리고 인식의 문제 -동해/일본해 표기 사례- (Endonym, Geographical Feature and Perception: The Case of the Name East Sea/Sea of Japan)

  • 주성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61-674
    • /
    • 2009
  • 최근 유엔지명전문가회의에서는 두 개 이상의 국가에 걸치거나 국경을 초월하여 존재하는 지리적 실체가 갖는 이름이 어떤 지위를 가질 것인가에 대하여 활발한 토론이 진행되었다. 두 개의 상반된 견해가 제시되었는데, 하나는 어떤 실체가 위치한 곳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표기된 지명은 그 경계 내에서만 토착지명이라는 관점이며, 다른 하나는 어떤 언어로 표기된 지명은 전체에 대하여 토착지명이라는 관점이다. 전자는 지리적 실체가 나뉠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부분적 관점, 후자는 지리적 실체를 나뉘지 않는 전체로 인식한다는 점에서 전체적 관점이라고 부를 수 있다. 부분적 관점에서는 적어도 한국의 영해에서는 '동해'라고 불러야 한다는 점, 전체적 관점에서는 바다 전체에 대해 '동해'는 토착지명이 된다는 점 등에서 볼 때, 어떤 관점에서도 '동해'지명은 존중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지리적 실체를 나눌 수 있고 각 부분은 다른 형태의 지명을 가질 수 있다는 부분적 관점을 지지한다. 지리적 실체의 분리에 대해서는 지역 주민들이 자신의 것으로 인식하는 바다의 경계를 사용해야 한다. 영어로 표기된 East Sea는 토착지명 '동해'의 번역된 형태로 분류하는 방안이 제안된다.

행정구역 분리가 지역의 인구와 산업 변화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충청북도 괴산군과 증평군을 사례로 (A Study on the Effect of Administrative Districts Separation to the Changes of Population and Industry in a Region: A Case Study on Goesan-gun and Jeungpyeong-gun, Chungcheongbuk-Do)

  • 신영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81-399
    • /
    • 2016
  • 충청북도 괴산군과 증평군은 2003년에 행정구역이 분리되었다. 괴산군은 농촌, 증평군은 도시 지역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행정구역이 분리된 충청북도 괴산군과 증평군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충청북도 괴산군과 증평군의 변화를 인구와 최고지가, 산업별 종사자와 입지 계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괴산군의 인구는 감소, 증평군의 인구는 증가하였고, 최고지가의 상승률은 증평군이 더 높다. 2013년 기준으로 입지 계수를 보면, 증평군은 제조업과 생산자 관련 서비스업, 괴산군은 농업과 광업, 소비자 관련 서비스업이 발달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괴산군과 증평군의 지역 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 PDF

거주지 분화에 대한 공간통계학적 접근 (II): 국지적 공간 분리성 측도를 이용한 탐색적 공간데이터 분석 (A Spatial Statistical Approach to Residential Differentiation (II):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Using a Local Spatial Separation Measure)

  • 이상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34-153
    • /
    • 2008
  •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국지적 공간 분리성 측도를 이용한 탐색적 공간데이터 분석을 통해 거주지 분화 연구에서 공간통계학적 접근이 가지는 의의를 논증하는 것이다. 탐색적 공간데이터 분석은 공간 데이터를 다양한 과학적 지도학적 시각화 방식을 통해 탐색함으로써 패턴을 발견해 내고, 의미 있는 가설을 수립하며, 더 나아가 공간 데이터에 대한 통계학적 모델을 평가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국지 통계량에 기반한 탐색적 공간데이터 분석이 구체적인 연구 수행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믿음에 기반을 두고 진행된 것이다. 중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 개발된 전역적 공간 분리성 측도로부터 국지적 공간 분리성 측도를 도출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의성 검정을 위한 가정, 즉 총체적 랜덤화 가정과 조건적 랜덤화 가정에 기반한 가설검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측도와 유의성 검정을 바탕으로 한 탐색적 공간데이터 분석 기법으로 '공간 분리성 산포도 지도'와 '공간 분리성 이례치 지도'를 제시하였다. 부가적으로 각 인구 집단 별 집중도에 대한 표준화 지표도 제시되었다. 넷째, 개발된 기법을 우리나라 7대 도시의 고학력 집단과 저학력 집단간 거주지 분화에 적용한 결과, 특히, 이변량 공간적 클러스터와 공간적 특이점을 확인하는 데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Capillary electrophoresis(CE)를 이용한 천궁의 원산지 판별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 far Ligusticum Root (Ligusticum wallichii)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 김정현;김은영;정경숙;류미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80-384
    • /
    • 2003
  • 최근 수입자유화 이후 중국산 한약재의 수입이 증가하면서 수입산과 국산의 명확한 판별이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수입이 급증한 품목 중 하나인 천궁을 선택, CE를 이용한 분석조건을 확립하고 원산지판별에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분석을 위한 지표물질의 추출에는 30% ethanol 을 사용하였고, $50\;{\mu}m\;I.D.{\times}27\;cm$ 길이의 uncoated fused-silica capillary를 이용하여 $40^{\circ}C$, 10 kV로 200 nm에서 분석하였다. 0.1 M phosphate buffer(pH 2.5)에 40% methanol과 15 mM IDA를 첨가하여 분석 buffer로 사용하였고, 국산시료는 5초, 수입산은 2초 동안 pressure injection하였다. 분석 시 시료 injection 전에 증류수로 4분간 흘려주고 분석 buffer로 10분간 평형화시켰으며 분석이 끝난 후 0.1M phosphoric acid와 1N sodium hydroxide를 각각 4분씩 흘려 분석의 재현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상의 조건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국내산(62점)과 수입산(51점) 천궁을 분석한 결과 전체 peak에 대한 구성비율이 서로 차이를 나타내는 peak LW-1과 peak LW-5(용출시간 약 11분, 14분)를 원산지 판별에 적용할 수 있는 peak로 도출하였으며, 이 peak를 이용한 국산 및 수입산 천궁의 원산지 판별율은 국산이 약 65%(총 62점 중 40점을 바르게 판별), 수입산은 약 63%(총 51점 중 32점을 바르게 판별)로 나타났다.

A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n Korean Alexandrium catenella and A. tamarense Isolates (Dinophyceae) Based on the Partial LSD rDNA Sequence Data

  • Kim, Keun-Yong;Kim, Cha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9권3호
    • /
    • pp.163-171
    • /
    • 2004
  • Sequences of the large subunit ribosomal (LSD) rDNA D1-D2 region of Alexandrium catenella(=A. sp. cf. catenella) and A. tamarense isolates, which were collected along the Korea coast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ir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s. All A. catenella and A. tamarense isolates belonged to the A. tamarense/catenella/fundyense complex and were grouped with the North American and temperate Asian ribotypes, respectively,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ntral pore in the first apical plate. A consistent and peculiar characteristic that differentiated the Alexandrium isolates was amplification of a second PCR product with a lower molecular weight in addition to the predicted one; ten A. catenella isolates belonging to the temperate Asian ribotype yielded this additional PCR product. Sequence alignment revealed that the shorter PCR product resulted from an unusual large deletion of 87 bp in the LSD rDNA D1 domain. The North American and temperate Asian ribotypes were prevalent along the Korean coasts without geographical separation. Given the high genetic homogeneity among widely distributed Alexandrium populations, each ribotype appeared to be pandemic rather than to constitute a distinct regional population.

1H NMR-based metabolomic study of Cornus officinalis from different geographical origin

  • Jung, Young-Ae;Jung, Young-Sang;Hwang, Geum-Sook
    • 한국자기공명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90-103
    • /
    • 2011
  • Cornus officinalis (Cornaceae) is primarily grown in Asian countries. The pericarp of C. officinalis (Corni Fructus) is a well-known traditional medicine with tonic, analgesic, and diuretic properties. We analyzed methanolic extracts of Corni Fructus (grown in Korea and China) by $^1H$ NMR spectroscopy. Metabolite profiling was performed to characterize the metabolic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Corni Fructus origins (Korea or China).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separation between Comus Fructus from different origins. The metabolites responsible for differences were identified using loading plots, coefficients plots, and variable influence on projection followed by t-tests. As a result, 16 metabolites were identified and quantified; tyrosine, acetate, sucrose, and malate differed the most between origins. These data suggest that NMR-based metabolomics can be used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Corni Fructus samples obtained from different regions.

한국고유종 북방종개(어류강, 미꾸리과)의 집단유전학적 구조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the Korean Endemic Species, Iksookimia pacifica (Pisces: Cobitidae) Distributed in Northeast Korea)

  • 장숙진;고명훈;권예슬;원용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61-471
    • /
    • 2017
  • 북방종개(Iksookimia pacifica)의 유전적 다양성과 구조적 특징을 밝히기 위해 동해 독립하천들에 서식하는 10개의 집단들을 대상으로 핵유전자와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에 기반한 집단유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미토콘드리아와 핵유전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유전적 분화가 관찰되었다. 핵유전자들의 DNA 서열자료에서 추출한 유전자형 자료를 Bayesian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북방종개는 천진천과 양양남대천을 기준으로 북쪽과 남쪽의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는 구조를 보였다. 현재 동해 하천들이 지리적으로 단절되어 온 독립 수계라는 것을 감안했을 때, 남북으로 구별되는 집단유전적 구조는 북방종개가 한반도에 정착했던 초기 조상 집단이 남북으로 갈라지는 지리적인 분리 사건과 관련되었을 것으로 해석되며, 이러한 초기 조상집단의 지리적 분리 이후, 두 조상그룹들은 남북의 지리적인 범위 내에서 하천 별 고립에 따른 추가적인 분화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목할 점으론, 자산천 집단의 많은 개체들이 지리적 거리가 먼 양양남대천 및 강릉남대천 집단과 하나의 유전적 cluster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의 경우 몇몇 이웃하는 집단들 사이에 현저히 낮은 유전적 분화도 그리고 일부 집단들에서 매우 낮은 유전적 다양성이 관찰되었다. 본 집단유전학적 결과는 향후 북방종개의 보존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될 것이다.

거주지 분화에 대한 공간통계학적 접근 (I): 공간 분리성 측도의 개발 (A Spatial Statistical Approach to Residential Differentiation (I): Developing a Spatial Separation Measure)

  • 이상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16-631
    • /
    • 2007
  • 거주지 분화 현상은 도시적 삶의 공간성을 파악하는데 본질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도시학 연구에서 오랫동안 주목을 받아왔다. 거주지 분화 현상에 대한 연구 과제 중의 하나가 상이한 두 집단이 얼마나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지를 측정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온 것이 상이지수(index of dissimilarity)인데, 이 지수는 거주지 분리의 '불균등성(unevenness)'은 측정할 수 있지만, 공간적 '집중도(clustering)'는 측정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되어 온 '공간적 격리 지수(spatial indices of segregation)' 역시 가설검정 절차를 제시하지 못하고 최근의 공간통계학 연구 성과를 수용하지 못하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논문의 주된 연구 목적은 새로운 '공간 분리성 측도(spatial separation measure)'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 공간 분리성 측도는 상이한 인구 집단이 거주 공간에 얼마나 불균등하게 분포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그러한 불균등 분포가 보여주는 공간적 의존성의 정도까지도 측정하는 새로운 통계량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공간 연관성 측도(spatial association measures)'와 '공간적 카이-스퀘어 통계량(spatial chi-square statistics)'을 통합하여 새로운 측도를 개발했으며, 일반화된 랜덤화 검정법을 적용해 측도에 대한 유의성 검정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개발된 측도와 유의성 검정법을 우리나라 7대 도시의 학력 집단 간 거주지 분리 현상에 적용함으로써, 연구방법론으로서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