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orescent lamps

검색결과 382건 처리시간 0.034초

LED Chamber System을 이용한 광질 및 광조사 방법 제어가 국화 배양소식물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 Quality and Lighting Type Using an LED Chamber System on Chrysanthemum Growth and Development Cultured In Vitro)

  • 허정욱;이용범;장유섭;이정택;이덕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74-38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LED Chamber System을 이용하여 명기시간 동안 광질과 광조사 방법 제어가 단절단엽의 국화 배양소식물체(Dendranthema grandiflorum L., cv. 'Cheonsu')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은 청색, 적색 및 녹색의 단일광질 또는 청색+적색, 청색+녹색 및 적색+녹색의 혼합광질 조건하에서 이들 광질을 명기 16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또는 초당 50회 간격과 분당 20초간격으로 간헐적으로 제어하면서 42일간 수행하였다. 총 일장을 4시간 단축한 분당 20초 간격의 간헐조사는 관행의 형광등 연속조사에 비해 국화의 절간길이 신장에 의한 신초신장을 촉진하였으나, 배양소식물체의 양적생장은 연속광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명기동안 녹색광을 초당 50회 간격으로 간헐제어한 경우 연속조사에 비해 건물중이나 엽면적 증대와 같은 양적생장은 억제되었으나 형태적인 면에서의 절간신장은 촉진되었다. 따라서, LED Chamber System을 이용한 광질이나 광조사 방법의 제어는 관행의 형광등 이용 연속조사에 비해 명기시간 단축에 의한 전력소모량 감소 및 기내 배양소식물체의 생장이나 형태제어에 효과적인 배양기술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완전제어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광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의 생육과 기능성물질 함량 (Growth and Phytochemical Contents of Ice Plant as Affected by Light Quality in a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 김영진;김혜민;황승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6호
    • /
    • pp.878-885
    • /
    • 2016
  • 본 연구는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아이스플랜트의 생육과 기능성물질에 따른 광질의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아이스플랜트 종자를 128구 플러그 트레이에 암면을 이용하여 파종하였고, 묘는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담액식 수경재배를 이용하여 정식하고 재배하였다(EC $1.5dS{\cdot}m^{-1}$, pH 6.5). 정식 후 2주째부터 아이스플랜트의 블러더 세포 발달을 위해 2mM의 염화나트륨(NaCl)을 첨가하여 공급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다른 광질을 가진 세 개의 인공광원으로는 형광등과 RW LED, RBW LED를 사용하였다. 이때 광주기는 14/10(명기/암기), 광도는 $150{\mu}mol{\cdot}m^{-2}{\cdot}s^{-1}$ PPFD로 설정했다. 결과적으로 엽면적,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형광등 처리에서 아이스플랜트의 생육 증진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SPAD 값은 형광등과 RBW LED 처리에서 각각 29.8과 30.6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염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엽록소 형광은 형광등 처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총페놀함량과 항산화능은 RBW LED 처리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형광등과 RBW LED 처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본 결과는 형광등 처리에서 아이스 플랜트의 생육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기능성물질은R BW LED 처리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LCD 백라이트용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인버터 회로 해석 (Analysis of Inverter Circuit with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for LCD Backlight)

  • 정종문;신명주;이미란;김가을;김정현;김상진;이민규;강미조;신상초;안상현;길도현;유동근;구제환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587-593
    • /
    • 2006
  •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광원으로 하는 백라이트의 저항$(R_L)$과 전기용량(C), 그리고 인버터의 트랜스포머 인덕턴스(L)로 구성된 회로를 분석하였다. 램프의 저항과 전기용량은 램프에 흐르는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 및 Q-V 그래프에서 결정된다. 32인치용 EEFL 램프 하나의 저항 값은 $66\;k\Omega$이고 전기용량은 21.61 pF이다. 20 개의 EEFL을 병렬 연결한 백라이트의 저항은 $3.3\;k\Omega$이고 전기용량은 402.1 pF이다. 램프 및 트랜스포머 회로에서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는 2 차 코일의 인덕턴스 $L_2$와 결합계수 k로 나타내며, $\omega_M=1/\sqrt{L_2C(1-k^2)}$ 이다. 램프 시스템의 전류와 전압은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에서 최대값을 갖는다. 이러한 해석 해의 결과는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한다.

Effects of Temperature, Photoperiod and Light Intensity on Growth and Flowering in Eustoma grandiflorum

  • Oh, Wook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3호
    • /
    • pp.349-355
    • /
    • 2015
  • Lisianthus (Eustoma grandiflorum) is relatively sensitive to temperature and light conditions. For year round production of good quality potted plants and energy saving,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growth and flowering response to the combined conditions of these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rowth and flowering responses to temperature, photoperiod, and light intensity during the post-seedling stage. 'El Paso Deep Blue' lisianthus plants with four true leaf pairs were grown in growth chambers maintained at average daily temperatures (ADT) of 14, 20, and $26^{\circ}C$ and provided with three photosynthetic photon fluxes [PPF; 100, 200, and $400{\mu}mol{\cdot}m^{-2}{\cdot}s^{-1}$] for 8 (08:00-16:00) and 16 hours (08:00-24:00) by fluorescent and incandescent lamps, resulting in four daily light integrals (DLI): about 3, 6 (two photoperiods), 12 (two photoperiods), and $24mol{\cdot}m^{-2}{\cdot}d^{-1}$. After treatment for three weeks followed by growth for one week in a greenhouse of $20{\pm}3^{\circ}C$, growth and development were measured. Higher temperature, higher PPF, and longer photoperiod promoted plant growth and flowering; however the impacts of PPF and photoperiod were smaller than those of temperature. As ADT and DLI increased, the number of leaves, number of flowers, lateral shoot length, and shoot dry weight increased. An increase of about $1mol{\cdot}m^{-2}{\cdot}d^{-1}$ DLI could constitute an increase of 0.40 to $0.76^{\circ}C$ ADT depending on these crop characteristics when ADT and DLI are above $20^{\circ}C$ and $12mol{\cdot}m^{-2}{\cdot}d^{-1}$, respectively. Therefore, growers can select a regimen of heating or supplemental lighting without delaying harvesting time or decreasing crop quality.

Early Growth, Pigmentation, Protein Content, and Phenylalanine Ammonia-lyase Activity of Red Curled Lettuces Grown under Different Lighting Conditions

  • Heo, Jeong-Wook;Kang, Dong-Hyeon;Bang, Hea-Son;Hong, Seung-Gil;Chun, Chang-Hoo;Kang, Kee-Kyu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1호
    • /
    • pp.6-12
    • /
    • 2012
  • Early growth, pigmentation, protein content, and 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activity of red curly lettuces (Lactuca sativa L.) grown under different lighting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Fluorescent lamps (control), blue, red, and blue plus red light-emitting diodes (LEDs) were used as light sources for 10 days. An equal proportion (1:1) of blue and red LEDs was used in the mixed radiation condi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monochromic red or blue lighting increased fresh and dry weights of 'Ttuksum' and 'Jaju' lettuces. Anthocyanin synthesis was also significantly promoted by the mixed radiation of blue and red LEDs. The mixed radiation also increased the protein content and PAL enzyme activity of 'Ttuksum' leaves by about 200%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Anthocyanin content was the highest in lettuces subjected to the mixture radiation of blue and red light treatment, while anthocyanin synthesis was inhibited by monochromic red ligh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growth and pigment synthesis in lettuces are significantly enhanced by exposure to mixed radiation from blue and red LEDs.

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rum(Lib.) de Bary)의 균핵형성에 미치는 광선의 영향 (Effect of Light on the Sclerotial Formation of Sclerotinia sclerotiorum(Lib.) de Bary)

  • 김기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53-159
    • /
    • 1976
  • Sclerotinia sclerotiorum(Lib.) de Bary의 상치, 오이 및 유채의 3균주에 대하여 PDA를 기본부지로하여 광선이 이들의 균핵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광원으로서는 주광색 형광등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계속광처리에서 광도 480Lux까지는 광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지만 성숙균핵의 건물중은 이와는 반대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800 Lux 처리에서는 균핵시원체의 유기가 크게 억제되었고 성숙균핵은 거의 형성되지 않았다. 2) 5000Lux의 고광도라 하더라도 48시의 단시간처리는 균핵시원체수 및 성숙균핵수를 증가시켰다. 그러나 성숙균핵의 건물중은 160 Lux에서만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3) 광 shock 즉 1분간치의 계속광 48시간까지의 160 Lux, 500Lux 처리는 모두 균핵형성수와 건물중을 증가시켰는데 균핵형성수와 건물중을 증가시켰는데 균핵형성수는 500Lux에서 균핵건물중은 160Lux에서 더 높았다.

  • PDF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시광통신 기반 실내 IoT 모니터링 시스템 (Indoor IoT Monitoring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Smart Phone)

  • 오훈;이연재;박수빈;안현식;안병구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4권4호
    • /
    • pp.35-43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최근 무선통신분야에서 주목 받고 있는 가시광통신과 IoT(Internet of Things) 시스템을 융합한 실내 IoT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개발된 시스템의 주요한 특징과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내에서 발생하는 실제 데이터를 가시광 통신만을 사용하여 오직 서버를 통하여 가공 처리 할 수 있다. 둘째,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모니터링 한다. 성능평가는 보통의 형광등이 비추는 곳에서 실험을 하였다. 먼저 데이터 수집 시스템의 송신 및 수신모듈간의 전송성공여부를 확인 한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LED의 집광 정도와 거리를 변화시켜 전송여부를 실험하고 제안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디코딩 성공률을 실험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 IoT 분야에도 응용 적용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인공광하의 공정육묘용 풍동 설계 및 공정묘 개체군상의 공기역학적 특성 (Design of a Wind Tunnel for Plug Seedlings Production under Artificial Light and Aerodynamic Characteristics above Plug Stand)

  • 김용현;고재풍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1권4호
    • /
    • pp.429-435
    • /
    • 1996
  • A wind tunnel consisting of two air flow conditioners with polycarbonate pipes, a plant growth room, a suction fan and fan controller, and fluorescent lamps,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growth of plug seedlings under artificial light and their Physical environments. Light transmissivities in the plant growth room based on the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and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was appeared to be 96.3% and 96.8%, respectively. Measurement showed a uniformity in the vertical profiles of air current speed at the middle and rear regions of plug trays in wind tunnel.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development of a wind tunnel based on the design criteria of the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was adequate. Air current speed inside the plug stan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due to the resistance by the leaves of plug seedlings and boundary layer developed over and below the plug stand. Driving force to facilitate the diffusion of gas inside the plug stand might be regarded as extremely low. Aerodynamic characteristics above the plug stand under artificial light were investigated. As the air current speed increased, zero plane displacement decreased but roughness length and frictional velocity increased. Zero plane displacement linearly increased with the average height of plug seedlings. The wind tunnel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be useful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ir current speed on the microclimate over and inside the plug stand and to collect basic data for a large-scale plug production under artificial light in a semi-closed ecosystem.

  • PDF

고효율 LED를 이용한 유도등의 원격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te Control for Exit Sign Using High Efficiency LED)

  • 백동현;홍석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7
    • /
    • 2002
  • 유도등은 일정한 조도를 가지고 상용전원에 의하여 항상 점등되어 있어야 함으로 전력소비 및 광원 교체등 경제적 손실과 관리상의 문제가 있게 된다. 본 논문은 이제까지 광원으로 사용하고 있던 형광등이나 백열전구 대신에 소비전력이 적은 고효율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전력소비의 절감과, 점검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원격제어가 가능한 새로운 유도등회로를 제안하고 실험한 것이다. 그 결과 원격제어 스위치에 의한 유도등 점검을 제어각의 범위에서 쉽게 제어할 수 있었으며 반응시간은 600〔$\mu$s〕로 매우 빠르게 동작하였다. 또한 출력 상승시간(Rise time)과 하강고시간(Fall time)은 최대 200〔ns〕로 예민하게 반응하였다. 광원으로 고효율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함으로 광원을 교체해야 하는등의 문제를 제거하였으며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종 시설물 전원계통의 전압과 전류고조파 실태 (Actual Conditions of Voltage and Current Harmonics on Low-voltage Power Systems Supplying Various Facilities)

  • 이복희;백영환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62-70
    • /
    • 2005
  • 본 연구는 각종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저압 전원계통에 나타나는 전압과 전류고조파의 실태조사에 관한 것으로 22.9[kV]/380[V]/220[V] 수전용 변압기 2차측 모선에서 측정하고, 그 결과를 IEEE와 IEC의 고조파 제한규격과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본 연구 대상의 전원선의 전압 종합왜형률은 적정수준으로 $5[\%]$이하이었다. 이에 반하여 전류왜형은 전압보다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전류고조파는 전압고조파보다 훨씬 크게 나타났으며, 전류고조파 왜형율은 $15.7\~60.4[\%]$로 매우 넓은 범위에 분포되어 있다. 특히 개인용 컴퓨터와 형광조명을 주로 사용하는 사무용 건물의 전원선 전류왜곡은 공장의 부하전류의 왜곡에 비해 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조사 대상의 전원선 고조파 실태에서 전압고조파는 IEEE와 IEC규격의 제한값 이내이었지만 전류고조파는 이들 규격의 제한을 훨씬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