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usticity and Spirit of Scholars Found at Suwoojae, the Birth House of Garam Byungi Lee

가람(嘉藍) 이병기 생가(李秉岐 生家) 수우재(守愚齋)에서 찾는 소박함과 선비정신

  • Kim, Jung-Si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Kim, Jeong-M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 Oh, Hyun-Ky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김정식 (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김정문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 오현경 (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Received : 2009.11.24
  • Accepted : 2010.03.05
  • Published : 2010.03.0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authentic meaning, location, garden layout,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uwoojae(守愚齋), the birth house of Garam Byungi Lee, which was the very epitome of the traditional house structure based on literature review, field survey, and the existing measured drawings. The followings explain how rusticity and spirit of scholars, the core concepts of Garam's poetry, were featured in structural and spacial arrangements of Suwoojae as well as its location and physical layout. 1. Suwoojae is enclosed by Cheonho mountain which fans out of Noryoung mountains in East and located on the tail of Yongwha mountain in West. It has proved to be Yangtack Myoungdang according to the Poongsoo theory, Inguljiryoungron; The energy of earth at a certain location results in the better fortune together with the energy emitted from human body. 2. Suwoojae is an official local monument which was built in 1844, late Joesoen Dynasty by Joheung Lee, Garam's grandfather. Some parts of inner-structure connect with the kitchen in the shape of called Gopae. Suwoojae consists of 4 Sarangchae, 3 Gobangchae, and a Jangdokdae behind Anchae. 3. Since inner and outer walls of Suwoojae are distinctly separate from the main structure, its look varies significantly from different angles. Suwoojae, in its entirety, discloses Garam's philosophy, ideas, and ideology on life and the universe. 4. Apricot trees, Japanese-magnolias, aromatic-trees, crape myrtle, white-magnolias, camellia-trees were planted on the left of the walls, and persimmon trees, jujube trees, plum trees, quince trees were at the inner-yard. Especially, trifoliate orange trees a natural monument of Jeonrabukdo draw substantial attention from visitors. 5. The main garden facilities are located in front of Sarangchae: A rectangle pond(14.72m in length and 3.87m in height), the surroundings of the pond and Anchae, rocks that have distinctive shapes. In general, the garden was designed to incorporate the scenery around Suwoojae as a part of its structure and contain the love for nature and aesthetic sense. 6. It seems that the natural surroundings of Suwoojae had helped form motives of Garam's poetry and assisted him in finding subject-matters and identifying the themes of his works. This is well revealed in his poem, Seungwoonjungee.

본 연구는 가람의 문학적 성과 중 자연관 등에 대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가람 이병기의 생가 수우재에 대한 실측 도면조사 그리고 현지답사 등의 고찰을 통하여 가람의 시조 문학적 특성의 가장 핵심어로 회자(膾炙)되는 '소박함'과 '선비정신'이 정원의장 및 공간특성에 어떠한 형태로 표출되고 있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우재의 입지는 용화산 줄기를 배산으로, 동쪽으로 노령산맥의 지맥에서 분기된 천호산을 안산으로 입지하며, 가람 시의 회고와 애착공간으로 자주 드러나고 있음에서도 엿볼 수 있듯이 수우재의 장소성은 인걸지령론(人傑地靈論)과 관련된 양택 명당과 관련 깊은 것으로 해석된다. 2. 조선 후기인 1844년에 가람의 조부 이조흥에 의해 건립된 수우재는 안채의 일부가 정지(부엌)와 이어진 ㄱ자형의 고패집으로 구성되었으며, 4칸의 사랑채와 3칸의 고방채, 안채의 뒤쪽에 장독대를 중심으로 여유로운 민가 정원구성을 이루고 있다. 3. 수우재 내 외의 공간구성은 담장과 건축물의 영역이 세분화된 가운데 동선 변화가 나타나고 있어 시선의 다양함을 느낄 수 있으며, 승운정을 비롯해 정원 곳곳에서는 가람의 존재감 및 일상생활이 녹아든 시적 세계가 담긴 철학적인 영역의 공간감이 감지된다. 4. 수우재의 주요 정원시설은 사랑채 전면에 위치한 단아한 장방형의 연지, 곳곳에 산치(散置)된 괴석 그리고 차경 목적으로 낮게 둘러친 담장 등에서 소박한 미의식을 바탕으로 한 선비의식과 자연친화적 정원 면모를 읽게된다. 5. 수우재의 조경식물 중 주로 연지 주변에는 배롱나무, 살구나무, 일본목련, 산수유, 향나무, 배롱나무, 동백나무 등이 식재되었으며, 내원에는 감나무, 대추나무, 자두나무, 모과나무 등 유실수 위주의 실용적 식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승운정 후면에 악센트용으로 식재된 수령 200년 이상의 탱자나무는 특히 주목된다. 6. 가람의 시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자연을 관조하는 시이고 다음이 풍류를 담은 시이듯 수우재 주변의 다채로운 자연경관적 요소는 가람 시의 시적공간으로 설정된 자연공간의 소재 및 주제를 전환되는 모티브적 환경으로 보이는데 이는 승운정기(勝雲亭記) 등에서도 나타나는 자족의 심정과 동일한 것으로 파악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주)두산동아(2007). 동아대국어사전. 제5판: p261
  2. 강성애(1998). 조선시대 궁원의 괴석에 대하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강신술(1990). 조선시대 괴석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고규홍(2009). 가람 이병기 생가의 탱자나무. 월간 산림. 2009년 5월호: pp.36-39.
  5. 김미영(1999). 괴석도에 나타난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 회화작품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서봉(1976). 관상석의 미적 의미에 대한 고찰. 同大論叢. 6(1): 155-186.
  7. 김연옥(2000). 선비정신의 구현과 관조의 미학으로. 한국어문교육. 9: 375-395.
  8. 김용직, 정찬오(1984). 한국 현대시 요람. 서울: 博英社.
  9. 김지호(2006). 괴석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동아일보(1965). 6월 30일자.
  11. 민경현(1998). 主.從.添과 不等邊三角의 美. 서울: 도서출판 예경. pp.98-126.
  12. 朴趾源. 燕岩集 권10.
  13. 서유구(2005). 안대회역(2005). 산수간에 집을 짓고. 파주: 돌베개
  14. 오승희(1990). 가람 이병기 시조의 공간 연구. 서울: 비평문학. pp.317-332.
  15. 유홍준(1997).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3. 파주: 창작과 비평사.
  16. 李廉岐(1939). 가람시조집. 서울: 대동출판사.
  17. 李廉岐(1966). 가람문선. 서울: 신구문화사.
  18. 이선희(1993). 가람 이병기 시조에 나타난 전통성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19-253.
  19. 이성혜(1996). 괴석의 문학적 형상화 고찰. 문화전통논집. 4: 197-220.
  20. 이정환(2004). 전통적 서정성과 생명 미학; 가람 이병기론. 청람어문교육. 30: 379-401.
  21. 이종묵(2004). 조선시대 臥遊 文化 硏究. 진단학보. 98: 81-106.
  22. 이현우(2009). 추사고택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의미론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67: 94.
  23. 이희승편저(1994). 국어대사전. 제3판. 서울: 민중서림. p367.
  24. 전영옥(2004). 조선시대 괴석의 특성과 산수화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2): 1-12.
  25. 丁若鏞, 與猶堂全書 제1집 17권.
  26. 조종식(2002). 朝鮮初期 사대부의 이중적 자연관과 '와유'적 산수화의 변화. 미학. 33: 25-74
  27. 주강식(1984). 가람 이병기의 시조 미학. 한국어문교육학회지. 7: 345-362.
  28. 주남철(1999). 대우학술총서 425. 한국의 전통민가. 서울: 아르케. pp.15-26.
  29. 주남철(2009). 한국의 정원.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pp.63-71.
  30. 최승호(1999). 이병기, 근대에 대한 서정적 대응방식; 서정시의 본질과 근대성 비판. 서울: 다운샘. p190.
  31. 한글학회(2008). 우리말사전. 서울: (주)어문학. p230.
  32. 홍광표, 이상윤, 정운익(1991). 한국의 전통수경관. 서울: 태림문화사. p62.
  33. http://cafe.naver.com/museumstudy.cafe?iframe_url=/ArticleRead. nhn%3Farticleid=132.
  34. 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35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