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e use

검색결과 1,097건 처리시간 0.025초

게임 시나리오 편집기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ame Scenario Editor)

  • 박원섭;홍현기;황보택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15-125
    • /
    • 2010
  • 게임에서 시나리오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게임 시나리오 제작을 위한 범용적인 툴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게임 시나리오와 일반적인 시나리오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시나리오 UCC를 분석하여 게임 시나리오에 적합한 구조를 설계하였다. 또한 OSMU의 적용을 쉽게 하기 위해 XML로 게임 시나리오 구조를 정의 하였다. 정의한 시나리오 구조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나리오 편집기를 만들어 게임 시나리오를 작성한 후 시나리오 기반 게임 "필온라인"에 적용하였다.

자바를 이용한 2.5D 메타버스 게임 엔진 설계 및 구현 (2.5D Metaverse Game Engine using Java)

  • 한승훈;김은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60-268
    • /
    • 2007
  • 현재의 컴퓨터 및 모바일 분야의 게임 개발은 C/C++ 언어와 DirectX를 사용한 게임 개발을 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한된 개발 언어의 사용은 여러 유형의 게임 엔진 제작에 있어 게임 엔진의 다양화를 억제하는 요소가 된다. 본 논문은 제한된 게임 개발 언어의 사용을 다양화 시키는 목적으로 자바를 이용하여 게임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 자바의 특징 중 코드의 재사용성을 이용하여 게임 엔진에서의 코드 재사용과 확장성을 고려한 게임으로 비행기 전투 게임인 메타버스 게임 엔진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 PDF

보는 게임의 이용 속성에 관한 연구: 청소년의 이용동기와 만족, 게임 이용의도와의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 Attributes of Watching Game: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Motivati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 김형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95-108
    • /
    • 2021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보는 게임 이용동기를 탐색하고, 이용만족 및 이용의도와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청소년 27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청소년의 보는 게임 이용동기는 총 5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정보 습득 동기', '사회관계/멀티태스킹 동기', '게이머/크리에이터 선호 동기', '도피/습관 동기', '대리만족/재미 동기'였다. 둘째, 대리만족/재미 동기는 보는 게임의 이용만족,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게임이용량에 따라 이용동기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는 게임 시장의 활성화 요인을 탐색하고, 성인과는 다른 청소년만의 게임 이용심리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iewing Motivation, Viewing Commitment, Reviewing Intention and Game Use Intention of e-Sports Competition Broadcasting

  • Kim, Se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3호
    • /
    • pp.205-21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ing motivation, viewing commitment, re-audience intention, and game use intention of e-sports competition broadcast viewer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00 college students with experience watching broadcasting of e-sports competitions. After excluding inappropriate data from 8 out of 300 people, 292 people's data were used for final data processing. For data process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using SPSS 26 and AMOS 23, and then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We has the results were shown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ntertainment, social intercourse and vicarious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viewing commitment, but information has not significantly effect on viewing commit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viewing commi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reviewing intention and game use intention. Third, it was found that reviewing inten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game use intention.

초기 청소년의 게임사용 변화궤적과 자기통제력의 동시효과 및 지연효과 연구 (A Study on the Changing Trajectory of Game Use and the Current and Lag Effect from Self-Control during Early Adolescences)

  • 허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71-8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청소년의 성장에 따라 게임사용 변화궤적을 알아보고, 자기통제력이 학년 변화에 따른 게임사용 변화의 동시효과와 지연효과를 갖는지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잠재성장모형을 바탕으로 세 개의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가설을 검정하였다.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초등4 패널을 활용하여 4년간 반복추적 조사한 2844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a) 학년이 증가함으로써 게임사용 변화율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b)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게임사용의 초기치와 변화율이 높았다. 그리고 (c) 초기 게임사용과 게임사용 변화량 모두 학업성취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 게임사용변화에서 자기통제력의 동시효과는 항상 유의하였지만 지연효과는 일부만 유의하였다. 연구결과와 함께 컴퓨터 교육 분야에서 종단연구의 분석 연구사례를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 PDF

청소년의 Big Five 성격 유형과 자기 조절 성향이 게임 과용, 선용 행태에 미치는 영향 (Adolescents' Self-control and Big Five Personality Types Affecting Maladaptive and Adaptive Computer Game Use State)

  • 김영범;이상호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65-77
    • /
    • 2019
  • 컴퓨터 게임에 빠져든 청소년들은 대체로 게임 과용 상태나 선용 상태에 이르게 된다. 저자들은 이 두 게임 이용행태는 공통적으로 컴퓨터 이용시간과 관련이 있지만 그 정도는 청소년 개인마다 다르며 각자의 자기 조절 성향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저자들은 게임 이용시간이 그들의 게임 과용과 선용 행태에 영향을 미치고 그들의 자기 조절 성향이 이 두 관계를 조절하며, 개인의 그리고 자기 조절 성향은 다섯 가지 Big Five 성격 유형에 의해 예측되는 경로 모형을 연구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 모형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데이터는 국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생 999명을 대상으로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Big Five 성격유형 중 청소년들의 개방성, 성실성은 자기 조절에 정(+)의 영향을, 외향성, 불안성, 친화성은 부(-)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청소년들의 자기 조절 성향은 그들의 게임 이용시간이 게임 과용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음으로 조절했지만 선용 행태에 미치는 양의 조절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Big Five 성격 유형과 자기 조절 성향, 그리고 게임 이용시간의 관계 모형은 중독과 같은 그들의 게임 과용 행태를 예방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The Effect of Mobile MMORPG Characteristics on Flow Experience and Performance

  • LEE, Jeonghoon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8호
    • /
    • pp.35-44
    • /
    • 2019
  • Purpose -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mobile MMORPG market in recent year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mobile games through flow experi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game cont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cause of game use behavior changes is the flow experience which influences the duration of mobile game continuation. The flow experience and the influencing factors are divid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first, second-leading factors, and lagged factors. Results - The user's sense of challenge, skillfulness, concentration, and reality influenced the flow experience as a leading factor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MMORPG games. On the other hand, fun and preference were found to be the outcomes of the flow experience. This is because the game content is experienced not through passive enjoyment but by intentionally enjoying the game content. The flow experi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as in the previous study. Conclusions - This study found that the flow experience of game users is necessary for continuous use by organizing relationships of flow experience in mobile MMORPG users' gaming behavior.

A Study on the Interface Design of Preschool Children Educational Course-ware Based on User Experience and TAM

  • Deng, Qianrong;Cho, Dong-mi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528-53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preschool children in the interface design of educational game APP at the psychological level. The conceptual model is constructed through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o explore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when children are playing educational game APP. The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questionnaires collected after children used game. The research subjects were 3-6 years old children, and the research tool was the game app. Data collection under the guidance of their parents. The research shows that children educational game experience elements can effectively increase preschool children's psychological perception of educational games. Perceived ease of use also increases trust in educational games for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ronbach's Alpha and KMO were 0.969 and 0.955, and the P value was significant, which pass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2.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del fit index, Composite reliability, discriminant validity), we found that user experience is closely related to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3. The pat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proves that perceived ease of use play a key role in trusting preschool children educational game APP.

청소년의 게임이용과 학교생활 - 성별 차이와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 (Game Use and School Life of Korean Adolescents: Gender Difference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

  • 김경미;염유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753-765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게임이용이 학교생활 성실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영향을 조절하는 변인을 살펴보았다. 성별 집단으로 구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게임중독 변인은 여학생과 남학생 집단 모두에서 학교생활 성실도에 부(-) 방향의 영향을 미쳤다. 한편 게임시간은 남학생 집단에서만 부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선호 게임유형이나 게임이용 방식에 젠더 차이가 존재하는 측면을 반영한다. 또한, 사회적 관계 변인은 게임이용의 부정적 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 집단에서는 아버지와의 관계가 게임시간의 부적 효과를 조절했으며, 여학생은 어머니와의 관계가 게임중독의 부적 영향을 완화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남학생의 경우 사회적 관계 변인이 게임중독의 부정적 영향을 조절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게임이용의 효과에서 나타나는 성별 차이를 밝힘으로써 게임연구에서 젠더 특화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뒷받침했다.

중노년기 성인들의 컴퓨터 게임이용과 심리사회적 발달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uter Game Use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in Mid-to Later Adulthood)

  • 안정신
    • 한국노년학
    • /
    • 제30권3호
    • /
    • pp.727-741
    • /
    • 2010
  • 본 연구는 중노년기 성인들의 컴퓨터 게임이용 현황과 심리사회적 발달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부산 경남 지역에 사는 50세 이상의 중노년기 성인들을 대상으로 컴퓨터 게임이 이용과 자기존중감, 생성감, 심리적 복지감, 자녀관계, 그리고 손자녀관계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컴퓨터 게임을 이용하는 중노년기 성인들은 다양한 게임의 매력을 느끼고 게임이용이 삶의 다양한 영역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여 게임이용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둘째, 컴퓨터 게임을 이용하는 성인들은 이용하지 않는 성인들에 비해 더 높은 자기존중감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컴퓨터 게임이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자녀관계와 손자녀관계가 좋고, 생성감도 높으며, 심리적 복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여가활용의 일환으로 컴퓨터 게임에 관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시사점을 제공하는 측면에서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