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den Design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21초

우리 나라 사적지 환경해설 현황과 방문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김인호;안동만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0권2호
    • /
    • pp.191-212
    • /
    • 1997
  • The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in historic sites will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management strategy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users of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which surround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on the status and visitor's awareness of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in historic sit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the questionnaire to 487 visitors who visited 14 historic sites including palace, royal tomb, and others(Kyongbok Palace, Changdok Palace, Changgyong Palace, Toksu Palace, Unhyon Palace, Donggunung, Soonung, Honinung, Sonjongnung, Yongnung, Chongmyo shrine, Sajik Park, Suwon Castle, Namhan Mountain Castle) at October 26th, 27th in 1996, the field survey of 14 historic sites, and the interview.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 sites that were carried out this research were mainly the signs, interpretive publications, but Changdok Palace(the Secret Garden)have been only implemented the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by guide. Generally, the techniques of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in historic sites were not various, and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for visitor were not implemented effectively. Second, from the questionnaire analysis, visitors who visited 14 historic sites were not concerned with signs being used as typical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media in historic sites, bu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accessibility and location of signs relatively. Also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number, graphic, and color of signs than the other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atisfaction analysis through re-grouping question item about signs, visitors were the most satisfied with the accessibility of signs, but were not the most satisfied with the design of signs.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o the satisfaction about the design and management of signs and comprehensive satisfaction of signs by age group. This results suggested that new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media should be planned and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desire and need by age group. Fourth, it was studied that visitors had not experience of various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and most visitors agreed to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diverse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and improving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 PDF

대학주변 원룸형 다가구주택의 실내소음수준 실태 (Present Condition of Indoor Noise Level in One-Room Type Multi-Family Housings around Campus)

  • 최윤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91-198
    • /
    • 2005
  • The present study is a preliminary research improving the dwelling quality of one-room type multi-family housings around the university campu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of Indoor noise level using · residents' responses and field measurements. The respondents are 104 residents living in one-room type multi-family housings. The field measurements on equivalent noise level of indoor and outdoor were carried out in 6 subject house units during the $26th\~28th$ of November 2002.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sidents show relatively non-positive responses at evening and night on the present condition of indoor noise. 2) They answer 'living equipment foise' and 'water hammer' as major types of indoor noise of house unit. 3) Outdoor noise levels, basic factor of noise environment in 6 subject buildings were distributed $52.8\~65.3dB(A)Leq_{5min}$ and were inappropriate to the standard for environmental noise, $55 dB(A)Leq_{5min}$. 4) Indoor noise levels of subject house units were measured as $27.5\~63.5dB(A)Leq_{5min}$, the average of each house unit except one house unit was higher than the level feeling as noise, 40dB(A). 5)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s of indoor noise levels between subject house units were caused by 'residents' living noise', 'living equipment noise', 'water hammer', and 'walking and talking noise in stairs and corridors'. 6)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la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noise environment in one-room type multi-family housing around the campus. For example, soundproof construction (including double window with pair glass and balcony), outdoor garden with trees and water for increasing natural sound, interior materials with sound absorbing power to absorb living noise, soundproof pipe or double surface pipe for decreasing 'water hammer', and noiseproof floors, etc. are required.

자연과의 소통적 관점에서 본 타운하우스에서 거주자 치유를 위한 계획방법 (The Plan Method for Residents in Townhouse Focused on the Communicational Viewpoint with Nature)

  • 박인지;서지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13-2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re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lanning of townhouse and the healing method that affects residents for communicating with natural environment, in order to propose resident-focused communication with nature for hea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ression of nature elements can be divided into 'direct' and 'indirect' and healing effects through nature can be divided into 'body' and 'psychology'. The healing method of residents through nature was classified in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ing through openness, familiarity, comfort, and stability. Second, as an expression method according to townhouse planning, the arrangement plan induced active communication with nature through the arrangement according to topography and a common garden. In terms of construction plan, a bigger window or door than that of other residential spaces was installed on a wall, ceiling or opening to directly bring the nature of outside visually for more communication. Third, with regard to healing methods of townhouse, 'openness' which reduces depression and increases self-esteem, expands the view of residents. 'Familiarity', the healing method that can relieve the fatigue of eyes and bring psychological warmth and comfort, makes us feel familiar through the pattern and texture of woods and stones that are natural materials. 'Comfort' which heals residents by creating an outside space and bringing the nature elements through a huge window can provide psychological healing such as eased tension in daily life as well as physical healing such as vitamin D synthesis and the recovery of physiological function. Also, 'Stability' gives a comfortable feeling by applying the colors of finishing materials inside or seeing the colors of surrounding nature as it is through big windows. Finally, in order to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 objectively, a follow-up study conducting a survey on the residents of townhouse is needed.

존 월리엄 워터하우스 회화에 표현된 팜므 파탈 패션 이미지 (Femme Fatale's Fashion Image in John William Waterhouse's Works)

  • 남윤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25
    • /
    • 2008
  • John William Waterhouse (1849-1917) is a painter renown for his romantic beautiful femme fatale images in the late 19th century in Engl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shion in Waterhouse's femme fatale images. Waterhouse displays the devilism of femme fatale by the symbols of a wicked woman. He emphasized how wicked she is by means of water such as lake, river, and sea as well as symbols associated with demons such as forest, cave, naked woman, long hair, a monster-headed woman looking like an animal, water lily, and garden. On the other hand, he illustrates the woman's style as an image of a typical feminine beauty. Expressing naturally a fine-curved, immature girl's body with marvel-like white and clear skin in a kneeling down or crouching passive rose and depicting it as an innocent and fragile feminine image, he created a passive and lovely image of a young girl. With her eminent beauty and sex appeals, she lured men into danger. Words such as evil, women, and death had been used in describing her as femme fatale to emphasize her wickedness as well as to deliver the meaning across from the inside and to the outside. They also described her as a type of woman with body posture and fashion corresponding to the sexual ideology during the Victorian Age. His description of this fashion image was to show that femme fatale's fashion, which represents attraction and fatality, does not necessarily translate to an active fashion style that emphasizes sensuality. It also tends to minimize resistance and feelings of being threatened. Therefore, it allons us to acknowledge that even girlish body with innocent and frail-looking fashion can be a form of femme fatale, and that fashion styles is essential in forming the image of femininity.

  • PDF

공동주택에 적용 가능한 한옥 평면기술에 관한 연구 (Study of apartment plan technology adopting structural element of Hanok)

  • 박경현;노영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366-6371
    • /
    • 2014
  • 본 논문은 공동주택에 적용 가능한 한옥 평면기술에 관한 연구로서, 기존의 장식적인 요소로서의 한옥 특성들을 구조적인 측면으로 분석하여 규칙을 제안하고 이를 공동주택의 평면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존 지붕선이 미적으로 분석되었다면 이를 하지, 동지의 남중고도를 반영한 실내 일사깊이를 계산하여 지붕처마를 해석하였으며, 대청마루와 쪽마루, 툇마루의 각 방에 대한 비율을 현대 공동주택의 평면비율과 비교하였으며, 전통 기둥의 안쏠림과 귓기둥 솟음을 안정감과 착시효과 개선 방안이 아닌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지붕구조하중과 연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공동주택에 적용 가능한 평면을 제시하였으며, 기존의 평면이 가지고 있는 단점들을 극복하여, 도시미관상의 효과와 더불어 각 세대의 채광, 환기, 통풍을 개선하고 한옥의 안마당 요소를 접목하여 보다 진화된 평면을 제안하였다.

근대 부산에서 고관공원의 성립과 설계 사상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Design Conception of KoKwan Park in Modern Busan)

  • 강영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2-32
    • /
    • 2013
  • 본 연구는 근대 부산에서 발간된 釜山日報와 부산부(釜山府)에서 발간한 <釜山>을 분석하여 근대 부산의 삼대 공원으로 꼽는 고관공원의 성립과정을 밝히고 설계도면을 발굴하여 설계 사상을 분석한 연구다. 고관이라는 장소는 두모포 왜관이 설치되어 있던 곳이다. 부산의 개항과 함께 일본인 거류민의 고토의식을 고양하기 위하여 두모포 왜관의 이전에 진력하다가 급사한 대마도 사신 쓰노에 효고의 묘역과 초혼비를 고관 언덕에 세웠다. 1916년 그 장소를 모금으로 정비한 뒤 부산부(釜山府)에 기부하고, 그곳을 고관공원으로 부르면서 일반에게 공개되었다. 한편, 개항 전 해 부산에 와서 상공업에 종사하면서 거부가 된 오이케 츄스케의 수상기념동상이 부산 개항 50주년을 기념해서 고관공원 부근에 건설한다. 그 동상이 건설된 장소를 부산부에 기부하고, 이를 부산부는 고관공원으로 정비한다. 고관공원의 설계를 의뢰 받은 일본 오사카부 기사 오야 레죠는 고관공원의 설계하기 위하여 부산을 방문하고, 설계도를 부산부에 제출한다. 고관공원의 시설은 신사와 동상, 수목원과 온실, 아동유원 등이었다. 오야의 설계에 나타난 설계 사상은 성과 속의 병치, 산수 컨텍스트의 계승, 공원 컨텐츠의 보완, 국민국가 형성의 도구로 분석되었다. 고관공원은 설계자의 예산에 못 미치는 공사비 2만 원으로 완성한다. 하지만 구체적인 시설 정비에 대해서는 본 연구에서 밝히지 못했다. 1945년 해방 이후 이 장소는 동구청, 주택 등이 들어 서 예전의 흔적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고관 공원의 소멸 과정을 밝히는 것도 추후의 연구 과제다.

『소쇄원 48영』에 나타난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Biophilic Design in 『Soswaewon 48 Yeong』)

  • 이형숙;최미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8-66
    • /
    • 2022
  •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인간의 정신적 건강과 심리적 안정, 치유와 회복을 경험할 수 있도록 공간과 장소를 창조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바이오필릭 디자인 분석틀을 적용하여 소쇄원의 치유·회복적 환경요인과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바이오필릭 디자인 분류체계를 정립한 후 『소쇄원 48영』을 대상으로 내용분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8영에는 대나무, 소나무, 매화를 비롯한 식물 단어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냇물, 폭포, 연못 등의 다양한 물 형태의 단어 뿐 아니라 역동적인 물흐름이나 물과의 상호작용 등에 관한 단어도 높은 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시각적 경관요소와 미기후적인 요인, 후각이나 청각, 촉각 등의 감각적 자극요인, 계절적 변화를 통해 자연을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하는 공감각적이고 감성적인 요소들이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공간적 경험요소와 관련하여 경관 조망 및 감상, 사색과 소통, 풍류를 가능하게 공간 및 동선 배치는 소쇄원의 풍부한 감각자원들을 감상하고 경험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바이오필릭 디자인 관점에서의 소쇄원의 치유회복적 가치를 48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통공간의 치유요인들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람(嘉藍) 이병기 생가(李秉岐 生家) 수우재(守愚齋)에서 찾는 소박함과 선비정신 (The Rusticity and Spirit of Scholars Found at Suwoojae, the Birth House of Garam Byungi Lee)

  • 김정식;노재현;김정문;오현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1
    • /
    • 2010
  • 본 연구는 가람의 문학적 성과 중 자연관 등에 대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가람 이병기의 생가 수우재에 대한 실측 도면조사 그리고 현지답사 등의 고찰을 통하여 가람의 시조 문학적 특성의 가장 핵심어로 회자(膾炙)되는 '소박함'과 '선비정신'이 정원의장 및 공간특성에 어떠한 형태로 표출되고 있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우재의 입지는 용화산 줄기를 배산으로, 동쪽으로 노령산맥의 지맥에서 분기된 천호산을 안산으로 입지하며, 가람 시의 회고와 애착공간으로 자주 드러나고 있음에서도 엿볼 수 있듯이 수우재의 장소성은 인걸지령론(人傑地靈論)과 관련된 양택 명당과 관련 깊은 것으로 해석된다. 2. 조선 후기인 1844년에 가람의 조부 이조흥에 의해 건립된 수우재는 안채의 일부가 정지(부엌)와 이어진 ㄱ자형의 고패집으로 구성되었으며, 4칸의 사랑채와 3칸의 고방채, 안채의 뒤쪽에 장독대를 중심으로 여유로운 민가 정원구성을 이루고 있다. 3. 수우재 내 외의 공간구성은 담장과 건축물의 영역이 세분화된 가운데 동선 변화가 나타나고 있어 시선의 다양함을 느낄 수 있으며, 승운정을 비롯해 정원 곳곳에서는 가람의 존재감 및 일상생활이 녹아든 시적 세계가 담긴 철학적인 영역의 공간감이 감지된다. 4. 수우재의 주요 정원시설은 사랑채 전면에 위치한 단아한 장방형의 연지, 곳곳에 산치(散置)된 괴석 그리고 차경 목적으로 낮게 둘러친 담장 등에서 소박한 미의식을 바탕으로 한 선비의식과 자연친화적 정원 면모를 읽게된다. 5. 수우재의 조경식물 중 주로 연지 주변에는 배롱나무, 살구나무, 일본목련, 산수유, 향나무, 배롱나무, 동백나무 등이 식재되었으며, 내원에는 감나무, 대추나무, 자두나무, 모과나무 등 유실수 위주의 실용적 식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승운정 후면에 악센트용으로 식재된 수령 200년 이상의 탱자나무는 특히 주목된다. 6. 가람의 시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자연을 관조하는 시이고 다음이 풍류를 담은 시이듯 수우재 주변의 다채로운 자연경관적 요소는 가람 시의 시적공간으로 설정된 자연공간의 소재 및 주제를 전환되는 모티브적 환경으로 보이는데 이는 승운정기(勝雲亭記) 등에서도 나타나는 자족의 심정과 동일한 것으로 파악된다.

한국과 중국의 현대조경설계에서 전통문화의 적용방법 - 서울·북경 올림픽 공원을 중심으로 - (Application Methods of Traditional Culture in Modern Landscape Design of Korea and China -Focused on Seoul and Beijing Olympic Park-)

  • 유빙;심준영;왕교;이시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3호
    • /
    • pp.224-237
    • /
    • 2012
  • 본 연구는 서울 올림픽공원과 북경 올림픽공원을 대상으로 한 중의 현대조경설계에서 전통문화의 접근방법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연구대상지의 전통문화의 이용방법을 분석한 결과, 현대조경설계에서 전통문화에 접근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깊이 있는 전통문화의 이해가 필요하다. 대규모 조경설계의 경우 많은 경우 자기나라의 고유 특성을 표현해야 하므로 자국을 대표할 수 있는 문화를 잘 알아야한다. 이런 문화는 모든 사람들이 공유할만한 가치를 지닌, 세계에 보여줄 수 있는 문화들이다. 둘째, 전통문화와 향토지식을 존중한다. 전통문화와 향토지식을 존중하고 전통적인 경험을 받아들인다. 생활환경에서 정신적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자신의 환경에 대해 인지하는 것이 외지인이 아는 것보다 더 심오한 깊이를 가진다. 그래서 설계시 현지인과 문화전통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야 한다. 또한 합리적으로 지역적 환경을 이용하고, 입지의 자연조건에 순응해야 한다. 입지외의 생태요소는 입지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과 작용을 주므로 설계는 입지만을 고려해서는 안 된다. 위의 내용을 구현하는 방법은 대체적으로 네 가지가 있는데 보존, 재현, 모방, 반영으로 구분되어진다.

택지개발사업 조경설계공모 당선안과 조성 현장 비교를 통해 본 전통 재현의 양상 (The Study on Aspects of Representing Tradition in the Winners of Landscape Competitions of Land Development Project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Original Designs and the Constructions)

  • 김현희;소현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38-149
    • /
    • 2015
  • 본 연구는 전통 재현을 위한 합리적 계획 방향을 모색하고자 '의정부 민락 2지구 도시기반시설 조경설계공모(2008)'와 '화성 동탄 2지구 택지개발사업 1단계 조경기본 및 실시설계공모(2012)' 당선안의 설계 도판과 조성 현장을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설계 도판에 제시된 텍스트와 평면도, 입단면도, 다이어그램, 사례이미지, 투시도를 분석하여 재현 대상과 재현 경관, 재현 공간의 구성과 배치, 재현 시설물의 디자인과 식재 양상을 파악한 후 조성 현장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현 대상과 재현 경관의 유형은 대상지의 향토 경관으로써 농업 경관, 전통마을의 생활공간, 전통 수(水) 공간, 전통문화로 구분된다. 둘째, 재현 공간의 구성 및 배치와 관련하여 주변 토지이용과 지역문화유산이 고려된 전통 테마 공간들을 구성하였으나 조성 시 일부는 근린공원에 요구되는 운동공간이나 편의시설공간으로 변경되었다. 셋째, 재현 시설물의 경우 방지원도(方池圓島), 정자, 화계는 현장에 도입되었으나 창의적으로 디자인된 시설물은 설치되지 않았다. 넷째, 전통 식재 기법은 마을숲, 방지 내 원도, 화계에 수목을 도입하는 것에 집중되었다. 다섯째, 전문 자료를 토대로 한 주제 선정과 실험적 시설물 디자인 제시 등 전통 재현 작업이 진일보한 측면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여섯째, 조성 시 실현 가능한 주제 선정, 정보 해석을 위한 전문성, 전통 시설물의 창의적 디자인 등 앞으로 이루어질 전통 재현 작업에 요구되는 과제들을 짚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