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usarium mycotoxin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1초

곤포사일리지에 발생하는 곰팡이가 생산하는 진균 독소 (Mycotoxins Produced by Fungi Contaminated on the Round Bale Silage)

  • 노환국;서성;김민경;서건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4권1호
    • /
    • pp.85-92
    • /
    • 2012
  • 곤포 사일리지에서 분리한 Penicillium, Aspergillus, Fusarium속 균의 곰팡이독소 생산 여부를 조사한 결과, Penicillium paneum 균주의 배양여액에서 citrin과 patulin이 검출되었고, Aspergillus flavus 균주의 배양여액에서는 아프라톡신이 검출되었으나 A. fumigatus가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글리오톡신은 검출되지 않았다. Fusarium proliferatum 균주는 Fusarium속 균이 일반적으로 많이 생산하는 fumonisin, zearalenone, deoxynivalenol 등 곰팡이 독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Evaluation of Barley and Wheat Germplasm for Resistance to Head Blight and Mycotoxin Production by Fusarium asiaticum and F. graminearum

  • Seul Gi, Baek;Jin Ju, Park;Sosoo, Kim;Mi-Jeong, Lee;Ji-Seon, Paek;Jangnam, Choi;Ja Yeong, Jang;Jeomsoon, Kim;Theresa, Le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8권6호
    • /
    • pp.637-645
    • /
    • 2022
  • Fusarium head blight (FHB) is one of the most serious diseases in barley and wheat, as it is usually accompanied by the production of harmful mycotoxins in the grains. To identify FHB-resistant breeding resources, we evaluated 60 elite germplasm accessions of barley (24) and wheat (36) for FHB and mycotoxin accumulation. Assessments were performed in a greenhouse and five heads per accession were inoculated with both Fusarium asiaticum (Fa73, nivalenol producer) and F. graminearum (Fg39, deoxynivalenol producer) strains. While the accessions varied in disease severity and mycotoxin production, four wheat and one barley showed <20% FHB severity repeatedly by both strains. Mycotoxin levels in these accessions ranged up to 3.9 mg/kg. FHB severity was generally higher in barley than in wheat, and Fa73 was more aggressive in both crops than Fg39. Fg39 itself, however, was more aggressive toward wheat and produced more mycotoxin in wheat than in barley. FHB severity by Fa73 and Fg39 were moderately correlated in both crops (r = 0.57/0.60 in barley and 0.42/0.58 in wheat). FHB severity and toxin production were also correlated in both crops, with a stronger correlation for Fa73 (r = 0.42/0.82 in barley, 0.70 in wheat) than for Fg39.

가래떡에 오염된 곰팡이와 효모의 분리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ungi and Yeast Contaminated in Rice Cake (Garaetteok))

  • 조아현;김중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1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가래떡에 오염된 곰팡이를 분리 동정한 후 곰팡이독소 생산 가능성을 조사하여 식품 이물 중 곰팡이에 대한 위험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가래떡은 전라남도 소재 떡 제조업체에 곰팡이로 추정되는 이물이 발견되어 반품된 제품을 사용하였다. 곰팡이 이물을 채취한 후 Potato dextrose agar, Malt extract agar, Czapek yeast extract agar에 접종하고 25℃에서 7일간 배양하여 순수 분리 결과를 판단하였다. 순수 분리가 확인된 집락에 대해 광학현미경으로 포자의 미세구조를 관찰하여 형태학적으로 동정하였다. 유전학적 동정은 ITS primer를 이용하여 증폭된 PCR 산물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Colony-1과 2는 각각 배지에서 동일한 성상을 나타내어 순수분리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Colony-1은 출아세포가 관찰되어 효모로 판정하였다. Colony-2는 방추형의 분생자가 관찰되어 Fusarium 속 곰팡이로 판정하였다.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Fusarium 속 곰팡이가 총 76건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Fusarium solani가 53건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형태학적 동정 결과와 유전학적 동정 결과를 바탕으로 Colony-2는 Fusarium spp.로 동정되었고 그 중 Fusarium solani로 추정되었다. Fusarium 속 곰팡이는 Nivalenol, Zearalenone, Fumonisin 등의 곰팡이독소를 생산하여 구토, 설사, 암 등을 유발한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래떡에서 분리된 Fusarium 속 곰팡이에 의한 곰팡이독소 생산 가능성은 상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곰팡이 이물이 보고되면 곰팡이를 분리 동정하여 곰팡이독소를 생산할 수 있는 균종인지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행정조치를 강화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귀리, 수수, 율무, 기장의 수확기에 발생하는 Fusarium 곰팡이독소 오염도 조사 (Survey on Fusarium Mycotoxin Contamination in Oat, Sorghum, Adlay, and Proso Millet during the Harvest Season in Korea)

  • 이미정;위치도;함현희;최정혜;백지선;임수빈;이데레사;김점순;장자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3-22
    • /
    • 2020
  • 잡곡의 Fusarium 곰팡이독소의 오염 조사를 위해, 총 244개 잡곡시료(귀리, 수수, 율무, 기장)를 수확기 포장에서 2017년과 2018년에 수집하였다. 데옥시니발레놀(DON), 니발레놀(NIV), 제랄레논(ZEA)은 면역친화컬럼법과 U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푸모니신(FUM)은 QuEChERS 방법과 L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잡곡 시료 중 귀리의 NIV 오염수준은 120.0-3277.0 mg/kg로 다른 잡곡에 비해 가장 높았다. 율무에서는 DON이 최대 730.0 ㎍/kg 검출되었다. 기장의 NIV과 ZEA의 오염빈도는 각각 61.5%와 57.9%로 높았으나 평균 오염량은 각각 75.6 ㎍/kg과 21.5 ㎍/kg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잡곡 시료 중 수수는 DON, ZEA, FUM의 오염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2 종 이상의 Fusarium 독소 중복 오염률이 70.0%로 잡곡 평균 29.9%에 비해 높았다. 잡곡 재배포장에서 Fusarium 독소오염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독소 발생 모니터링과 함께 오염예방기술 개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수확후 곡물류에 발생하는 진균독소의 탐색과 방제 III. 수확후 곡물류(밀, 콩, 옥수수)에서 발생하는 진균독소균의 방제 (Survey and Controll of the Occurrence of Mycotoxins from Postharvest Cereals III. Control of Mycotoxin Producing Pathogens in Postharvest Cereals(Wheat, Bean, Corn))

  • 백수봉;김은영;정일민;유승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31-535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 of chitosan, grape fruit seed extracts(GFSE) and sodium hypochloride gas on the control of mycotoxin producing pathogens occurred kin postharvest grains. Among the treatments, sodium hypochloride gas showed the highest control effect on wheat, soybean and corn see maintained in natural conditions after postharvest and GFSE had a little control effect, but chitosan treatment had no effect. Sodium hypochloride gas exhibited the strongest control effect on the major mycotoxin producing pathogens such as Penicillium spp. Aspergillus spp. and Fusarium spp., whereas GFSE had a little control effect. Sodium hypochloride gas appeared to be effective when the grains were treated with this gas more than 24 hours.

  • PDF

저장 중 겉보리에 발생하는 곰팡이와 곰팡이독소 변화 (Change of fungi and mycotoxin in hulled barley under different conditions and period)

  • 함현희;백지선;이미정;이데레사;홍성기;이승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57-864
    • /
    • 2017
  • 본 연구는 곰팡이독소에 안전한 보리 저장법을 수립하기 위해 다양한 저장환경 중 겉보리에 발생하는 곰팡이와 곰팡이독소를 측정하였다. 두 지역에서 수집한 겉보리를 상온 창고 2곳, 저온창고, $15^{\circ}C/65%$ 항온항습실 및 종자저장고에 6개월간 저장하면서 장소별 온도, 상대습도 및 곡물수분함량을 측정하였으며 0, 1, 3 및 6개월 후 겉보리에 오염된 곰팡이와 곰팡이독소를 조사하였다. 저장 중 보리에 오염된 주요 곰팡이 속은 Fusarium, Epicoccum, Alternaria 및 Drechslera 이었다. 상온창고는 저장 후기로 갈수록 Fusarium 과 Alternaria 속 곰팡이가 큰 폭으로 감소한 반면 Drechslera는 증가하였다. 저온창고, 항온항습실 및 종자저장고에서는 Fusarium 오염립의 감소폭이 적었고 저장 6개월 후에도 2.5 log CFU/g 이상이 검출되었다. 니발레놀 오염은 한 시료에서 저장 0-3개월 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6개월 후 증가하였으며, 저장소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겉보리 저장 중 니발레놀 오염 예방을 위해 저장 기간을 6개월 미만으로 줄이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보인다.

국내산 미곡에 발생하는 곰팡이와 곰팡이독소 (Natural Occurrence of Mycotoxin and Fungi in Korean Rice)

  • 이데레사;이수형;이정화;윤종철;오경석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261-267
    • /
    • 2012
  • 국내산 변질미와 저장 중 미곡에 발생하는 곰팡이로는 Aspergillus 속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분리한 곰팡이들의 일부는 아플라톡신 생성능을 보유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미곡시료에서는 Fusarium, Aspergillus, Penicillium, Alternaria 속 등의 다양한 곰팡이가 발생했으나 시료 내 아플라톡신 발생이나 오염수준은 허용기준치 이하로 미미한 반면 Fusarium 독소인 데옥시니발레놀, 니발레놀, 제랄레논, 푸모니신 등의 발생은 빈번하였다. 미곡종합처리장의 벼와 가공부산물의 경우, 곰팡이 및 곰팡이독소의 발생수준이 가공단계를 거칠수록 감소하여 백미에서 가장 낮았다. 현재, 벼의 가공부산물을 포함한 국내산 미곡의 경우, 아플라톡신 보다 Fusarium 곰팡이독소에 대한 안전관리가 더욱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사료용 볏짚 곤포사일리지의 곰팡이 및 Mycotoxin 오염 연구 (Studies on Fungal Contamination and Mycotoxins of Rice Straw Round Bale Silage)

  • 성하균;이종경;서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51-462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 생산 사료용 볏짚 곤포사일리지의 수확 후 저장기간 동안 생성된 곰팡이 오염도 및 곰팡이 종류를 조사하고 mycotoxin 노출 유해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곰팡이 및 mycotoxin 오염을 조사하기 위하여 곰팡이 발생이 육안 식별이 안 되는 정상적인 것부터 오염이 심한 것까지 다양한 상태의 농가에서 급여하고 있는 33점의 볏짚 곤포사일리지 시료를 수거하여 조사하였다. 오염된 곰팡이는 흰색, 회색, 푸른색 및 검은 갈색 등 다양한 색의 콜로니가 오염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곰팡이 오염도는 평균 $2.1{\times}10^6\;cfu\;g^{-1}$ 가장 높은 오염도는 $9.2{\times}10^8\;cfu\;g^{-1}$까지 발견되었으며, 외관상 곰팡이 오염 식별이 안 되는 정상적인 볏짚 곤포사일리지의 모든 시료에서도 곰팡이 오염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볏짚 곤포사일리지에서 발견된 곰팡이의 종류만도 28가지로 매우 다양하였고, 이들 중 유해 독소를 분비하는 8종의 곰팡이 즉, Aspergillus flavus, Aspergillus fumigatus, Fusarium culmorum, Fusarium verticillioides, Penicillium carneum, Penicillium paneum, Penicillium roqueforti, Penicillium viridicatum이 발견되었다. 특히, 가장 많이 분리된 곰팡이는 Penicillium sp.로 이중에서도 P. paneum이 시료의 42%에서, 다음으로 Aspergillus sp. (A. flavus, A. fumigatus)는 시료의 21%에서 발견되었다. 볏짚 곤포사일리지 시료의 42%가 mycotoxin에 오염되어 있었고, 2개 이상의 mycotoxin에 오염된 것은 12%, 그리고 3개 이상 mycotoxin에 오염된 것은 3%였다. Mycotoxin 중 aflatoxin ($B_1$, $B_1$, $G_1$, $G_2$)과 fumonisin ($B_1$, $B_2$)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ochratoxin A (1.0~5.8 ug/kg), deoxynivalenol (DON, 156.0~776.7 ug/kg) 및 zearalenone (ZON, 38.0~750.0 ug/kg)이 오염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볏짚 곤포사일리지가 곰팡이 및 mycotoxin의 유해성에 노출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바 앞으로 폭넓은 연구와 함께 mycotoxin으로 인한 가축의 피해를 줄여주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였다.

2015년 국내산 저장 옥수수에서의 후자리움 독소 오염 및 감염 곰팡이 조사 (Survey of Fungal Infection and Fusarium Mycotoxins Contamination of Maize during Storage in Korea in 2015)

  • 김양선;강인정;신동범;노재환;허성기;심형권
    • 식물병연구
    • /
    • 제23권3호
    • /
    • pp.278-282
    • /
    • 2017
  • 옥수수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곡물 중 하나이며 중요한 식량자원이다. 생산 된 옥수수는 수확 및 건조 후에 저장되는데 저장 옥수수의 질을 떨어뜨리는 곰팡이 감염 및 곰팡이 독소는 생육 시기부터 저장기간 내내 발생한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2015년 수확하여 1년정도 저장한 옥수수를 대상으로 옥수수의 크기와 변색 정도에 따른 감염 곰팡이 종과 독소검출을 조사하였다. 데옥시니발레놀과 제랄레논이 아플라톡신, 오크라톡신, 푸모니신, 티투독소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는데 특히, 데옥시니발레놀 경우 작은 낱알에서 $1200{\pm}610{\mu}g/kg$로 검출되었는데, 이는 이보다 큰 낱알에서 검출된 독소 함량에 비해 4배에서 6배까지 많은 양이 검출되었으며, 변색된 낱알의 혼입으로 인해 데옥시니발레놀, 제랄레논 및 푸모니신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곰팡이의 경우 Fusarium, Aspergillus 그리고 Penicillium 속 등 총 10종이 분리되었다. 이중 F. graminearum은 정상적인 낱알에 비해 변색 된 붉은색 낱알과 갈색 낱알에서 60%와 40%로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수확 후 변색 또는 손상된 옥수수 낱알이 정상 낱알에 섞여 보관될 경우, 손상된 낱알에 오염되어 있던 병원균이 정상 낱알을 감염하여 진균 독소의 발생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오염 낱알의 제거가 곰팡이 및 독소의 오염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ungal Species from the Insect Pest Tribolium castaneum in Rice Processing Complexes in Korea

  • Yun, Tae-Seong;Park, Sook-Young;Yu, Jihyun;Hwang, Yujin;Hong, Ki-Jeo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5호
    • /
    • pp.356-366
    • /
    • 2018
  • The red flour beetle, Tribolium castaneum, is one of the most common and economically important pests of stored cereal products worldwide. Furthermore, these beetles can act as vectors for several fungal post-harvest diseases. In this study, we collected T. castaneum from 49 rice processing complexes (RPCs) nationwide during 2016-2017 and identified contaminating fungal species on the surface of the beetles. Five beetles from each region were placed on potato dextrose agar media or Fusarium selection media after wet processing with 100% relative humidity at $27^{\circ}C$ for one week. A total of 142 fungal isolates were thus collected. By sequence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23 fungal genera including one unidentified taxon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 castaneum. The genus Aspergillus spp. (28.9%) was the most frequently present, followed by Cladosporium spp. (12.0%), Hyphopichia burtonii (9.2%), Penicillium spp. (8.5%), Mucor spp. (6.3%), Rhizopus spp. (5.6%), Cephaliophora spp. (3.5%), Alternaria alternata (2.8%) and Monascus sp. (2.8%). Less commonly identified were genera Fusarium, Nigrospora, Beauveria, Chaetomium, Coprinellus, Irpex, Lichtheimia, Trichoderma, Byssochlamys, Cochliobolus, Cunninghamella, Mortierella, Polyporales, Rhizomucor and Talaromyces. Among the isolates, two known mycotoxin-producing fungi, Aspergillus flavus and Fusarium spp. were also identified.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at surveyed fungal and mycotoxin contamination in rice from RPCs. Our study indicates that the storage pest, T. castaneum,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spreading fungal contaminants and consequently increasing mycotoxin contamination in stored r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