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llate

검색결과 436건 처리시간 0.021초

사람의 Low Density Lipoprotein에 대한 녹차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toward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 박춘옥;진성현;류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50-858
    • /
    • 1996
  • 본 연구는 녹차를 열수로 추출하여 LDL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연구한 결과이다. 녹차 1.25 g에 열수 500 ml를 가하여 추출한 후 다시 500 ml를 가하여 재추출하였으며 이를 증발, 건조한 결과 추출액의 건물량은 4.67 mg이었다. 녹차잎의 함량이 1.25%가 되도록 조절한 녹차에는 항산화 활성이 강한 polyphenol 화합물중 (-) epicatechin gallate 54.1%, (-) epicatechin gallate 26.2%, (-) epigallocatechin 10.7%, (-) epicatechin 이 7.0% 및 catechin이 1.8% 함유되었다. Low density lipoprotein (LDL)의 산화에 있어서 LDL은 $CuSO_4$ 존재하에서 macrophage와 배양시켰더니 빠르게 산화를 일으켰다. 그러나 $5\;{\mu}M\;CuSO_4$ 매개 LDL의 산화에 50 및 $100\;{\mu}g/ml$ 농도의 GTE를 넣어 배양하면 거의 완전히 산화를 억제하였다. $5\;{\mu}M\;CuSO_{4}$ 존재하에서 산화시킨 LDL의 전기영동 이동거리는 native LDL보다 높았다. 또 50 및 $100\;{\mu}g/ml$ 농도의 GTE는 J774, human monocyte derived macrophags 및 vascular endothelial cells에서 유도되는 LDL의 산화를 억제하였다. $CuSO_4$ 및 cell 유도에 의하여 산화되는 LDL은 native LDL보다 더욱 많은 양이 human macrophage에 의하여 분해되고 GTE는 macrophage에 의한 $^{125}I-LDL$의 산화를 강력히 억제하였다. 그리고 GTE는 cell 매개 LDL의 macrophage에 의한 축적 또는 분해를 억제하였다. LDL을 $5\;{\mu}M\;CuSO_4$, 존재하에서 산화시킬 때 GTE를 50 및$100\;{\mu}g/ml$ 농도로 넣어 배양하면 공액 dienes의 생성이 억제되고, 또한 Oxid LDL macrophage derived human monocytes에서도 축적이 억제되었다.

  • PDF

저장조건에 따른 녹차음료의 기능성성분 변화 및 안정성 (Changes in Functional Constituents and Stability of Green Tea Beverage during Different Storing Conditions)

  • 고원준;고경수;김용덕;정관우;이상협;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21-426
    • /
    • 2006
  • 제주산 건조녹차를 $55^{\circ}C$에서 15분간 추출하여 여과한 다음 PET병에 밀봉하여 $4^{\circ}C$ 저온과 실내 및 실외에 각각 보관하면서 보존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라 L값은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a값이 감소하고 b값이 증가하면서 전체적인 색깔이 짙어졌으며, 실내에서 저장한 경우가 실외저장이나 저온저장보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더 짙어졌다. 녹차추출물 중의 주요 카테킨류로는(-)-epigallocatechin, (-)-epigallocatechin gallate, epicatechin, (+)-catechin, epicatechin gallate순이었으며, EGC의 함량비율이 전체의 53.8%이었다. 총 카테킨 함량은 저온저장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실내 및 실외 저장한 경우에는 $148.87{\mu}g/mL$에서 14주일 후에는 각각 133.98, $141.87{\mu}g/mL$로 10%, 4.7%가 감소하였다. 카페인 함량은 저장조건에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저장조건 및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 전자공여능은 저장방법과 저장기간에 관계없이 60% 이상의 효과가 있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90% 이상으로 가장 높았으며,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다가 pH 6.0에서는 아질산염 소거효과가 없어졌다. 3개월 이상 경과하더라도 색깔, 폴리페놀성분, 항산화작용등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95^{\circ}C$에서 10분간 살균으로 보관기간 중에 미생물의 증식이 인정되지 않아 저장안전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양한 유제품에 이용될 수 있는 녹차(Camellia sinensis)에서 추출한 EGCG(Epigallocatechin gallate)의 Cronobacter spp.와 Salmonella spp.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 효과에 관한 연구: 예비실험연구 (Antimicrobial Activity of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extracted from Green Tea (Camellia sinensis) against Cronobacter spp. and Salmonella spp. in Various Dairy Products: A Preliminary Study)

  • 김광엽;김영지;천정환;김현숙;김동현;이수경;김홍석;임진혁;송광영;강일병;정다나;박진형;장호석;서건호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69-74
    • /
    • 2016
  • The main constituent of tea catechins, EGCG [(-)-Epigallocatechin-3-gallate], could inhibit the growth of various microorganisms and differently affect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Antimicrobial activity of EGCG, a compound from green tea (Camellia sinensis) extract, against Cronobacter spp. and Salmonella spp. was studi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using EGCG as a natural food additive in various dairy products. In pure TSB culture, the growth of Cronobacter spp. was suppressed below the detection limit (1 log CFU/mL) depending on EGCG concentration ($600{\sim}800{\mu}g/mL$), after 5~16 days at $4^{\circ}C$. Similarly, the growth of Salmonella spp. was suppressed below the detection limit (1 log CFU/mL) depending on EGCG concentration ($400{\sim}800{\mu}g/mL$), after 5~16 days at $4^{\circ}C$.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GCG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additive to inhibit the growth of Cronobacter spp. and Salmonella spp. in various dairy products, such as yoghurt, cheese, dried infant powder, and so on.

혈관이식술 후 내막과다증식에 대한 Epigallocatechin-3-Gallate의 효과 (The Effect of Epigallocatechin-3-Gallate on Intimal Hyperplasia after Vascular Grafting)

  • 박한기;송석원;이미희;박종철;주현철;장병철;박영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4호
    • /
    • pp.256-263
    • /
    • 2007
  • 배경: 혈관내막과다증식은 혈관평활근세포가 내막에서 과다증식하여 나타나며, epigallocatechin-3-gallate(EGCG)는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EGCG는 혈관내막과다증식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상 및 방법: 다른 농도의 EGCG를 포함한 배양 배지에서 인간제대정 맥내피세포(HUVEC)와 쥐대동맥평활근세포(RASMC)를 배양하고, 세포증식과 이동속도를 측정하였다. 20마리의 개의 양측 경동맥에 자가경정맥을 이식하였으며, 실험군(n=10)에 대해서는 정맥도관을 이식 전 30분간 EGCG용액에 보관하였으며, 이식 후 300mM의 EGCG를 혈관주위에 도포하였다. 6주 후에 경정맥이식편의 내막과 중간막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결과: 내피세포와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은 EGCG에 의해 억제되었다.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성은 EGCG에 의해 억제되었으나, 내피세포의 이동성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동물실험 결과 대조군에 비해 EGCG군에서 내막의 두께가 얇았으며(p<0.05), 중간막의 두께는 두 군간에 차이가 얼었고, 내막/중간막의 두께비는 EGCG군에서 낮게 관찰되었다(p<0.05). 결론: EGCG는 혈관수술 후 혈관내막과다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억제하여 효과를 나타낸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EGCG는 혈관내막과다증식을 예방하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pigallocatechin-3-gallate의 화학안정성 및 세포독성에 미치는 각종 항산화제의 영향 (Modulation of Chemical Stability and Cytotoxic Effects of Epigallocatechin-3-gallate by Different Types of Antioxidants)

  • 김미리;강스미;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83-48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된 폴리페놀 화합물인 EGCG의 화학안정성, H2O2 생성능 및 세포독성에 대하여 다양한 항산화제와의 조합에 의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EGCG는 생리적 조건에서 갈색화합물로 산화되면서 불안정화되는데, catalase를 제외한 각종 항산화제제 SOD, ascorbic acid, NAC 및 GSH는 EGCG 갈색산화물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저해하였다. EGCG에 의해 생성되는 $H_2O_2$는 catalase에 의해 거의 완벽하게 제거되었으며, SOD와 NAC에 의해서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하지만 GSH 및 고농도의 ascorbic acid의 존재 시 오히려 $H_2O_2$ 수준이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EGCG의 HeLa 및 HT-29 세포에 대한 독성은 catalase, SOD 및 NAC 등과 같은 항산화제 존재 하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NAC에 의한 EGCG 세포독성의 감소는 첨가된 NAC의 농도 증가에 따라 더욱 두드러졌다. 그러나 GSH 존재하에 EGCG의 독성은 GSH와 EGCG농도에 따라 다른 조절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ascorbic acid에 의해서 EGCG의 세포독성이 약간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본 결과는 EGCG와 함께 처리된 다양한 항산화제들이 ROS의 소거 뿐만 아니라 EGCG 화학안정성 등 다른 요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항산화제의 존재 하에 변형된 EGCG활성에 대해 ROS관련 기작 외에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고려가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선인장열매 적색색소의 열안정성에 대한 항산화제의 효과 (Effect of Antioxidants on the Thermostability of Red Pigment in Prickly Pear)

  • 김인환;김명희;김흥만;김영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13-1016
    • /
    • 1995
  • Opuntia dillenii Haw의 열매를 시료로 하여 betacyanins의 온도에 따른 안정성과 N-propyl gallate, L-cysteine, ascorbic acid에 대한 농도별 항산화효과를 조사하였다. Betacyanins의 최대 흡광도는 $536{\sim}538\;nm$에서 일어났으며 $90^{\circ}C$에서 열처리 시간이 경과될수록 색소가 퇴색되면서 최대흡수파장이 자외선 영역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나타냈다. Betacyanins는 열처리 온도에 대해 1차 반응 속도식에 따라 분해되었으며 $50^{\circ}C$에서 $90^{\circ}C$까지 열처리 했을때 반응 속도 상수가 $1.56{\times}10^{-3}$분에서 $71.91{\times}10^{-3}/min$분으로 증가하고 반감기가 444.23분에서 9.64분으로 감소하여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열안정성이 저하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betacyanins의 활성화 에너지는 10.94 kcal/mole로 나타났다. N-propyl gallate, L-cysteine, ascorbic acid를 $0.01{\sim}0.3%$ 내로 첨가하여 $50^{\circ}C,\;70^{\circ}C,\;90^{\circ}C$에서 betacyanins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한 결과 $70^{\circ}C$$90^{\circ}C$에서 미약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며 모든 온도에서 ascorbic acid는 $2{\sim}10$배 정도의 반감기를 증가시켜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활성산소에 의해 유도된 흰쥐 뇌조직의 지질산화에 대한 식물체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Plants Extracts on Lipid Peroxidation of Rat Brain Tissue Induc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 김석중;한대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76-982
    • /
    • 2005
  • Sprague-Dawley 계열의 흰쥐를 perfusion시킨 후 분리한 뇌조직을 이용하여 뇌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식물체 및 항산화제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뇌의 산화적 손상 유도를 위해서는 활성산소원으로 $2.5{\mu}M$ ferrous sulfate와 7.5mM hydrogen peroxide를 뇌조직 homogenate에 첨가하였으며 손상의 정도는 malondialdehyde와 4-hydroxyalkenal 총 함량으로 표현되는 지질 과산화도(LPO)를 이용하였다. $37^{\circ}C$에서 10분간의 처리 시 LPO는 4.1에서 6.9nmol/mg protein 증가하였다. 한편, 식물체들의 뇌 손상 억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68종의 식용식물체로부터 수용성 추출물을 조제한 후 이를 활성산소 처리 전에 뇌 조직 homogenate에 첨가함으로써 지질산화 억제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엽채류에서는 아욱, 열무잎, 비름, 무순, 셀러리 등이, 근채류에서는 조림감자, 생강, 고구마 등이 80% 이상의 LPO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과채류와 과일에서는 풋고추, 꽈리고추, 쥬니키, 가지, 아보카도, 오렌지, 바나나 등이 60% 이상의 효과를 보였으며, 버섯류에서는 팽이버섯, 양송이버섯, 표고버섯, 새송이버섯, 느타리버섯 순으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32종의 항산화제 중에서는 (+)catechin(91%), (-)epigallocatechin gallate(85%), (-)epicatechin gallate(83%), kaempferol(83%), chlorogenic acid(78%), melatonin(75%), ${\alpha}-tocopherol(69%)$ 등이 산화적 뇌 손상 방어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BV-2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에 대한 녹차 유래 폴리페놀 EGCG의 억제 효과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e Gallate (EGCG) Prevented LPS-induced BV-2 Micoglial Cell Activation)

  • 박으뜸;전홍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40-64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녹차 유래 polyphenol 중의 하나인 epigallocatechine gallate (EGCG)를 이용한 신경염증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LPS로 유도된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로 분비되는 nitric oxide (NO)와 pro-inflammatory cytokine을 포함하여 iNOS, TNF-a와 IL-1b 유전자의 발현과 LPS 수용체인 TLR-4의 활성에 미치는 EGCG의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Latex beads를 이용한 phagocytotic activity를 확인한 결과 LPS로 유도된 미세아교세포 활성에 의한 식균활성이 EGCG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BV-2 미세아교세포 조건배지를 이용하여 도파민성 신경세포 SN4741의 세포 사멸확인에서도 EGCG에 의한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녹차 유래 polyphenol인 EGCG의 신경염증 반응억제효능과 신경퇴행성 질환 제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녹차 유래 polyphenol인 EGCG의 신경염증 반응과 그로 인한 신경 퇴행성 질환 제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Epigallocatechin-3-Gallate의 3T3-L1 세포에서 항산화 효소 활성 및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Antioxidant Enzyme Activity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Epigallocatechin-3-Gallate in 3T3-L1 Cells)

  • 김영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293-1299
    • /
    • 2017
  • Epigallocatechin-3-gallate(EGCG)는 녹차에 함유된 flavonoid 계열 화합물로, 녹차의 대표적인 유효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3T3-L1 세포에서 EGCG의 항비만 작용 및 항산화 효소 활성을 평가하였다. EGCG는 지방세포 분화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된 단백질인 $C/EBP{\alpha}$와 aP2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동시에 EGCG는 GSH의 활성을 유도하였으며, 항산화 효소인 SOD, CAT, GPx 및 GR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EGCG는 지방세포 분화 동안 활성산소종의 형성을 감소시켰다. 체내 phase II 효소인 HO-1과 GCLC는 EGCG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었다. 따라서 EGCG는 3T3-L1 세포에서 항산화 효소의 활성화를 유도하며 동시에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GCG는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이는 EGCG의 항산화 작용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작용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EGCG에 의한 항비만 효과와 항산화 작용을 연구한 본 연구는 녹차를 활용한 체지방 감소 효능을 지닌 식품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보존제 PHMB(polyhexamethylene biguanide)-EGCG(epigallocatechin gallate) 혼합물의 각막상피세포 급성독성 평가 (Acute Cytotoxicity Testing of Polyhexamethylene-biguanide (PHMG) and Epigallocatechin-gallate (EGCG) Mixture on the Cultured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

  • 김남열;이군자
    • 대한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31-541
    • /
    • 2018
  • 목적 : 항균제 polyhexamethylene Biguanide(PHMB),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및 PHMB/EGCG 혼합물의 각막상피세포(primary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HCEpiCs)에 대한 급성독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각막상피세포를 0.00001~0.005% PHMB, 0.001~5% EGCG 및 0.00005% PHMB/0.05% EGCG 혼합물이 각각 포함된 배양액에서 30분, 60분, 120분 및 240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각막상피세포를 고정한 다음 Draq 5로 염색하고 공초점현미경과 ImageXpress $Ultra^{TM}$를 이용하여 세포형태를 관찰하여 세포생존율과 세포자살(apoptosis)을 비교하였다. 결과 : 배양된 각막상피세포는 0.00005% 이하의 PHMB 농도 및 0.05% 이하의 EGCG 농도에서는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0.00005% PHMB/0.05% EGCG 혼합물이 포함된 배양액에서 급성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240분 배양시킨 경우에는 손상된 각막상피세포 수가 증가하고 생존 세포의 수는 감소하였다. 결론 : 항균 시너지 효과를 갖는다고 보고된 0.00005% PHMB/0.05% EGCG 혼합물의 경우 각막상피세포에 대한 급성독성은 없었으나 만성효과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