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 120.1 + 1.4

검색결과 1,061건 처리시간 0.03초

동백나무의 발아 및 유묘 생장에 미치는 종자 무게 및 저장방법의 영향 (Effect of Seed Weight and Storage Method on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Camellia japonica)

  • 강희경;최수지;송홍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3-39
    • /
    • 2020
  • 본 연구는 동백나무의 대량번식 및 양묘를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종자 무게와 저장방법에 따른 발아특성과 유묘생장을 조사하였다. 실온저장과 4℃건조저장의 발아율은 종자 무게에 따라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4℃ 습윤모래저장의 발아율은 종자무게가 무거울수록 높아졌으나 저장 120일에 매우 낮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4℃ 습윤여과지저장의 발아율은 60일, 90일, 120일 저장 모두 80% 이상으로 높았고, 종자 무게에 따른 발아율의 차이도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평균발아일수는 실온저장과 건조저장에서 30일 내외의 긴 시간이 요구되었지만 습윤저장(모래, 여과지)은 13일 내외로서 짧았다. 엽수, 엽건물 중, 줄기직경, 뿌리건물중은 종자 무게 1.21 g 이상부터 평균치를 상회하였고, 줄기길이는 종자 무게 1.01 g, 식물체건물중은 종자 무게 0.81 g, 줄기건물중은 종자 무게 0.61 g부터 유묘의 평균치를 상회하였다. 유묘 생장은 종자 무게가 무거울수록 양호하였으며, T/R율은 종자가 무거울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동백나무 유묘의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종자 무게 및 크기를 구체화할 필요성이 있고, 파종을 위한 종자저장은 4℃ 습윤여과지저장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증류수 혹은 0.25N NaClO$_2$에서 가열한 볏짚의 가금에서의 영양소이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ce Straw Heated in Water or 0.25N-NaClO$_2$ on the Nutrient Utilization of Diets in Chicks)

  • 고태송;김해수;김성규;라채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5-30
    • /
    • 1985
  • 가금에서의 영양소리용성에 미치는 볏짚구성분의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증류수 혹은 0.25N NaClO$_2$ 800$m\ell$당 볏짚 100g의 비율로 침지하여 135$^{\circ}C$ 3.2kg/$\textrm{cm}^2$ 압력밑에서 각각 30, 60 및 120분 autoclave를 이용하여 가열하고 세척 건조(증류수 혹은 NaClO$_2$-30, 60 및 120-볏짚) NDF, ADF 및 리그닌량을 조사하였다. 갓부화한 단관백색 레그흔 숫병아리에 10일간 시판 병아리 사료를 급여하고 계속해서 8일간 밀기울(기초), 섬유소(선분), 무처리볏짚, 증류수-30-볏짚 및 NaClO$_2$-30-볏짚이 각각 17.0% 함유된 실험사료를 급여했다. 증류수-30, 60 및 120-볏짚의 건물손실율은 각각 9.7, 12.1 및 13.3%였으나, NaClO$_2$-30, 60 및 120-볏짚에서는 각각 8.8, 18.7 및 19.4%로, NaClO$_2$-60 및 120-볏짚에서는 증류수볏짚의 1.5배가 되었다. 증류수 및 NaClO$_2$ 볏짚의 건물손실은 주로 무처리볏짚의 세포내용물과 헤미셀루로스의 용출에 기인하는 것이었다. 증류수-30-볏짚을 급여한 병아리는 무처리 혹은 NaClO$_2$-30-볏짚을 급여한것에 비해서 증체량이 높고 사료요구량이 낮았다. 질소밸런스 및 축적율은 증류수-30-볏짚을 급여한것에서 무처리 및 NaClO$_2$-30-볏짚을 급여한것에 비해서 높았고, 조지방소화율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무처리, 증류수-30 및 NaClO$_2$-30-볏짚을 급여한 병아리의 MEn/GE는 각각 71.9, 72.9 및 70.4%였으며, 대사체중(kg 0.75)당 MEn섭취량은 각각 307.3, 296.2 및 291.4 KCal가 되었다. 이때 kg 0.75당 1일 단백질축적량은 각각 1.647, 1.969 및 1.560g이었다. 한편 증류수-30-볏짚을 급여한 병아리의 단백질 1g 축적에 상당하는 MEn는 30.56Kcal로써 무처리 및 NaClO$_2$-30-볏짚을 급여한것의 36.90 및 37.58Kcal보다 낮았다. 따라서 무처리볏짚에는 에너지 이용성 혹은 단백질축적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 혹은 성질이 존재하며, 이것은 볏짚을 끓임으로써 제거된다는 것을 시모고 있다.

  • PDF

열처리한 국산 감초추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Heated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Fisch) Extracts in Korea)

  • 우관식;황인국;노영희;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89-695
    • /
    • 2007
  • 국산 감초를 처리온도, 시간 및 첨가수분함량을 변수로하여 열처리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와 에탄올로 추출하여 성분 및 생리활성 변화를 분석하고 반응표면분석으로 최적화 조건을 조사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추출수율은 $130^{\circ}C$, 3시간, 가수량 50%일 때 10.90%로 무처리구의 0.80%보다 높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은 $120^{\circ}C$, 2시간, 가수량 20%로 처리한 시료가 25.00%로 무처리구의 15.80%보다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높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120^{\circ}C$, 2시간, 가수량 20% 처리구가 845.67 mg/100 g으로 무처리구의 277.00 mg/100 g보다 높았다. 항산화활성($IC_{50}$)은 열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120^{\circ}C$, 2시간, 가수량 20% 처리구에서 0.53 g/L로 무처리구의 12.34 g/L보다 매우 높게나타났다. 총항산화력(AEAC)은 모든 처리구에서 무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120^{\circ}C$, 2시간, 가수량 40% 처리구에서 1,584 mg AA eq로 무처리구의 1,263 mg AA eq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감초의 항산화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 등을 증가시키기 위한 최적의 열처리 조건은 $120^{\circ}C$, 2시간, 가수량 $20{\sim}40%$로 판단되었다.

원적외선 처리가 상황버섯과 영지버섯 추출물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ar-infrared Ir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Phellinus igniarius and Ganoderma lucidum)

  • 이승철;주영철;김정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86-389
    • /
    • 2007
  • 원적외선 조사가 상황버섯과 영지버섯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30, 60, 90 그리고 120분 간격으로 원적외선을 조사를 한 후, 물 추출물을 제조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상황버섯 추출물은 원적외선 처리시간에 비례하여 갈변도, 총당, 총페놀, 라디컬소거능 및 환원력이 증가하였으며, 120분 처리 후 갈변도는 2.1 배, 총당은 2.6배, 총페놀은 2.2배 , 라디컬 소거능은 2.2배, 환원력은 1.6 배 증가하였다. 또한, 원적외선 120분 조사에 의해 영지버섯 추출물의 갈변도, 총당, 총페놀 및 라디컬소거능도 각각 1.7배, 2.0배, 2.3배, 1.3배 증가하였다. 그러나 환원력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적인 효과는 상황버섯에 비해 다소 낮았다. 이상의 결과 원적외선 조사가 상황버섯과 영지 버섯의 당류 및 페놀화합물의 추출을 촉진하여 항산화능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120미리 운동에너지탄용 소진탄피 조성이 연소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CC Composition on Burning Characteristic for 120mm Kinetic Energy Ammunition)

  • 권순길;황준식;최상경;김진석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46-151
    • /
    • 2005
  • The burning rates of combustible cartridge cases(CCCs) of 120mm kinetic energy ammunition were measured by CBT(Closed Bomb Tester). The burning coefficient was 1.4 for CCC fabricated by Post Impregnation(PI) process, and 1.0 for that by Beater Additive(BA) process. The BA process CCC showed the fixed burning coefficient of 1.0 in spite of changing the composition of CCC. As the Korean Future Main Battle Tank is requiring the high penetration performance compared with that of KlAl tank ammunition(K276), CCC was designed to have higher impetus composition than that of K276 composition(525J/g). The optimum impetus was 600J/g when considering the increases of pressure and muzzle velocity with increasing impetus. When impetus of CCC by changing the composition increased from 525J/g to 600J/g, the muzzle velocity of 12m/s at pressure increase of 3500psi increased in case of using SCDB propellant.

발효당 생산을 위한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2단 산당화 (Two-step Acid Hydrolysis Method for Producing Fermentable Sugar from Lignocellulosic Biomass)

  • 박장한;김준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1호
    • /
    • pp.1-5
    • /
    • 2016
  •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효소를 사용하지 않고 발효당을 얻기 위해 황산을 이용한 당화를 수행하였다. 바이오매스로는 pinus rigida와 palm농업 부산물인 EFB를 사용하였다. 산을 이용한 당화에서는 당의 과분해 생성물을 줄이기 위한 당화조건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2단 산당화를 수행하였다. 산을 이용한 1차 가수분해에서는 72 wt%의 황산을 이용하여 $80^{\circ}C$에서 반응시켰을 경우 가장 높은 당화율을 보였고 pinus rigida와 EFB 각각 11.49 wt%, 32 wt%의 당화율을 보였다. 이후 1차 가수분해에서 얻은 액상을 9~15 wt%의 산농도가 되도록 묽혀 $50{\sim}120^{\circ}C$의 온도로 2차 가수분해를 진행했다. 2차 가수분해시 9%의 황산농도와 $120^{\circ}C$의 온도조건에서 80분간 반응시켰을 때 최종 글루코오스 당화율은 pinus rigida의 경우 86.8 wt.% (39 g/L), EFB의 경우 95.3 wt%(32.4 g/L)를 얻을 수 있었다. 각 단계에서 분석된 결과는 물질수지를 통해 확인하고 당화 효율을 비교해 보았다.

Candida sp. SY16의 휴식세포를 이용한 생물계면활성제 Mannosylerythritol Lipid의 생산 (Production of a Biosurfactant Mannosylerythritol Lipid by Resting Cell of Candida sp. SY16.)

  • 김희식;전종운;최우영;오희목;이기형;권태종;윤병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7-171
    • /
    • 2002
  • Candida sp. SY16의 휴식세포를 이용하여 탄소원만 포함되 있는 증류수로부터 많은 양의 생물계면활성제(mannosylerythritol lipid: MEL)를 생산할 수 있었다. 플라스크를 이용한 생산반응의 경우, 20 g/l의 휴식세포를 75g/1의 soybean oil이 포함되있고, pH는 4~5범위에서 반응할 때, 가장 높은 생산수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높은 농도($PO_4$-P 농도 198 $\mu\textrm{g}$/ml 이상)의 인은 MEL 생산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화된 조건으로 jar fermentor를 이용하여 휴식세포를 반응한 경우 생물계면활성제를 120 h 반응 후, 58 g/l로 얻을 수 있었으며, 그 생산성은 성장세포를 이용한 회분식 발효의 경우보다 높았고, 배양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었다.

강원지역 재래종 들깨의 생육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Local Perilla Collected in Kangwon province of Korea)

  • 남상영;김인재;김민자;이철희;김태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13-218
    • /
    • 2004
  • 들깨 유전자원 특성평가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강원지역 들깨 42점을 수집 분석하였다. 성숙일수는 109∼140일 이었으며, 116∼130일이 95.2%로 대부분 이었고, 115일 이하와 131일 이상은 각 2.4% 이었는데, 109일로 조숙종인 양구군 수집종 1종을 선발하였다. 경장은 80∼140 cm로 수집품종 간에 차이가 많았으며, 111∼130cm가 54.8%로 가장 많았고, 111 cm 미만 28.6%, 131 cm 이상은 16.7%순 이었다. 5 cm 이상의 화방군수는 23∼120개로 수집품종간에 차이가 컸으며, 40∼70개가 57.2%로 가장 많았고, 40개 미만과 100개 이상은 각각 16.7%, 11.9%이었는데, 영양군 서면과 양양읍 수집종이 각각 118과 120개로 가장 많았다. 화방군당 삭수는 20∼40개 이었으며, 31∼35개가 38.1%로 가장 많았다. 화방군장은 5.1∼9.0 cm로 분포하였고, 6.1∼8.0 cm가 64.3%로 가장 많았다. 1,000립중은 1.7∼3.8g으로 수집품종간 차이가 컸으며, 2.4∼2.6 g이 35.7%로 가장 많았고, 3.0∼3.2 g은 19.1% 이었다. 3.8 g으로 가장 무거운 화천군 수집종 1종을 선발하였다.

찰옥수수 $F_1$의 지방산 조성과 항산화 활성 (Fatty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Waxy Corn (Zea mays L.) $F_1's$)

  • 서영호;김인종;민황기;이해익;박승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15-1420
    • /
    • 1999
  • 우리나라 찰옥수수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성분육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310개 $F_1$의 지방산 조성과 항산화 활성, 페놀화합물, tocopherols, carotenoids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linoleic acid, 불포화지방산은 각각 $14.6{\pm}2.5%,\;2.5{\pm}1.0%,\;24.8{\pm}4.2%,\;55.6{\pm}5.4%,\;81.8{\pm}3.1%$였고, 항산화 활성과 페놀화합물, tocopherols, carotenoids의 함량은 각각 $22.8{\pm}5.9%,\;36.2{\pm}11.5\;{\mu}g/mL,\;120.3{\pm}27.7\;{\mu}g/mL,\;0.4{\pm}0.6\;{\mu}g/mL$였다. Linoleic acid와 oleic acid 간에는 고도의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항산화활성은 페놀화합물과 tocopherols 함량과는 고도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carotenoids의 함량과는 유의성이 없었다

  • PDF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동충하초 열수추출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for Hot Water Extraction Process of Cordyceps militari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윤광섭;정용진;이기동;신승렬;구재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4-188
    • /
    • 2002
  • 동충하초를 음료로 개발하기 위한 전단계로 열수추출공정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최적화하였다. 추출시간에 따라서는 큰 변화가 없어 추출온도와 농도를 요인변수로 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열수추출액의 당도(brix)와 고형분 함량은 농도에 따라서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액의 탁도와 총당, 환원당 및 단백질 함량은 낮은 농도에서 추출수율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반응변수 모두 농도에 대하여는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립된 이차 회귀식에 대한 적합성 결여분석 결과 수립된 반응표면 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동충하초 열수추출에 있어 고형분함량은 2.0~2.4%, brix 1.5~l.8, 총당 l14~120 $\mu\textrm{g}$/g, 환원당 10.5~11.0 $\mu\textrm{g}$/g 그리고 단백질함량 110~l15 $\mu\textrm{g}$/g인 영역을 만족하는 조건은 추출온도 95~10$0^{\circ}C$, 농도 4.0~4.1%로 결정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