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BL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7초

SrTiO3GBL Capacitor의 유전성에 대한 2차 열처리 조건의 효과 (Effect of the Second Heat Treatment Condition on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SrTiO3GBL Capacitor)

  • 윤기현;안일석;이남양;오명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97-304
    • /
    • 1989
  •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SrTiO3 GBL Capacitor have been investigaetd as a function of the second heat treatment time and the amount of Ta. The grain size of semiconductive SrTiO3 after sintering at 1,46$0^{\circ}C$ for 4 hours in N2/H2 atmosphere increased as the amount of Ta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as the amount of Ta exceed 0.01 mole. Also, the dielectric constant after the second heat treatment showed the same tendency. When the semiconductive SrTiO2 was second heat treated at 1,10$0^{\circ}C$ in air with varying time, the dielectric constant increased as the second heat treatment time increased up to 60 minutes, and then decreased as the time became longer than 60 minutes.

  • PDF

은행 잎, 종실 및 외종피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and Fractions of Ginkgo biloba Leaves, Seed and Outer Seedcoat)

  • 박샛별;조규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13
    • /
    • 2011
  • 천연 항균 소재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은행잎, 은행종실 그리고 은행 외종피를 methanol, ethanol, water 추출물을 얻은 후 8종의 세균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검색하였다. 은행잎, 은행 외종피의 methanol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는 항균활성이 검색된 반면, 은행잎과 은행 외종피의 물추출물, 은행 종실의 모든 추출물에서는 항균활성이 검색되지 않았다. 은행잎의 경우 모든 균에 있어 methanol 추출물이 ethanol 추출물보다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methanol 추출물은 K. pneumoniae와 B. cereus에서 강한 항균 효과를 보였다. 은행 외종피의 경우 methanol 추출물은 B. cereus, S. aureus, B. subtilis, L. monocytogenes 균에, ethanol 추출물은 B. cereus, S. aureus, B. subtilis, K. pneumoniae균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항균성이 우수했던 은행잎과 은행 외종피의 methanol 추출물을 용매별로 순차 분획하여 항균효과를 검색한 결과 각각의 균주에 대해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분획추출물에서 항균효과가 검색되었으며, 특히 은행 외종피의 chloroform 분획추출물에서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또한 은행잎과 은행 외종피의 methanol 추출물 용매분획물의 최소저해농도(MIC)를 측정한 결과, 각각의 chloroform 분획에서 가장 낮은 MIC 값을 보였으며, 특히 은행 외종피의 chloroform 분획물은 B. cereus에 대해 $62.5{\mu}g$/mL로 본 실험 내에서 가장 낮은 MIC를 보였다. 은행잎과 은행 외종피 methanol 추출물의 chloroform 분획물($2,000{\mu}g$/mL)을 각 균주의 생육배지에 첨가하여 배양한 결과 세포가 팽윤되거나 일부 세포벽이 완전히 파괴된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적용을 목적으로 한 공용매상 전해액과 전기화학적 특성 (Enhance Potential Stability of Organic Electrolyte in EDLC by Using Co-solvent and Its electrochemical properties.)

  • 이현석;육영재;김한주;박수길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4-164
    • /
    • 2014
  •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e are those; electrical stability, ion conductivity, viscosity, high temperature work, cell application. Theoretically, GBL has high oxidation voltage. Also, boiling point of GBL is $206^{\circ}C$ and flash point is over $280^{\circ}C$.

  • PDF

Poly(vinylidenefluoride-hexafluoropropylene)계 겔-전해질의 열적, 전기적 특성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Poly(vinylidenefluoride-hexafluoropropylene)-based Gel-Electrolytes)

  • 김영완;최병구;안순호
    • 폴리머
    • /
    • 제24권3호
    • /
    • pp.382-388
    • /
    • 2000
  • 이온전도도가 높으며 균일하고 또 기계적 강도와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전해질막을 얻기 위하여 poly(vinylidenefluoride-hexafluoropropylene) (PVdF-HFP) 공중합체를 전해질의 지지체로 선택하고, LiClO$_4$ 염이 포함된 ethylene carbonate (EC)와 ${\gamma}$-butyrolactone (GBL)의 흔합용매를 사용하여 겔-전해질을 제조하였다. 다양한 조성의 겔-전해질에 대하여 이온전도도, 열분석 및 선형주사전위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온전도도는 30PVdF-HFP+7.8LiClO$_4$+62.2EC/GBL 전해질막에서 3.8$\times$$10^{-3}$ S$cm^{-1}$ /로 가장 높았다. 열분석 결과에서 대부분의 시료는 대략 10$0^{\circ}C$ 정도까지는 안정하였으며, 특히 염은 고분자 사슬과 민감하게 반응하여 PVdF 결정질의 고온용융점을 낮추는 건을 확인하였다. 리튬 금속과 전해질 사이의 부식에 의해 생성된 부동태막에 의해 계면저항이 시간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anodic stability는 대략 4.5 V vs. Li까지 안정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 PDF

Improvement in Long-Term Stability and Photovoltaic Performance of UV Cured Resin Polymer Gel Electrolyt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 Park, Geun Woo;Hwang, Chul Gyun;Jung, Jae Won;Jung, Young Me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2호
    • /
    • pp.4093-4097
    • /
    • 2012
  • We introduced a new UV-cured resin polymer gel as an electrolyt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 that is cured with UV irradiation to form a thin film of UV-cured resin polymer gel in the cells. The gel film was characterized and its potential for use as an electrolyte in DSSCs was investigated. This new UV-cured resin polymer gel was successfully applied as a gel polymer electrolyte in DSSCs overcoming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liquid electrolytes in typical DSSCs. The effect of ${\gamma}$-butylrolactone (GBL) on the long-term stability and photovoltaic performance in DSSCs using this UV-cured resin polymer gel electrolyte was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ionic conductivity and Raman spectra of the UV-cured resin polymer gel electrolyte with the addition of 6 wt % GBL to the UV-cured resin polymer electrolyte showed good long-term stability and photovoltaic performance for the DSSCs with the UV-cured polymer gel electrolyte.

상전환법에 의한 다양한 기공크기를 갖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막의 제조와 수계 및 비수계 용액 내에서의 막 성능 (Formation of 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s with Various Pore Sizes by a Phase Inversion Process and Membrane Performance of Aqueous and Non-aqueous Solution System)

  • 이규호;김인철
    • 멤브레인
    • /
    • 제15권1호
    • /
    • pp.22-33
    • /
    • 2005
  • 비대칭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막을 상전환법으로 제조하였다. 도포용액은 PVDF를 용매인 N-ethyl-2-pyrrolidone (NMP)와 비용매인 1,4-dioxane, diethyleneglycol dimethyl ether (DGDE), acetone, (equation omitted)-butyrolactone(GBL)의 혼합용매에 녹여서 제조한다. 여러 첨가제가 도포용액 특성, 투과특성과 막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응고제인 물과 1,4-dioxane, DGDE, acetone과의 상용성이 NMP보다 낮아서 기공크기가 작아진다. 첨가제의 양을 조절하여 기공크기를 변화시켰다. 혼합용매(수계 및 비수계)가 막의 투과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용액점도뿐만 아니라 표면장력도 용매 투과특성에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었다.

효과적인 오피스 SW 교육을 위한 CBT 기반의 RTE(Real Training Environment)시스템 (RTE System based on CBT for Effective Office SW Education)

  • 김성열;홍병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75-387
    • /
    • 2013
  • 인터넷과 스마트기기의 발달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는 다양한 분야의 학습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새로운 매체에 최적화된 학습컨텐츠를 필요로 하고 있다. 현재 다양한 IT관련 교육 중 가장 많은 온오프라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는 오피스 SW 분야이다. 그러나 교수자는 단순한 기능 전달에 중점을 두어 개념을 설명하고, 실무활용과는 무관한 형식적인 예제를 실습한 후 예제에 대한 풀이를 반복함으로써 효과적인 실무활용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우리는 RTE(Real Training Environment)시스템이 적용된 LET(Live EduTainer)를 활용하여 학습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 단순한 지식전달을 넘어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여 교육에 대한 '몰입'이 가능하도록 GBL(Game Based Learning)을 접목한 교육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교수-학습법과 구체적인 솔루션 구성 및 설계과정에 대하여 기술한다. 이를 통해 획기적인 오피스 S/W 교육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염료태양전지용 고온안정성 전해질 (High Temperature Stable Eletrolyte for Dye Solar Cell)

  • 한치환;이학수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20-224
    • /
    • 2009
  • The effect of addition of single and binary additives on the performance of dye-sensitized $TiO_2$ solar cells based on 1,2-dimethyl-3-propylimidazolium iodide (DMPII) in ethylene carbonate (EC) and gamma-butyrolactone (GBL) has been evaluated at different cell temperatures in the $30-120^{\circ}C$ range. The electrolyte containing a single additive, 2-(dimethylamino)-pyridine (DMAP) showed best performance, which showed further enhancement for an electrolyte containing binary additives, DMAP and 5-chloro-1-ethyl-2-methylimidazole (CEMI) in equal molar ratio. The performance of the dye sensitized solar cell (DSC) based on electrolyte containing binary additives were found to be better than an acetonitrile based electrolyte. The dependence of different photovoltaic parameters (Voc, Jsc, ff, n) of the DSC upon temperature has been studied over the $30-120^{\circ}C$ range and only a small decrease in conversion efficiency has been observed. Thus the electrolyte containing binary additives (DMAP, CEMI) in EC/GBL solvent and show better performance in the investigated temperature range ($30-120^{\circ}C$).

  • PDF

$SrTiO_3$계 Grain Boundary Layer Capacitor에서 2차 열처리 산화물의 Frit화가 유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Frit of the 2nd Firing Oxide in $SrTiO_3$-Based GBLC on the Dielectric Properties)

  • 유재근;최성철;이응상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61-268
    • /
    • 1991
  • The dielectric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SrTiO3-based grain boundary layer (GBL) capacitor were investigated, and SrTiO3 GBL capacitor was made by penetrating the Frit (PbO-Bi2O3-B2O3 system). The Nb2O5-doped SrTiO3 ceramics were fired for 4-hours, at 145$0^{\circ}C$ in H2-N2 atomsphere to get semiconductive ceramics. The grain size of SrTiO3 sintered at reduction atmosphere had increased as the amount of Nb2O5 increases and then decreased as the amount of Nb2O5 exceeded 0.2 mole%. Insulating reagents which contained PbO-Bi2O3-B2O3 system frit and oxide mixture were printed on the each semiconductive ceramics and fired at varying temperature and for different holding time. The optimum dielectric properties could be obtained by second heat treatment at 110$0^{\circ}C$ for 1 hour, when frit paste was printed. A SrTiO3-based GBLC had the apparent permitivity of about 3.2$\times$104, the dielectric loss of 0.01~0.02 and the stable temperature coefficient of capacitance. The influence of frit paste on dielectric properties was similiar to that of oxide paste but the stability of temperature property of capacitance was impro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