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ted AI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8초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디스플레이형 인공지능 스피커의 사용자 경험 요인 연구 : 아마존 에코의 온라인 리뷰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User Experience Factors of Display-Type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Online Review Analysis of the Amazon Echo)

  • 이정명;김혜선;최준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9-23
    • /
    • 2019
  • 인공지능 스피커 시장은 디스플레이 탑재라는 새로운 흐름 속에 놓여 있다. 이 연구는 디스플레이 유무에 따른 인공지능 스피커 사용 경험의 차이를 사용 맥락에 따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마존 에코 쇼(Echo Show)와 에코 플러스(Echo Plus)의 온라인 리뷰 텍스트가 어떠한 구조적 차이를 보이며 차별화된 UX 이슈들로 구성되어 있는지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사용자 경험의 물리적 맥락과 사회적 맥락에 따른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주요 이슈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디스플레이 탑재에 따라 사용자의 기대격차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부정적 경험이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는 침실보다 부엌에서 활용도가 높으며, 가족 구성원 간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향후 국내에서도 출시될 디스플레이형 스피커가 고려해야 할 사용자 경험 전략을 제안한다.

IoT 빅데이터 수집을 위한 IP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연동 게이트웨이 (IP-Based Heterogeneous Network Interface Gateway for IoT Big Data Collection)

  • 강지헌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73-178
    • /
    • 2019
  • 최근 스마트 홈, 스마트 보안, 스마트 팩토리 등 IoT 환경에서 생성, 수집, 계측되는 데이터의 종류 및 양이 증가하고 있다. IoT 서비스를 위한 요소기술에는 원하는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장치, 해당 장치를 컨트롤할 수 있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측정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저장할 수 있는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IoT 장치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하나의 통합된 장치에서 처리할 수 있는 장치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이기종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oT 게이트웨이를 제안한다. OpenWrt 기반의 유무선 공유기를 활용하였으며, 무선 센서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IP기반 통신을 위해 6LoWPAN 스택을 이용하여 BLE와 IEEE 802.15.4 통신 모듈을 연동하였고, 자체 개발한 파이썬 기반 미들웨어를 이용하여 Z-Wave, LoRa 통신 모듈에서 송수신 되는 패킷을 IP 패킷을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IoT 게이트웨이가 IoT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장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inding the Optimal Data Classification Method Using LDA and QDA Discriminant Analysis

  • Kim, SeungJae;Kim, SungHwan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32-140
    • /
    • 2020
  • With the recent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the use of data is rapidly increasing, and newly generated data is also rapidly increasing. In order to obtain the results to be analyzed based on these data, the first thing to do is to classify the data well. However, when classifying data, if only one classification technique belonging to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 is applied to classify and analyze it, an error of overfitting can be accompanied. In order to reduce or minimize the problems caused by misclassification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such as overfitting, it is necessary to derive an optimal classification by comparing the results of each classification by applying several classification techniques. If you try to interpret the data with only one classification technique, you will have poor reasoning and poor predictions of results. This study seeks to find a method for optimally classifying data by looking at data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applying various classification techniques such as LDA and QDA, such as linear or nonlinear classification, as a process before data analysis in data analysis. In order to obtain the reliability and sophistication of statistics as a result of big data analysi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meaning of each variabl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If the data is classified differently from the hypothesis test from the beginning, even if the analysis is performed well, unreliable results will be obtained. In other words, prior to big data analysis,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data is well classified to suit the purpose of analysis. This is a process that must be performed before reaching the result by analyzing the data, and it may be a method of optimal data classification.

VGGNet을 활용한 석재분류 인공지능 알고리즘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Stone Classification with AI Algorithm Based on VGGNet Neural Networks)

  • 최경남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0권1호
    • /
    • pp.32-38
    • /
    • 2021
  • 사진 이미지에서의 딥러닝 학습을 통한 이미지 분류는 지난 수년간 매우 활발한 연구 분야로 자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산 석재 이미지로부터 딥러닝 학습을 통해 자동으로 석재를 판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300×300픽셀의 황등석, 고흥석, 포천석의 사진 이미지들을 파이썬의 해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석재별 중복된 이미지를 검사하고, 검사 결과로 해시값이 같은 중복된 이미지를 제거하여 석재별 딥러닝 학습이미지를 만드는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미리 학습된 모델인 VGGNet을 활용하기 위해 학습된 이미지 사이즈인 224×224픽셀로 석재별 이미지들의 사이즈를 재조정하고, 학습데이터와 학습을 위한 검증데이터의 비율을 80% 대 20%로 나누어 딥러닝 학습을 수행한다. 딥러닝 학습을 수행한 후 손실 함수 그래프와 정확도 그래프를 출력하고 세 종류의 석재 이미지에 대해 딥러닝 학습 모델의 예측 결과를 출력하였다.

IoT 센서의 시계열 데이터 정확도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분류 기법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lassification Scheme to improve Time Series Data Accuracy of IoT Sensors)

  • 김진영;심이삭;윤성훈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7-62
    • /
    • 2021
  • 인공지능을 위한 병렬연산 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인공지능 적용 분야가 다양한 방향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IoT센서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인공지능이 도입되고 있다. 하지만 시간에 따른 데이터의 중요도가 달라지는 IoT 시계열 데이터 특성상 기존의 인공지능 학습 기법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본 과제에서는 IoT 센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시간가중치기반 및 사용자 상태값 기반 인공지능 처리기법을 연구한다. 상기 기법을 통해 기존 인공지능 학습을 적용시키는 것 보다 높은 센서 정확도를 확보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해, 해당 연구를 기반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 학습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분야로의 확장을 기대할 수 있다.

스트립 바이너리에서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컴파일러 정보 추출 기법 (Extracting Scheme of Compiler Information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in Stripped Binaries)

  • 이정수;최현웅;허준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25-29
    • /
    • 2021
  • 스트립 바이너리는 디버그 심볼 정보가 삭제된 바이너리이며, 역공학 등의 기법을 통한 바이너리 분석이 어렵다. 기존의 바이너리 분석 툴은 디버그 심볼 정보에 의존하여 바이너리를 분석하기 때문에 이러한 스트립 바이너리의 특징이 적용된 악성코드를 감지하거나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트립 바이너리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너리 파일의 바이트 코드가 컴파일러 버전, 최적화 옵션 등에 따라 매우 상이하게 생성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효과적인 컴파일러 버전 추출을 위해 스트립 바이너리 대상으로, 전체 바이트 코드를 읽어 이미지화 시킨 후 이를 합성곱 신경망에 적용, 정확도 93.5%을 달성하여 스트립 바이너리를 기존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Unsupervised feature selection using orthogonal decomposition and low-rank approximation

  • Lim, Hyunki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77-8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비지도 특징 선별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 비지도 방식의 특징 선별 기법들은 특징을 선별하기 위해 가상의 레이블 데이터를 정하고 주어진 데이터를 이 레이블 데이터에 사영하는 회귀 분석 방식으로 특징을 선별하였다. 하지만 가상의 레이블은 데이터로부터 생성되기 때문에 사영된 공간이 비슷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방법들에서는 제한된 공간에서만 특징이 선택될 수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직교 사영과 저랭크 근사를 이용하여 특징을 선별한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가상의 레이블을 직교 사영하고 이 공간에 데이터를 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더 주요한 특징 선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영을 위한 변환 행렬에 저랭크 제한을 두어 더 효과적으로 저차원 공간의 특징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비용 함수를 설계하고 효율적인 최적화 방법을 제안한다. 여섯 개의 데이터에 대한 실험 결과는 제안된 방법이 대부분의 경우 기존의 비지도 특징 선별 기법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KAB: Knowledge Augmented BERT2BERT Automated Questions-Answering system for Jurisprudential Legal Opinions

  • Alotaibi, Saud S.;Munshi, Amr A.;Farag, Abdullah Tarek;Rakha, Omar Essam;Al Sallab, Ahmad A.;Alotaibi, Majid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6호
    • /
    • pp.346-356
    • /
    • 2022
  • The jurisprudential legal rules govern the way Muslims react and interact to daily life. This creates a huge stream of questions, that require highly qualified and well-educated individuals, called Muftis. With Muslims representing almost 25% of the planet population, and the scarcity of qualified Muftis, this creates a demand supply problem calling for Automation solutions. This motivates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o solve this problem, which requires a well-designed Question-Answering (QA) system to solve it. In this work, we propose a QA system, based on retrieval augmented generative transformer model for jurisprudential legal question. The main idea in the proposed architecture is the leverage of both state-of-the art transformer models, and the existing knowledge base of legal sources and question-answers. With the sensitivity of the domain in mind, due to its importance in Muslims daily lives, our design balances between exploitation of knowledge bases, and exploration provided by the generative transformer models. We collect a custom data set of 850,000 entries, that includes the question, answer, and category of the question. Our evaluation methodology is based 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e use metrics like BERTScore and METEOR to evaluate the precision and recall of the system. We also provide many qualitative results that show the quality of the generated answers, and how relevant they are to the asked questions.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딥러닝 기반 차량용 AR 매뉴얼 (Deep Learning based Vehicle AR Manual for Improving User Experience)

  • 이정민;김준학;석정원;박진호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125-134
    • /
    • 2022
  • 본 논문은 주로 사용되는 AR 콘텐츠의 증강 방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차량 실내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AR매뉴얼을 구현하고, 실공간과 가상 객체의 증강 정합도 향상을 위해 딥러닝 모델을 적용하였다. 차량 핸들의 로고를 딥러닝 학습을 통해 위치와 각도, 기울기 등과 관계없이 인식하고, 이를 중심으로 3차원 실내 공간좌표를 생성하여 실제 차량 부품 위에 정확히 가상버튼을 증강한다. 여기에 동일 학습모델을 기반으로 차량의 주요 경고등 심볼을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함께 구현하여 차량용 AR매뉴얼로서의 기능성과 활용성을 높인다.

CNN 기반 전이학습을 이용한 뼈 전이가 존재하는 뼈 스캔 영상 분류 (Classification of Whole Body Bone Scan Image with Bone Metastasis using CNN-based Transfer Learning)

  • 임지영;도탄콩;김수형;이귀상;이민희;민정준;범희승;김현식;강세령;양형정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1224-1232
    • /
    • 2022
  • Whole body bone scan is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nuclear medicine imaging to evaluate bone metastasis in cancer patients.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a VGG16-based transfer learning classifier for bone scan images in which metastatic bone lesion was present. A total of 1,000 bone scans in 1,000 cancer patients (500 patients with bone metastasis, 500 patients without bone metastasis) were evaluated. Bone scans were labeled with abnormal/normal for bone metastasis using medical reports and image review. Subsequently, gradient-weighted class activation maps (Grad-CAMs) were generated for explainable AI. The proposed model showed AUROC 0.96 and F1-Score 0.90, indicating that it outperforms to VGG16, ResNet50, Xception, DenseNet121 and InceptionV3. Grad-CAM visualized that the proposed model focuses on hot uptakes, which are indicating active bone lesions, for classification of whole body bone scan images with bone metast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