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m of Employment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7초

간호대학생의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과 행동의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for Nursing Students on their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Engage in a Specific Behavior)

  • 허은주;김은정;백명화;이해랑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74-8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서비스품질을 교육프로그램, 교수, 교육환경, 명성과 취업으로 구성하여 학생만족을 통한 행동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경남 1개 대학 간호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최종 321부를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교육서비스품질의 구성개념 모두 학생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으며 명성과 취업, 교육프로그램, 교육환경, 교수의 순으로 영향력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만족은 행동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교육서비스품질을 높이기 위한 질 관리가 필요하며 영향력의 상대적 크기를 반영하여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녹색성장의 상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lementarity of Green Growth)

  • 박성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306-32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reen growth issues such as employment, education and training, social capital and nature's standing right from the complementary perspective between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economic growth. Green growth can be defined as a growth which lowers an increasing rate of entropy and at the same time improves our living standard. Green growth paradigm requires a quite amount of understanding the laws of thermodynamics and the uncertainty principle as the highest orders which regulate our overall socio-economic behaviors. They suggest that socio-economic growth is a mere transformation process of natural energy from one form to another and they increases natural manmade entropy over time. The most important issue of green growth policy may be a problem concerning employment and/or unemployment since green growth may induce inevitable movement of resources from the existing industries to the green sector. In particular, green industries will demand more highly specialized manpower than the existing ones. Without a well-designed new training education system and social capital accumulation toward environmental concerns, green growth may accompany a substantial amount of structural involuntary frictional unemployment. This may increase not only wealth-distribution disparity but also political instability. In order to achieve harmonious green growth, we should recognize that there are important complementary relationships between green and growth. Our society should also be able to innovate the existing educational system to accumulate social capital, to create a new sharing system, and to admit nature's standing right. Although the 2003 lawsuit case of Korean Salamander in Cheonseong Mountain went against plaintiff, it would provide apparently our society with a way of green development ahead.

유럽의 산업위기지역 지원정책 추진 동향 및 시사점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Policies for Industrial Crisis Areas in Europe)

  • 이종호;장후은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46-257
    • /
    • 2019
  • 최근 몇 년 사이에 산업위기지역 문제는 한국사회의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어,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고용위기지역 등의 형태로 지원정책이 수립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탈공업화, 주력산업의 쇠퇴, 산업구조조정 등으로 말미암아 산업 및 고용의 위기에 직면한 지역들을 대상으로 한 지역산업정책의 추진 경험이 풍부한 유럽 선진국가들의 사례를 고찰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유럽 선진국가들의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지원정책의 패러다임과 초점은 시기별, 국가별로 상이하게 전개되어 왔고, 특히 2008년 세계경제위기 이후 지역정책의 주요한 이슈로 재조명되고 있다. 2008년 세계경제위기 이후 유럽의 산업위기지역 정책은 신내생적 발전 모델에 기초하여, 정책의 초점을 지역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두고, 전통적인 지역발전정책, 산업정책, 고용정책을 결합한 정책조합을 통해 다면적이고 종합적인 지역정책의 형태로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 기존의 산업위기지역 정책과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일-학습 병행을 위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Online Education System for Work Based Learning Dual System)

  • 권오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63-168
    • /
    • 2013
  • 국내 대학교육은 높은 진학률과 낮은 취업률이라는 과잉학력의 악순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악순환을 해소하고, 청년 실업 해소와 청년층의 노동시장 조기 진입을 지원 및 유도하기 위하여 근로자의 '선취업-후학습' 기회를 확대하고, 재직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하여 일과 학습을 병행할 수 있는 교육 훈련 시스템이 필요하다. 최근 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이 등장 하였다. MOOC는 교육, entertainment, social networking을 결합한 교수-학생, 학생-학생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한 새로운 형태의 온라인 교육환경으로 강의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된 온라인 교육환경을 활용하여 지식을 온라인으로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기술 및 공학교육에 꼭 필요한 실습교육을 캠퍼스에서 제공하는 멀티학습체제를 구축함으로써 재직자들의 일과 학습을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취업준비생 토픽 분석을 통한 취업난 원인의 재탐색 (Revisiting the cause of unemployment problem in Korea's labor market: The job seeker's interests-based topic analysis)

  • 김정수;이석준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1호
    • /
    • pp.85-116
    • /
    • 2016
  • 본 연구는 개인-환경 부합 관점에서 취업시장변화에 따른 취업준비생의 관심사를 토대로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취업난의 원인을 탐색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3개년(2013~2015) 간 취업 관련 커뮤니티 내 이용자 게시글(소셜미디어)을 웹 크롤링을 통해 수집하고, 텍스트 마이닝 기법 중 토픽 분석을 통해 취업준비생의 주요 관심사 유형 및 심리적 반응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취업준비생의 주요 관심사가 '희망직업(세계)에 대한 인식, 취업사전준비활동, 노동시장에 대한 인식, 취업 스트레스'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직업가치나 미래 진로에 대한 탐색보다 희망직업과 관련하여 금전적 보상이나 직장근무형태(근무 및 생활환경)에 관해 관심을 두고 있어 불확실한 환경에 직면하면서 특정 언어적 사용(예: 비속어, 은어)을 토대로 불안정한 심리적 상태를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취업준비생들은 취업 성공을 위한 전략적 선택차원에서 주로 스펙준비에 치중하고 있어 취업불안에 따른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현재 취업난은 총체적으로 개인과 사회 조직의 가치추구 부재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개인은 자신의 직업 가치관을 확립하지 못한 상황에서 일부 기업들은 인적자원의 중요성에 대해 자각하지 못하며, 사회적으로는 직업위세란 장애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취업난이란 특정 상황과 현상의 원인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다수의 취업준비생 관심사를 도출하기 위한 토픽분석과 이들의 다양한 반응의 의미를 언어 심리적 이론을 토대로 해석하는 접근방법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PDF

우리나라 단독가구의 실태에 관한 소고 (A Study on One Person Households in Korea)

  • 배화옥
    • 한국인구학
    • /
    • 제16권2호
    • /
    • pp.125-139
    • /
    • 1993
  • Korea has successfully achieved a lowered fertility level owing to the strong population control policy and effective family planning program. Along with fertility decline and decreased number of children in family, averag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has decreased and nontraditional households such as one person household and households composed of unrelated individuals have prolifirated, even though the absolute number of them are found minimal in Korea. However in recent years several data and survey results suggest that one person households are gradually in the increasing trend. The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real state of one person households in Korea and next analyzing the proportional distribution of one person households by a few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us providing basic for eatablishing far-singhted population and social welfare policy in the future. Korea has experienced high growth rate of economy through government-led development plans starting from the 1960s. During the past three decades, Korea has shifted from the agricultural state to the industrialized one. In compliance with the economic growth,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have brought about rural-to-urban migration and a great bulk of young population migrated to urban areas, who are seeking for educational and job opportunities. Korean society has also been under drastic change in every aspect of life involving norms, tradition, and attitude, etc. Therefore, in spite of the prejudice on 'living alone' still remaining, young people gradually leave parents and home, and further form nontraditional households in urban areas. Curr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one person households is partly attributable to the increase in high female educational attainment and female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s the industrial structure in Korea changes from primary into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job opportunities for service/sales and manufacturing are opened to young female labor force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Contrary to the formation of one person households by young people, the aged single households are composed when children in family leave one by one because of marriage, education, employment. In particular, a higher proportion of aged female single households occur in rural areas due to the mortality difference by sex. Based on the data released form the 199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and National Fertility and Family Health Survey in 1985 and 1991, the study tried to examine the state of one person households in Korea. According to Census data, the number of one person households increased to 1, 021, 000 in 1990, comprising 9.0 percent of total households. And the survey reveal that among total 11, 540 households, 8.0 percent, 923 households, are composed of one person households. Generally, the proportion of female single households is greater than that of male ones, and a big proportion of one person households is concentrated in the 25-34 age bracket in urban areas and 65 years and more in rural areas. It is shown than one person householders in urban areas have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with 59.2 percent high schooling and over in 1991, Job seeking proved to be the main reason for leaving home and forming one person households. The number of young female single households with higher education and economic self-reliance are found nil and the study did not allow to analyze the causal realtionship between female education and employment and one person household formation. However more research and deep analysis on the causal facors on one person household formation using statistical method are believed to be necessary.

  • PDF

도시 주부의 가정관리 능력의 제 영향 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luential Variables Related to Home Management Ability of Urban Home Makers)

  • 이정우;오경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9권2호
    • /
    • pp.1-18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nfluential variables related to Home Management Ability of urban home makers.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aspects; 1) to find out which variables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ie. home maker's age, level of education-husband, wife, job-husband, wife, income, duration of marriage), of psychological variables (ie. degree of resourcefulness recognition, degree of stress recognition, degree of life level recogni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home management ability. 2) to find out which variables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degree of resourcefulness recognition, of stress recognition, and of life level recognition. 3)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ignificant variables related to home management ability.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 F-test, t-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regression analysis , path analysis pearson's r. x2-test.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level of education (husband , wife)and occupation of husband were variables to have influences on home management ability. 2) a. The level of education (husband, wife) and income were variable to have influences on degree of resourcefulness recognition. b. The employment of home makers. income, and the form of family were variables to have influences on degree of stress recognition. c. The level of education (husband, wife) occupation of husband , income , and duration of marriage were variables to have influences on degree of life level recognition. 3)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home management ability and degree of resourcefulness recognition and of stress recognition (r=0.13, r=-0.12, p<.05). a. The higher degree of resourcefulness recognition, the higher home management ability (x2=11.17. df=4. p<.05) b. The higher degree of stress recognition, the lower home n=management ability (x2=14.64. df=4. p<.01) 4) The education level of homemakers (β =0.15) and income (β=0.12) were variables to have indirect influences on home management ability through the medium of the degree of resourcefulness recognition (β =0.13) 5) The employment of home makers (β=-0.17) was a variable to have indirect influence on home management ability through the medium of the degree of stress recognition(β=-0.12) 6) the education level of husband (β=0.16) and income (β=0.32) were variables to have direct influence on degree of life level recognition. 7) The degree of life level recognition (β=0.13) and education level of home makers (β=0.17) were variables to have indirect influences on home management ability through the medium of the degree of resourcefulness recognition (β=0.13) 8)The degree of life level recognition (β=-0.22) the employment of home makers(β=-0.17) and the from of family(β=-0.10) were variables to have indirect influences on home management ability through the medium of the degree of stress recognition.

  • PDF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적응력 향상 방안연구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 한지은;나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27-33
    • /
    • 2017
  •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사회적응 문제는 복지적인 차원을 넘어 통일준비적 차원으로써 그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사회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경제중심의 지원정책으로 북한이탈주민들의 취업률이 향상되었으나 동시에 문화적 이해와 정체성 형성이 결여 된 상태에서의 취업률 향상은 또다시 사회부적응과 적응실패의 문제로 연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과 그룹토론 및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경제적 자립' 이외에 '사회적 자립'의 중요성이 검증되었으며, 사회적응과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된 요인은 사회성형성의 기본이 되는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적응력을 고양시킬 수 있는 정책 과제로 남북한 시민이 함께 소통할 수 있는 환경과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언하는 바이다. 이는, 경제적 자립만으로는 궁극적으로 해결하지 못한 남한사회적응력을 향상시키는 결과뿐만 아니라 '경제적 지원' 정책 효과를 높이는 결과에도 일조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후속 연구로써 '사회적 지지' 형성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보완되어야 하겠다.

경호학 전공 만족도와 진로의식 조사 (Study on Students' Consciousness Regarding Their Plans after Graduation)

  • 김창호
    • 시큐리티연구
    • /
    • 제17호
    • /
    • pp.91-107
    • /
    • 2008
  • 본 연구는 경호학 전공학생들의 선택한 동기, 입학 후 전공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정도, 교육을 통한 취업관련여부, 전공과 직업, 진로에 대한 의식, 직업 선호도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였다. 2008년 현재 4년제 대학의 경호학 전공이 설치되어 있는 K대학교, C대학교, Y대학교, J대학교, 2년제 Y대학 재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고, 할당표본추출(quota sampling)의 방법을 이용하여 이 연구의 구체적 표집을 실시하였다. 총 298명의 데이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첫째, 경호학 전공 학생들의 선택에 따른 학생들의 만족도는 남자의 평군이 2.42이고, 여자의 평균이 2.10으로, 여자가 남자에 비해 학과선택 만족도가 높으며 경호학 전공 선택의 동기를 묻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의 30.3%가 개인적성을 이유호 경호학 전공을 선택한 것으로 응답했다. 둘째, 경호학 전공 학생들의 교과과정 만족도, 전공수업, 학과 분석에서는 2년제의 평균이 2.48이고 4년제의 평균이 2.74이므로 통계적으로 2년제 대학이 4년제 대학보다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호학 전공 학생들의 전공교육과 취업관계분석에서는 2년제 평균이 3.23이고 4년제 평균이 3.56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교과과정 개선의 필요성이 높았다. 넷째, 경호학 전공 학생들의 진로와 취업의식에 대한 태도에서는 취업준비를 위해 중점적으로 준비하는 것으로는 "어학공부"가 40.4%로 나타났으며 자신감에서는 긍정적인 응답이 39.6%로 나타나 14.0%로 부정적인 응답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 PDF

캐릭터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2년제 전문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of Development a Curriculum for Character Designer -Focused on Two-Year Course Work of College Education)

  • 김용우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231-244
    • /
    • 2004
  • 직업교육에서의 교육과정은 학생이 졸업 후 취업 가능한 직종과 고용기회, 이들 직업에 종사하는데 필요한 능력이 어떤 것인가를 근거로 계획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직업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계획에서 교육내용을 선정하는 과정에는 전공분야와 관련된 산업체 관련인사의 참여와 산학협동을 통한 밀접한 관계 유지를 통해 지속적이며 점진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직업교육의 교육과정이 취업을 준비하기 위한 것이라면 교육과정의 초점이 고용에 맞추어야하며, 이러한 직업교육의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대학과 산업체(특히 지역산업체)간 관련 자료가 종합적으로 수집.분석되고 그 자료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이 계획되어야 한다. 지역사회와 관련된 자료는 산업체별 인력수요 전망,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특히 앞으로 전망이 밝은 취업 가능 직종 등을 고려한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과 기존 교육과정에서 개선되어야 할 내용 (기술의 변화, 실험.실습시설의 형태, 계속 교육의 유형 등)이 객관적으로 조사.분석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애니메이션 산업의 발달과 멀티미디어 시장의 확대로 더욱 역할과 기대가 증대하고 있는 캐릭터산업에서 종사할 캐릭터디자이너를 전문 육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보다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교육에 적용함으로써, 학교 교육에서 문제 시 되어 왔던 교육과 현장 실무의 괴리를 줄여 산업체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함에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