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body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7초

느타리버섯의 불화합성(不和合性)이 종내(種內) 및 종간(種間)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Incompatibility on Protoplast Fusion between intra-and inter Species in Basidiomycete, Pleurotus spp.)

  • 고승주;유창현;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37-144
    • /
    • 1989
  • 느타리버섯의 종내(種內) 및 종간(種間)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을 Polyethylene Glycol (P.E.G.M.W.4,000) 처리(處理)로 성공(成功)하였다. 종내(種內)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에서 화합성(和合性) 균주간(菌株間) 융합(融合)으로 얻은 균주(菌株)는 clamp를 형성(形成)하였으며 정상적(正常的)인 자실체(子寶體)가 발육(發育)되었으나 불화합성(不和合成) 균주간(菌株間) 융합(融合)으로 얻은 균주(菌株)는 대부분(大部分) clamp 형성(形成) 및 자실체(子實體) 발육(發育)이 이루워 지지 않았다. 종간(種間)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률(融合率)은 l0% 내외(內外)로 종내(種內) 융합률(融合率)보다 낮았다. 융합률(融合率)과 동위효소(同位酵素) band에 의(依)한 생화학적(生化學的) 유사도(類似度)와는 서로 상관(相關)이 없었다. 종간(種間)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의 경우도 균사체(菌絲體) 융착(融着)에 의한 교배(交配)에서 화합성(和合性)을 보인 원형질체간(原形質體間) 융합(融合)에서 얻은 융합(融合) 균주(菌株)는 정상적(正常的)인 자실체(子實體)가 발육(發育)되었으나 불화합성(不和合性) 균주간(菌株間) 융합(融合)에서 얻은 균주(菌株)는 변이(變異)로 추측되는 몇 가지 경우를 제외(除外)하고 대부분(大部分)이 clamp 형성(形成) 및 자실체(子實體) 발육(發育)이 이루워 지지 않았다.

  • PDF

Study on the Genetic Diversity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 Agaricus bisporus Strains from China

  • Wang, Zesheng;Liao, Jianhua;Chen, Meiyuan;Wang, Bo;Li, Hongrong;Lu, Zhenghui;Guo, Zhongjie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3-13
    • /
    • 2009
  • 90 wild Agaricus strains from China, including 44 Agaricus bisporus strains identified preliminarily by isozyme electrophoresis, were studied by the techniques of SRAP and ISSR. 18 special SRAP bands and 12 special ISSR bands were analyzed, the strains were clustered and a demdrogram was obta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rains were divided into 2 groups, wild A. bisporus group and the other Agaricus group. It is similar to the result of isozyme electrophoresis. 41 wild A. bisporus strains from Sichuan and Tibet were divided into 4 groups based on their growing places, suggesting the regionally difference of the strains to be quite obvious. Some white wild A. bisporus strains from Xinjiang and Tibet had special patterns, resulting in lower coefficient values with other wild A. bisporus strains.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wild A. bisporus strain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showed: 1. The wild strains grew slowly on PDA medium with weak appressed mycelia, and grew normally in kernel or fermented cottonseed shell substrate. 2. They grew faster than control strain As2796 under lower temperature of $16^{\circ}C$, and higher temperature of $32^{\circ}C$, with optimum growing temperature of $20-24^{\circ}C$, which was $4^{\circ}C$ lower than that of control strain. 3. In the cultivation with manure compost via twice fermentation, the mycelia grew normally in compost and quite slowly in casing soil, and the fruitbodies occurred less and late with easily opening and low production. 4. The fruitbody was off-white with flat and scaled cap, long stipe and dark gill. The bisporus basidia occupied 70-80% and trisporus basidia 20-30% of the total basidia. 5. Heterokaryotic monospore isolates could fruit in cultivation, and the homokaryotic isolates could cross with those derived from overseas wild A.bisporus strains. 6. The electrophoresis phenotype of isozymes such as esterase etc. belonged to high production type (H type). 7. The RAPD patterns made much difference from those of high production, good quality or hybrid strains, which indicated that the wild strains produce a new kind of RAPD type.

  • PDF

느타리버섯의 신품종 육성 연구 - 분홍느타리 신품종 『적단』의 특성 -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of a new pink oyster mushroom variety 『Jeakdan』)

  • 최종인;지정현;하태문;주영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6-90
    • /
    • 2007
  • 느타리버섯의 품종 다양화를 위해 단핵균주교잡에 의해 육성된 적단느타리버섯의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가. 균사생장적온은 $26{\sim}30^{\circ}C$이고 버섯발생 및 생육온도는 $18{\sim}23^{\circ}C$이었다. 나. 갓의 형태는 깊은깔대기형이며 다발형이고, 대는 가늘고 짧은형이며 갓, 대 모두 분홍색을 나타내었다. 다. 병재배시 배양일수는 $20^{\circ}C$에서 20일, 초발이소요일수는 $18{\sim}20^{\circ}C$재배조건에서 4일이며 생육일수는 4일이 소요되었다. 봉지재배에서는 균배양일수는 22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6일, 생육일수는 5일정도 소요되었다. 라. 버섯의 균일성에 있어서 갓색과 갓형태의 이형개체 발생은 없었고, 균사생장량 및 종균배양기간에서도 지역간 균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마. 농가실증시험 결과 유효개체수는 850cc병재배시는 31.5개이며, 2kg 봉지재배시 47개체수를 얻었으며 수량은 병재배시 134.5g, 봉지재배시 350.0g의 수량을 얻었다.

  • PDF

느타리버섯의 신품종 육성 연구 -병·봉지재배용 신품종 『다조아』 느타리버섯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 new oyster mushroom variety 『Dajoa』 for the bottle and poly prophylene plastic bag culture)

  • 지정현;최종인;주영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60-64
    • /
    • 2005
  • 느타리버섯의 품종 다양화를 위해 단핵균주교잡에 의해 육성된 다조아느타리버섯의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가. 균사생장적온은 $26{\sim}28^{\circ}C$이고 버섯발생 및 생육온도는 $15{\sim}18^{\circ}C$이다. 나. 갓색은 회색이고 얕은 깔대기형이며 발이수가 많다. 다. 병재배시 배양일수는 $20^{\circ}C$에서 24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3.4일이며 대형태는 굵고 짧은형으로 농가실증시험에서 병당수량은 140.7g으로 높은 편이었다. 라. 봉지재배시 배양일수는 $20^{\circ}C$에서 21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4.2일이며 대형태는 굵고 짧은형이었고 농가실증 시험에서 봉지당 수량은 260.3g을 나타냈다. 마. 버섯의 균일성에 있어서 갓색과 갓형태의 이형개체 발생은 없었고, 균사생장량 및 종균배양기간에서도 지역간 균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바. 세균성 갈변병 중 Pseudomonas agarici와 푸른곰팡이병 Trichoderma virens에 대해서는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나 실증재배시 과습한 환경관리 농가에서는 갈변병이 2~4%발생되었다. 사. 다조아느타리버섯은 균사활력이 강하고 병, 봉지재배 적응성이 높은편이나 발이량이 많아 초기 환기량이 많이 요구되고 후기에는 환기량을 줄여 관리하는 것이 좋다.

  • PDF

저비용 우량봉지종균 생산기술 개발 (Development of mushroom spawn production technology of low price by the superior bag spawn)

  • 조우식;황억금;김찬용;조두현;최성용;박소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15
    • /
    • 2010
  • 느타리버섯 재배시 현재 톱밥병종균을 대체할 수 있는 저비용 우량봉지제조기술을 개발하기위해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료의 산도 (pH)는 포플러톱밥이 pH 6.7, 미강은 pH 6.4에 비하여 비트펄프는 pH 4.9로 다른 배지재료에 비하여 산성을 나타내었다. T-C는 포플러톱밥 57.5%, 면실피 54.5%, 미강 52.4%로 나타났고, T-N는 포플러톱밥이 0.1%로 면실피 1.77%, 미강 0.94%로 나타났다. 2. 균사생장정도는 신농73호 2.5kg 규격 종균의 필터가 구비된 종균의 경우 15.7cm, 마개형 10.5cm, 필터가 없는 종균은 7.5cm로 필터구비종균이 생장이 우수하였고, 균사밀도의 경우에도 필터형이 밀도가 높았다. $CO_2$ 농도는 신농73호 2.5kg 규격 종균의 필터가 구비된 종균의 경우 1,400ppm, 마개형 2,200ppm, 필터가 없는 종균은 3,200ppm 로 필터구비종균이 농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3. 배양소요일수를 측정한 결과, 신농 73호에서 2.5kg 필터종균의 경우 18일, 마개필터 18일, 필터가 없는 처리는 19일로 큰 차이는 없었다. 생산량의 경우 신농73호에서 2.5kg 필터종균의 경우 118g, 마개필터 112g, 필터가 없는 처리는 100g으로 필터처리 종균이 생산력 측면에서 우수하였다.

  • PDF

아위느타리 신품종 '비산1호'의 육성 및 자실체 특성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of a new cultivar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Beesan No.1')

  • 신평균;유영복;공원식;오연이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2-57
    • /
    • 2014
  • 아위느타리(Pleurotus ferulae)의 품종 육성은 수량성이 높은 ASI 2803과 형태적으로 보기 좋은 국내 교배품종 ASI 2850의 단포자를 분리하여 교배하여 13개의 교잡주를 우량계통으로 선발하였고, 수량성이 높고 형태가 좋으면서 자실체 형성이 쉬운 균주 GW10-95를 선발하여 '비산1호'으로 명명되었다. 고유특성으로는 균사체 배양의 대선형성유무에서 모균주 ASI 2803 및 ASI 2850과 대치배양하였을 때 뚜렸한 대선을 형성하였다. 유전적으로는 RAPD primer를 이용하여 신품종 '비산1호'의 DNA 패턴은 모균주와는 다른 패턴을 형성하였다. 가변특성은 균사생장 적온은 $25^{\circ}C$이며 pH의 범위가 pH5~8까지 넓게 형성되었다. 자실체 수량은 농가실증시험에서 245 g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길이는 ASI 2803보다 길고 굵어 수량이 높게 나타났다. 기존의 아위느타리보다 수량성이 높아 큰느타리 대체품종 뿐만 아니라 수출 품종으로도 기대된다.

외부공기 유입방식에 따른 느타리버섯 생육실의 온도변화 및 자실체의 생육특성 (Heating and cooling properties in cultivation room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oyster mushroom according to type of air exchange)

  • 장명준;이윤혜;주영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14-218
    • /
    • 2013
  • 외부공기 유입방식에 따른 느타리버섯의 생육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3가지 처리구를 두어 실험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재배기간 중 온도편차가 발생하였고, 처리구 모두 1, 2, 8월에 가장 높았으며, T2(열교환기)와 T3(기밀실)에서 T1(외부공기 직접유입) 보다 온도편차가 작은 경향이었다. 재배기간 중 냉방시간은 T1(외부공기 직접유입)은 1,090.3시간, T2(열교환기)는 661.1시간, T3(기밀실)은 865.0시간이었고, 평균 냉방절감율은 T1(외부공기 직접유입) 대비 T2(열교환기)는 21%, T3(기밀실)은 11%이었다. 재배기간 동안 난방기의 년중 가동시간은 T1(외부공기 직접유입)은 1,506.9시간, T2(열교환기)는 875.6시간, T3(기밀실)은 1,054.2시간으로 T2의 가동시간이 가장 작았고, 년중 평균 난방절감율은 T1(외부공기 직접유입) 대비 T2(열교환기)는 22%, T3(기밀실)은 16%이었다. 외부공기 유입방식에 따른 냉방정도(CD-H)는 T1(외부공기 직접유입)>T3(기밀실)>T2(열교환기)의 순이었고, 난방정도(HD-H)도 냉방정도(CD-H)의 경우와 동일하였다. 수량은 T2(열교환기)와 T3(기밀실)에서 T1(외부공기 직접유입) 보다 4, 9, 10월을 제외한 전 기간에서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 시설재배사에서 느타리버섯 병재배시 열교환기 또는 기밀실을 설치하여 재배할 경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수량 및 고품질의 느타리버섯을 수확할 수 있어 농가소득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능이 [Sarcodon aspratus (Berk.) S. Ito]중 단백질(蛋白質) 가수분해(加水分解) 효소(酵素)의 정제(精製) 및 성질(性質)에 관하여 (Purification and Some Characteristics of the Proteolytic Enzyme in Fruitbody of Neungee [Sarcodon aspratus (Berk.) S. Ito])

  • 이태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76-285
    • /
    • 1986
  • 능이 [Sarcodon aspratus (Berk.) S. Ito]로부터 단백질가수분해(蛋白質加水分解) 효소(酵素)를 분리 정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효소는 Tri-acryl CM-cellulose, Ultrogel AcA 54, Hydroxy apatite column chromatography와 preparative isoelectric focusing 방법으로 순차 정제되었고, 정제된 효소는 PAGE상에서 단일 band를 나타내었으며 활성(活性)은 62.5O.D/mg.protein으로 조효소(粗酵素)보다 8.01배 증가하였다. 작용최적(作用最適) pH는 10.1로 alkaline protease였으며 작용최적(作用最適) 온도(溫度)는 $57^{\circ}C$부근이었다. $50^{\circ}C$ 이하의 온도(溫度)와 pH $4.0{\sim}10.8$ 범위에서 안정(安定)하였으나, $60^{\circ}C$에서 30분후 26%, $65^{\circ}C$에서는 65%가 실활(失活)되었다. $Mn^{++}$은 효소의 활성(活性)을 증가시켰으나 $Hg^{++}$$Cu^{++}$는 현저히 저해시켰다. SDS-PAGE에 의해 분자량(分子量)은 30,100으로 측정되었고, monomer임이 확인되었다. 등전점(等電点)은 9.80이었다.

  • PDF

팽이버섯의 저장기간 및 품종별 자실체내의 당 함량 변화 (Changes of saccharide content in fruitbody composition of Flammulina velutipes during storage)

  • 전창성;윤형식;임훈태;공원식;이강효;성기호;조재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23-131
    • /
    • 2011
  • 최근 수요가 많은 식용버섯 중 팽이버섯을 대상으로 저장기간 중에 발생하는 자실체 내의 당 종류 및 함량변화를 검토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팽이버섯 자실체에는 단당류로는 xylose 및 glucose, ribose, 이당류의 당은 lactose 및 trehalose, 당알코홀류는 glycerol 및 mannitol, myoinositol, sorbitol 등이 확인되었다. 팽이버섯에 가장 많은 것은 단당류인 xylose로 백색계열은 47.68mg/g, 갈색계열은 63.28mg/g로 갈색계열의 함량이 높으며,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당 함량은 단당류 및 이당류, 당알코올 모두 저장 시간이 증가하면서 같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trehalose는 감소하였다. 저장온도에 따라서는 큰 차이는 없었으나, lactose는 $4^{\circ}C$ 저장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circ}C$ 저장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구름버섯의 균사배양액 및 자실체로부터 얻어진 단백다당체의 수율비교 (Comparisons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 Contents Obtained from Mycelial Cultured Broth and Fruit body of Coriolus versieolor)

  • 박영도;홍용기;황완균;허재두;박신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23-228
    • /
    • 1989
  • 구름버섯의 균사체배양액과 자실체로부터 높은수율의 단백다당체를 얻기 위하여 균주 및 배지별에 따른 차이와 폐기물을 이용한 균배양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계통이 다른 4종의 균주 중에서 16002 균주가 0.58%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나머지 3균주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평판배지상에서 균사의 생장이 양호했던 배지들 중 액내 배양하여 단백다당체를 추출한 결과 CVT-III가 0.51%로 가장 양호했으며 각 배지간에는 큰 차이를 보였다. 약재추출박과 구름버섯의 자실체 추출박을 배지의 성분으로 이용했을 때 구름버섯의 추출박을 이용한 배지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대등한 수율을 나타냈으며 인삼추출박을 첨가했을 때는 11.4-48%의 수율증가를 보였다. 인공재배를 한 자실체간에 있어 단백다당체의 수율을 비교했을 때 균사배양액에서와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높은 수율의 단백다당체를 얻기 위해서는 어린시기에 자실체를 수확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