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S model

검색결과 1,824건 처리시간 0.026초

우물수원 보호구역의 범위 결정에 대한 지형정보시스템의 응용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pplication to Wellhead Protection Area Delineation)

  • 김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27-34
    • /
    • 1998
  • 우물수원의 보호구역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GIS를 이용한 지하수 모의모형ㅇ과 Arc/Info의 Grid 함수를 이용하였다. GIS를 이용한 지하수 모형은 Arcview GIS를 사용하여 모형의 시간변화를 고려하고 자료의 입력 및 조작, 모의, 결과의 표시 등을 GIS내에 통합한 모형으로 개발하였다. 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미국환경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적용시킨 결과 지하수 모형에서 계산된 수두 분포와 우물의 영향권을 계산한 값이 본 논문에서 계산한 값과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어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모형은 GIS내에서 모든 처리가 이루어지므로 우물수원의 보호구역의 범위를 설정하는데 효율적인 방법이 될수 있을 것이다.

  • PDF

하천유역에서 GIS를 이용한 GIUH 모형의 해석 (Analysis of GIUH Model by Using GIS in River Basin)

  • 허창환;이순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321-330
    • /
    • 2002
  • 본 연구는 미 계측유역이나 자료가 결핍된 유역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지형학적 순간단위도(GIS-GIUH)를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IHP 위천대표시험유역의 6개지점(동곡, 고로, 미성, 병천, 효령, 무성)에 대하여 강우-유출해석을 실시하였다. 지형학적 순간단위도의 분석에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GIS-GIUH 모형과 Rosso-GIUH 모형을 이용하여 계산된 결과를 실측유출수문곡선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GIS-GIUH 모형이 Rosso-GIUH 모형보다 실측수문곡선에 더욱 접근하여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었으며, GIS-GIUH 모형의 매개변수인 N=3.25( $R_{B}$/ $R_{A}$)$^{0.126}$ $R_{L}$$^{-0.055}$과 K=1.50( $R_{A}$/( $R_{B}$. $R_{L}$))/$^{0.10}$.(( $L_{{\Omega}}$+ $L_{{\Omega}-1}$)/V)$^{0.37}$을 지형특성의 관계식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GIS-GIUH 모형이 미계측 유역에서 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되었다.

GIS를 이용한 분산형 강우-유형 모형의 개발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ing Using GIS)

  • 김경숙;박종현;윤기준;이상호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6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법을 수자원모델링 분야에 적용 시키고자 하였다. 강우에 따른 정확한 유출량의 예측은 수자원의 개발이나 관리분야에 있어서 매 우 주요하므로 지금까지 다양한 강우-유출 모형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이 중 지형적인 특성인자 를 최대한 고려한 분산형 모형은 기존의 모형인 집중형 모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효용이 인정되어 왔다. 그러나 대유역에 적용할 경우에는 방대한 량의 공간자료를 처리하여야 하므로, 현실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지형에 맞는 분성형 강우-유출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GIS 기법을 활용하 여 입력 자료를 생성, 입력 조작하고 이들을 병합시켜 사용자들이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수 있도 록 통합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의 개발에는 실시간(on-line) 운영과 off-line 보정기능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로 데이타베이스, 모형, GIS 그리고 그 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병합시켜 신속한 최종결과는 도출시키는 on-line 운용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소양강 댐 유역의 1990년 9월 홍수를 대상으로 하여 댐 지점 의 유입 수문 곡선을 모의한 결과 사후 모형 보정단계를 거치지 않았음데도 불구하고 관측된 자 료와 비교적 잘 일치하여 실무에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GIS를 이용한 미시적 수준의 교통모형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Model by Using GIS)

  • 김병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79-89
    • /
    • 2015
  •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미시적 수준에서 교통현상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미시적 수준의 교통모형을 설계 및 구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차량이 GIS 도로 중심선 자료를 차선, 이동속도 등이 반영된 도로 네트워크 자료로 인식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였으며, 운전자의 주행 행태를 반영하기 위해 환경인식모형, 차두시간분포모형, 차량추종모형 및 차로변경모형으로 행태모형을 설계 및 구현했다. 모형의 정확도 평가는 종로구의 자하문길을 대상으로 관측자료와 예측 자료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시간대별 이동 속도를 매우 정확하게 예측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구현된 GIS 기반의 미시적 수준의 교통모형은 교통 탄소 배출량 분석, 교통류 평가 및 도시기반시설 입지 계획등의 다양한 분야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IM과 GIS간 공간정보 상호운용성 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related to interoperability development strategy between BIM and GIS)

  • 강태욱;윤준희;이우식;최현상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21-27
    • /
    • 2013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uggest the strategy for interoperability between BIM and GIS. For this, we analyzed the interoperability issue including the neutral information model such as CityGML, LandXML, IFC and identified the structure differences as the viewpoint of use-case, object, geometry, property by using UML(Unified Modeling Langauge) and reverse engineering. To solve the interoperability problem between BIM and GIS model which is the neutral GIS format, We proposed the consideration including converter, information mapping filter based on ontology dictionary, automation by using API.

모의 GIS 내부에 유전체 파티클 존재시 방전진전에 따른 방사전자파 특성 (Characteristics of Radiated Electromagnetic Waves with discharge propagation in Model GIS being Insulation Particle)

  • 박광서;윤대희;이현철;김이국;이동현;김기채;이광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2006-2008
    • /
    • 2004
  • In this paper the imitated electric defect was simulated by insulation particle in the model GIS. This paper studied the distribution of frequency spectrum of the radiated electromagnetic waves using antenna (30-2,000[MHz]) and spectrum analyzer. From results of this study, a new method was introduced for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radiated electromagnetic waves in accordance with discharge progress of each defect in the model GIS. It was confirmed that detecting partial discharge and estimating discharge progress can be possible in the model GIS.

  • PDF

RS와 GIS-AGNPS 모형을 이용한 소유역에서의 비점원오염부하량 추정 (Estimating Pollutant Loading Using Remote Sensing and GIS-AGNPS model)

  • 강문성;박승우;전종안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02-114
    • /
    • 2003
  • The objectives of the paper are to evaluate cell based pollutant loadings for different storm events, to monitor the hydrology and water quality of the Baran HP#6 watershed, and to validate AGNPS with the field data. Simplification was made to AGNPS in estimating storm erosivity factors from a triangular rainfall distribution. GIS-AGNPS interface model consists of three subsystems; the input data processor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models. and the post processor Land use patten at the tested watershed was classified from the Landsat TM data us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that adopts an error back propagation algorithm. AGNPS model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the GIS databases, and additional parameters calibrated with field data. It was then tested with ungauged conditions. The simulated runoff was reasonably in good agreement as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And simulated water quality parameters appear to be reasonably comparable to the field data.

개방형 GIS 컴포넌트에서의 공간분석 컴포넌트 연동 (Interoperability of OpenGIS Component and Spatial Analysis Component)

  • 민경욱;장인성;이종훈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49-62
    • /
    • 2001
  • 공간정보 및 속성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서비스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은 최근 네트워크 및 분산환경의 기술개발과 더불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지리정보시스템은 컴포넌트 기반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OGC(OpenGIS Consortium)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한 다양한 사양과 토픽을 제시하고 있다. OGC의 사양을 충족하는 개방형 지리정보시스템은 다양한 컴포넌트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컴포넌트 기반의 시스템에 추가적인 요소로써 공간분석 컴포넌트를 구현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에서 공간분석기능은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전체 시스템의 성능적, 기능적 평가 기준이 되기도 한다. OGC에서 제시하는 기본 공간데이터 모델인 Geometry 모델은 기본 기하공간객체를 관리하는 모델이며, 다양한 분석 컴포넌트들의 연동을 위하여 확장이 필요하다. 즉 기본 기하공간데이터 모델뿐 아니라, 기본 위상공간데이터 모델을 제공해야 하며 또한 이러한 기본 위상공간모델을 다양한 분석기능에 맞게끔 확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개방형 GIS컴포넌트의 전체 아키텍쳐와 이와 연동되는 분석 컴포넌트로써 네트?p 분석, TIN 분석 컴포넌트에 대하여 살펴보고 또한 기본 기하 데이터 모델인 OGC Simple Feature Geometry의 확장과 연등방법에 대하여 논의해 볼 것이다.

  • PDF

Comparison between the Application Results of NNM and a GIS-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Prediction of Ground Level SO2 Concentration in a Coastal Area

  • Park, Ok-Hyun;Seok, Min-Gwang;Sin, Ji-Young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111-119
    • /
    • 2009
  • A prototype GIS-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DSS) was developed by using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 a model management system (MMS), a knowledge-based system (KB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a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The method of selecting a dispersion model or a modeling scheme, originally devised by Park and Seok, was developed using our GIS-based DSS. The performances of candidate models or modeling schemes were evaluated by using a single index(statistical score) derived by applying fuzzy inference to statistical measures between the measured and predicted concentrations. The fumigation dispersion model performed better than the models such as industrial source complex short term model(ISCST) and atmospheric dispersion model system(ADMS) for the prediction of the ground level $SO_2$ (1 hr) concentration in a coastal area. However, its coincidence level between actual and calculated values was poor. The neural network models were found to improve the accuracy of predicted ground level $SO_2$ concentration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fumigation models. The GIS-based DSS may serve as a useful tool for selecting the best prediction model, even for complex terrains.

재사용을 위한 지자체 GIS 공통모델 연구 (Development of the Common Model for Reuse of GIS Components in Local Governments)

  • 김은형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81-98
    • /
    • 1999
  • 본 연구는 지자체 GIS의 재사용 방안의 제시를 위하여 기존 연구에서 분석된 장애요인을 해결할 수 있는 공통모델의 정립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인 컴포넌트의 개발전략을 제시하였다. 지자체 GIS 재사용을 위한 공통모델의 구성요소는 컴포넌트 아키텍쳐 공통 업무프로세스모델, 공통 업무지원기능모델 및 데이터모델로써 시스템으로 구축할 업무의 흐름, 지원기능 및 사용자료에 대한 최소한의 표준안이다. 이러한 공통모텔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아직 활용할 수 있는 컴포넌트가 부족하고, 기존에 개발된 시스템을 계속 활용해야 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 이러한 현실적인 관점에서 출발하여 지자체 GIS 재사용을 (1) 지자체 내 시 구청간의 재사용, (2) 같은 환경에서 구축된 타 지자체 시스템 재사용, (3) 표준인터페이스에 의한 컴포넌트의 자유로운 교체의 세 가지 시나리오를 개념화하고, 그에 따른 재사용전략을 제시하였다. 컴포넌트의 구현은 물론이거니와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재사용 전략이 현실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컴포넌트의 인증제도, 컴포넌트의 소유권 및 판매방법 등 해결되어야 할 향후과제들이 많이 남아있다. 하지만 중앙정부기관, 지자체, 민간기업 등이 중복투자의 방지와 보다 경쟁력 있는 기술 보유를 목적으로 서로 협력한다면 가까운 시일 내에 재사용이 현실화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