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oride-releasing material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9초

불소방출성 수복재의 불소 재충전에 따른 불소유리와 표면변화 (An Effect of Fluoride Recharging on Fluoride Release and Surface Change of Fluoride-Releasing Restorative Materials)

  • 문장원;유미경;이광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1권1호
    • /
    • pp.25-3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 effect of fluoride recharging on fluoride release and surface change of fluoride-releasing restorative materials. Six commercially available fluoride releasing restorative materials (Fuji II LC Improved: FL, Compoglass F: CF, Dyract AP: DA, F2000: FT, Gradia Direct: GD, and Tetric Ceram: TC)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materials. Disk specimens were fabricated with split teflon mold to the final dimensions of 15 mm in diameter and 1 mm in thickness. Ten samples of each material were fabricated and stored in deionized water at $37^{\circ}C{\pm}1^{\circ}C$ for 3 months. Before fluoride recharging, all specimens were polished sequentially from #800 to #2000 emery papers. Fluoride recharging was done at 5-day interval using 2.0% NaF gel. The release of fluoride into the storage water was monitored using a fluoride ion electrode.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Tukey'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Fluoride recharge capability were FL > CF > DA and TC group after 12 times exposure to 2.0% NaF gel (P<0.05). 2. All the experimental materials, except for FT group, showed the increase of fluoride release and surface roughness. 3. Fluoride-releasing rates returned to base line within 3 days.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Fluoride Releasing Ability and Microbial Attachment of Glass-Hybrid Restorative Material

  • MinKi Choi;Howon Park;Siyoung Lee;Haeni Kim;Juhyun Lee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32-139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fluoride-releasing ability and degree of microbial attachment of a newly developed glass-hybrid restorative material (GH) with those of a high-viscosity glass ionomer (HvGIC), resin-modified glass ionomer (RMGI), and composite resin (CR).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fluoride-releasing ability and microbial attachment between materials was evaluated. Specimens were prepared in a disc shape and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materials (GH, HvGIC, RMGI, and CR). The fluoride release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each group (n = 15). The amount of fluoride released was measured on days 1, 3, 7, 14, 28, and 42 after storage. For the microbial attachment experiment, 12 specimens were produced per group using Mutans Streptococci (S.mutans ), a cariogenic microorganism. S. mutans was cultured on the specimens for 24 hours, and the number of bacteria was measured. GH had the highest cumulative fluoride release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ed with RMGI (p = 0.001) and CR (p < 0.0001). Microbial attachment was the lowest in GH;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materials (p = 0.169).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luoride release from materials and microbial attachment (p > 0.05). From this perspective, remineralization of low-mineralized areas could be expected due to the high fluoride release of GH, and the effect of delaying the progression of dental caries could be predicted from the low cariogenic microbial attachment. Therefore, GH might be a useful restorative material for treating immature permanent teeth with hypomineralized enamel.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about the degree of remineralization of hypomineralized areas after restoration and the capacity to recharge fluoride.

잇솔질 마모 처리한 불소방출성 수복재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LUORIDE RELEASING RESTORATIVE MATERIALS AFTER TOOTHBRUSH-DENTIFRICE ABRASION)

  • 박종하;백병주;양연미;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05-713
    • /
    • 2004
  • 불소는 항우식 작용을 보이므로 치아의 우식 예방을 고려 한 진료가 이루어지면서 치면에 불화물을 도포하거나 불소 함유 구강세정액을 사용하거나 불소방출성의 수복재료를 적용하거나 하는 등의 우식억제 방법이 치과임상에서 빈번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불소 방출을 보이는 수복재료의 잇솔질 후 불소방출과 잇솔질로 인한 표면조도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7종의 불소를 방출하는 수복재료로 Fuji II LC Improved: FL, Compoglass F CG, Dyract AP: DR, F2000 : FT, Ariston: AT, Tetric: TR, 그리고 Gradia: GD를 연구재료로 사용하였다. 불소 방출은 10,000회의 잇솔질을 시행한 후 10일 동안의 방출량을 측정하였고, 표면조도는 40,000회의 잇솔질 후 중심선평균거칠기 Ra와 최대거칠기 Ry를 측정하였으며, 마모면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잇솔질 후의 불소 방출량과 표면 관찰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불소방출은 AT군, FL군 및 CF군의 경우에는 초기단계에 다량의 급격 한 방출을 보인 후 상대적으로 낮으면서도 지속적인 방출 양상을 보였지만, 나머지 시험군의 경우에는 초기단계로부터 낮으면서도 지속적인 방출을 보였다. 2. 불소방출은 약 40일 경과 후 안정적인 방출 양상을 나타냈으며, Tukey 분석 결과, AT군, 레진강화 GIC의 FL군, 콤포머군 전부 및 불소방출성 콤포짓트 레진의 GD군과 TC군 사이에서 통계학적으로 방출량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표면조도는 FT군에서 가장 크고 CF군에서 가장 작은 값을 보였으며, Tukey 분석 결과, FT군, AL군 및 FL군과 TC군, DR군, GD군 및 CF군 사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 PDF

불소방출성 콤포짓트 레진계 수복재의 특성 (PROPERTIES OF FLUORIDE-RELEASING RESIN COMPOSITE RESTORATIVE MATERIALS)

  • 김상훈;백병주;김재곤;양연미;박정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18-42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구강 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불소방출성을 보이는 콤포짓트 레진계 수복재의 내구성과 불소방출성을 조사하기 위해 4 종의 콤포머와 1 종의 불소방출성 콤포짓트 레진을 실험재료로 선택하고 $5^{\circ}C$$55^{\circ}C$ 수중에서의 열순환 처리 후의 인장강도, 열순환 처리 후 칫솔에 대한 작용력 1.5N으로 100,000회 칫솔질을 시행하였을 때의 표면조도 및 불소치약 칫솔질 후 $37^{\circ}C$ 수중에서의 불소이온 용출 양상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인장강도는 TC($Tetric^{(R)}$ Ceram)군에서 32.3 MPa, CF(Compoglass F)군에서 16.8 MPa이고, TC군과 DF($Dyract^{(R)}$ flow)군 및 CF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칫솔질 마모시험 후의 표면조도 Ra는 TC군에서 0.287, FT(F2000)군에서 1.516이고, FT군과 나머지 시험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칫솔질 마모시험 후의 표면에서는 필러의 돌출과 탈락 양상이 관찰되었다. 4. 불소치약 Perio Alpine Herb로 칫솔질 한 후 콤포머는 초기에 높은 용출을 보인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용출량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불소방출성 콤포짓트 레진의 TC군에서는 초기단계부터 낮으면서도 지속적인 용출을 보였다. 5. 불소치약 Perio Alpine Herb로 칫솔질 한 후 1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의 불소이온 용출량은 CF군에서 $2.064{\mu}g/cm^2$, TC 군에서 $0.1119{\mu}g/cm^2$이고, CF군의 용출량이 나머지 시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P<0.05).

  • PDF

수종의 수복재의 불소 적용법에 따른 불소 유리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FLUORIDE RELEASE AND RE-UPTAKE CAPACITY OF SEVERAL FLUORIDE-RELEASING RESTORATIVE MATERIALS)

  • 이연호;유승호;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5-34
    • /
    • 2006
  • 불소는 구강내에서 치아 우식의 예방 및 초기 우식의 재광화를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불소가 유리되는 수복물을 이용하게 되면, 수복물 주위의 이차 우식 및 구강내의 우식 감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현재 소아치과 영역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불소유리 수복재로는, 전통적인 글라스 아이오노머와 레진 강화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컴포머 등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현재 소아치과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불소를 유리하는 수복재의 불소 유리량 및 불소 적용방법에 따른 불소유리량의 변화를 비교하고 확인하고자 한다. 복합레진으로 $Z-250^{TM}$ (Group I)과 컴포머로 $Dyract^{(R)}$ AP(Group II) 레진 강화형 글라스 아이오노머로 Fuji II $LC^{(R)}$ (Group III), 자가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로 Fuji IX GP $Fast^{(R)}$(Group IV)를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 재료별로 동일한 크기의 디스크를 제작하여, 31일 동안 매일 새로운 용액으로 교환하면서 불소 유리량을 측정하였다(실험 I). 이후 수복재료별로 불소 적용 방법에 따라 4군으로 나누는데, A군은 대조군(No treatment)으로, B군은 불소가 함유된 치약(500ppm, Stages, $Oral-B^{(R)}$, Holland)을 3분간 3회 적용하고, C군은 1.23% APF Foam(1000ppm, Sultan Topex, #31150, Canada)을 1회 적용하며, D군은 B군과 동일한 치약을 3회 적용하고, 1.23% APF Foam을 1회 적용하였다. 불소 적용 후 7일 동안 불소 유리량을 측정하였다(실험 II). 실험 I에서, 실험 개시일부터 7일까지 불소 유리량이 급속히 감소하고, 이후 일정한 불소 유리량을 보였다. III군 (Fuji II-$LC^{(R)}$)과 IV군 (Fuji IX GP $Fast^{(R)}$)이 다른 군에 비해 높은 불소 유리량을 보였으며, III군과 IV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 II에서, 불소 적용 후 II, III, IV군에서 불소 유리 량이 증가한 양상을 보이는데, II군에서는 불소 적용 후 2일, III군에서는 5일, IV군에서는 4일부터 초기 불소 유리량 수준으로 돌아갔다.

  • PDF

수종의 불소방출 수복재의 탈회억제 효과 및 불소침투에 관한 연구 (IN VITRO STUDY OF DEMINERALIZATION INHIBITION EFFECT AND FLUORIDE UPTAKE INTO ADJACENT TEETH OF LIGHT-CURED FLUORIDE-RELEASING RESTORATIVES)

  • 김송이;최성철;김광철;최영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88-297
    • /
    • 2010
  • 자이오머(Giomer)는 레진강화형글라스아이오노머에 견줄 만큼 불소방출량이 많다고 하나, 우식예방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많지 않아 임상적용에 대한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이오머(BF 군)를 포함하여 레진강화형글라스아이오노머(FF 군), 콤포머(DA 군)와 대조군인 콤포짓(FZ 군)의 우식억제 효과와 주변 치질로의 불소침투 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공초점레이저주사현미경과 전자탐침미세분석기를 이용하여 각 수복재의 우식예방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복물 주위 이차 인공우식에서 법랑질 외측병변의 깊이는 FZ 군에서 가장 깊었으며, BF 군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p<0.05). 2. 수복물과 법랑질 계면에 나타난 탈회억제층의 두께를 관찰한 결과 FZ 군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FF, DA, BF 간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3. 법랑질에 침투된 불소농도는 BF, FF, DA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상아질에 침투된 불소농도는 DA, BF, FF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상아질-수복물의 접착 계면에 영향 받는 것으로 보인다.

수종 수복재에 불소 도포제 적용 후 불소유리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FLUORIDE RELEASE AND RE-UPTAKE OF SEVERAL RESTORATIVE MATERIALS)

  • 김수연;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08-419
    • /
    • 2007
  • 본 연구는 불소 유리 수복재의 불소 유리 및 재흡수 양상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수복 후 45일간 불소 유리량을 측정하고, 이후 APF 젤과 불소 바니쉬 도포 후 재흡수된 불소의 유리 양상과 주사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시편의 표면 거칠기 변화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복합레진, 유동성 복합레진, 컴포머, 광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자가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를 시편으로 제작하여 시편에서 방출되는 불소의 양을 처음 일주일 동안은 1일 간격으로 측정하고 8일에서 38일 사이는 3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불소가 완전히 유리된 후 APF 젤과 불소 바니쉬를 도포하여 4주간 불소 유리의 변화와 주사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시편의 표면 거칠기를 비교 평가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불소 유리 수복재에서 38일 동안 불소 유리는 유동성 복합레진은 1 ppm이하로, 컴포머는 1-2 ppm, 글라스 아이오노머는 2-8 ppm 으로 지속적인 유리가 관찰되었고, 실험 45일 경과 후 불소 유리는 거의 되지 않았다. 2. 불소 도포 후의 불소 유리는 불소 바니쉬보다 APF 젤 도포 후가 증가되었다. 불소 도포 첫날의 불소 유리에서 불소 바니쉬는 0.6-0.2 ppm, APF 젤은 0.6-2.6 ppm으로 유의 할 만한 차이를 보였고 (p<0.05), 나머지 4주간은 대부분 비슷한 정도의 유리를 보였다. 3. 주사전자현미경적 소견은 불소를 도포시키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불소를 도포시킨 실험군이 거친 표면을 나타냈다. APF 젤과 불소 바니쉬 도포 후 APF 젤보다 불소 바니쉬의 표면 거칠기가 적었다.

  • PDF

불소 유리로 본 불소 함유 수복재 (Fluorine-releasing of Dental Restoration Materials in which the Fluorine is Contained)

  • 김주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11-322
    • /
    • 2012
  • 치과용 수복재에서 불소의 치질강화와 항우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 재료에서 불소 유리량의 차이와 불소 유리의 지속성을 실험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수복재는 Ionoseal, Fuji Filling LC, Quadrant Universal LC, PermaCem$^{(R)}$, Dyract$^{(R)}$ AP 등 5종이였고, 불소유리량 실험에는 ICS-5000 Reagent-FreeTM Ion Chromatography가 이용되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모든 종류의 수복재에서 시간 경과 후 불소 유리량이 감소하였고, 4주 후에는 유의 할 만큼 급감하였다. Fuji Filling LC(12.446 PPM)와 PermaCem$^{(R)}$(16.008 PPM)는 장기간 불소가 유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2. Ionoseal(0.887 PPM), Quadrant Universal LC(0.957 PPM)는 1주 후부터 1 PPM 이하의 소량의 불소를 유리하였고, Dyract$^{(R)}$ AP는 1주 후에 8.631 PPM 유리하였다가 2, 4주 후에는 급감하여 각각 0.175 PPM, 0.116 PPM을 유리하여 많은 시간 경과 후에는 불소 유리 효과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3. Fuji Filling LC와 PermaCem$^{(R)}$은 1주 경과 후 각각 33.372, 1.901 PPM의 불소를 유리하였으나, 2주 후에는 급격히 많은 36.370, 18.223 PPM의 불소를 유리하여 2주 후에 가장 많은 불소를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따라서 치과용 충전 수복재의 불소 유리에 가장 효과적인 재료는 레진 강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와 콤포머 제품으로 나타났고, 미세누출로 인한 불소의 항우식 효과를 보기위한 제품 선택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인 것 같다. 제조회사의 매뉴얼에 나타나는 항우식 효과는 본 실험과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향후 In Vitro 상태에서 레진 강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와 콤포머 제품에 대한 더 오랜 시간 실험을 통해 불소유리의 지속시간 확인을 위한 계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와 불소함유 레진의 불소유리에 관한 연구 (IN VITRO STUDY ON THE FLUORIDE RELEASE FROM GLASS IONOMER CEMENTS AND A FLUORIDE-CONTAINING RESIN)

  • 김미경;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99-407
    • /
    • 1998
  • 불소를 유리하는 치과재료인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와 불소함유 레진을 대상으로 경화후의 시간경과에 따른 1일간 불소유리량을 측정하고, 이들의 경시적 변화추세를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광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로서 치과교정용 브라켓 접착제($Orthobond^{\circledR}$)와 충전응(Fuji GC $LC^{\circledR}$), 자가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로서 충전용 (Fuji GC $II^{\circledR}$)과 아말감 합금이 첨가된 충전용(Miracle-$Mix^{\circledR}$) 및 광중합형 불소함유 충전용 레진($Heliomolar^{\circledR}$)을 실험재료로 하여 중합 1일, 3일, 7일, 14일, 42일, 70일 경과후 각각 불소유리량을 측정하고, 변화추세를 비교 검토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전 실험기간에 걸쳐 불소함유 레진의 1일간 불소유리량은 글라스 아이포노머 시멘트에 비해 현저히 적었다. 2. 중합 70일 경과후 1일간 불소유리 량은 Miracle-$Mix^{\circledR}$는 평균 $3.4{\mu}g/cm^2$, Fuji GC $II^{\circledR}$가 평균 $2.7{\mu}g/cm^2$, $Orthobond^{\circledR}$가 평균 $2.3{\mu}g/cm^2$, Fuji GC $LC^{\circledR}$이 평균 $1.4{\mu}g/cm^2$였고, 불소함유 레진인 $Heliomolar^{\circledR}$은 평균 $0.1{\mu}g/cm^2$이었다. 3. 1일간 불소유리량은 자가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와 광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사미에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고, 제조회사의 제품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말감 합금이 첨가된 Miracle-$Mix^{\circledR}$은 아말감 합금이 첨가되지 않은 다른 시멘트에 비해 현저히 많은 양의 불소를 유리하였다. 4. 모든 실험재료의 1일간 불소유리 량은 중합 3일이전까지 현저한 감소를 보였고, 중합 3일경과이후 중합 14일 이전까지 완만한 감소를, 중합 14일이후부터 중합 70일경과까지 매우 완만한 감소추세를 보였다.

  • PDF

수종의 불소 함유 수복재의 불소 유리 및 압축 강도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FLUORIDE RELEAS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SEVERAL F-CONTAINING RESTORATIVE MATERIALS)

  • 박지영;김종수;김승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69-476
    • /
    • 2008
  • 본 연구는 새로 개발된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인 $Ketac^{TM}$ N 100과 Fuji Fil LC의 개선된 점을 보기 위해 불소 유리량과 압축 강도를 Fuji II LC와 비교 평가해 보았다. 불소 유리량 측정을 위해 각 재료 별로 시편을 15개씩 제작하여 탈이온수에 보관하였고, 31일 동안 pH/ISE meter(750P, Istek, Korea)를 이용하여 불소 유리량을 측정하였다. 압축 강도 측정을 위해 각 재료별로 15개씩 시편을 제작하여 만능 경성 시험기(Kyung-sung Testing Machine Co., Korea)를 이용하여 시편이 파절된 시점의 최대 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전반적인 불소 유리량은 Fuji Fil LC, Fuji II LC, $Ketac^{TM}$ N 100 순으로 높았다(p<0.05). 2. 압축 강도는 Fuji II LC와 $Ketac^{TM}$ N 100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05), Fuji Fil LC는 두 재료보다 낮은 압축 강도 값을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Ketac^{TM}$ N 100은 대조군인 Fuji II LC와 비교 시 불소 유리량은 적었으나 압축 강도는 유사했고 Fuji Fil LC는 불소 유리량은 높았고 압축 강도는 낮았다. 이런 재료의 특성에 맞게 임상 적용을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