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er to leaf ratio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7초

오미자의 화아(花芽) 발달과 성 발현에 미치는 하계전정의 영향 (Flower bud development and the influence of sex expression of summer pruning in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김선;김태수;박문수;박호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7-101
    • /
    • 2003
  • 자웅동주 단성화인 오미자의 화아형성 및 성 결정 시기를 밝혀 기초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 전정을 통해 암꽃 착생량을 증가시키고자 수행하였던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오미자의 화아 형성은 6월 상순에 시작되었으며 7월 상순 완료되었다. 2. 익년 결실지와 동아는 9월 성장이 완료되었다. 3. 전정구의 2차 생장지 발생은 34-56%로 높았으나 7월1일 10절 처리는 25%로 낮았다. 4. 전정된 가지들의 개화비율은 $13{\sim}31.3%$로 무처리 가지의 개화비율 36.7%보다 낮았고 가지별 암꽃 착생량도 무처리보다 적은 경향이어서 전정에 의한 암꽃착생 증진 효과는 없었다.

주요 반입 관엽식물의 무늬 특징과 엽록소 함량 비교 (Comparisons in Pattern Characteristics and Chlorophyll Contents of Major Foliages with Variegated Leaves)

  • 박인숙;신용길;오욱;김규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4호
    • /
    • pp.447-45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반입 관엽식물의 무늬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류하여 이용 및 육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반입의 형태 및 색, 면적비, 그리고 잎의 엽록소 함량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주요 관엽식물 중에서 국내 시장에서 확보할 수 있는 반입식물 6개과, 18속, 54종 또는 품종을 선정하여 재료로 사용하였다. 반입의 형태는 계단, 복륜, 복륜붕괴, 모래복륜, 절반, 비단, 별, 엽맥, 장작, 장작복륜, 중심, 초심, 잎, 불규칙, 그물, 수박, 참외무늬 등 20종류였다. 반입의 색깔은 암록, 적, 암적, 적백, 적황, 백, 은, 은백, 황백, 황색 등이었다. 반입 면적비는 5.8%에서 100%까지 종에 따라 다양하였는데, 초심의 반입 면적비율이 98.6%로 가장 높았고, 계단무늬도 60.8%로 비교적 높았다. 반면, 복륜, 별, 장작무늬 등은 33.6-36.4%로 비율이 낮았고, 절반 및 엽맥 무늬도 43% 정도로 낮았다. 반입의 엽록소 함량은 일반식물에 비해 적은 편이었으나, 엽록소 a와 b의 비율은 일반식물에 비해 b의 비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특히 Stromanthe sanguinea 'Triostar', Dracaena fragrans 'Massangeana Compacta'의 복륜붕괴 무늬종, D. reflexa 'Song of India' 및 Tradescantia spathacea의 엽록소 b함량이 a보다 많았다.

주요 스프레이 국화 품종의 형태적 특성과 변이계수, 유전율 및 유전자 전이율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Heritability and Genetic Advance of Major Cultivars of Spray Chrysanthemum)

  • 심성임;임기병;김창길;정미영;김경민;정재동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2호
    • /
    • pp.269-281
    • /
    • 2016
  • 절화용으로 재배중인 주요 스프레이 국화 10품종의 형태적 특성과 관련된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이들 평균치를 이용하여 변이계수, 유전율 및 유전자 전이율 등의 통계학적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형태적 특성을 보면 줄기의 길이 46.4-54,9cm, 줄기의 최대 직경 5.6-8.5mm, 줄기의 경도 $0.17-0.70kg{\cdot}m^{-2}$, 줄기의 생체중 7.5-17.5g, 줄기의 건물중 1.6-3.3g, 줄기의 생체중:건물중의 비율 15.9-23.1%, 줄기 내 엽수 8.4-12.2매, 줄기 내 엽면적 $17.8-37.8m^2$, 줄기 내 잎의 생체중 5.3-18.6g, 줄기 내 잎의 건물중 0.5-1.4g 줄기 내 잎의 생체중:건물중의 비율 7.6-11.5%, 화서의 길이 10.1-18.6cm, 화서의 생체중 7.3-26.7g, 화서의 건물중 1.2-2.8g, 화서의 생체중:건물중의 비율 10.4-17.1%, 화심 직경 8.2-13.3mm, 꽃잎 폭 5.7-14.0mm, 꽃잎 길이 12.9-33.1mm, 꽃잎 두께 $157.8-354.4{\mu}m$였으며 각 특성별 품종 간 DMRT와 LSD를 검정한 결과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변이계수, 표현 변이계수, 유전 변이계수는 줄기의 길이 4.79-5.15%로서 가장 낮았으며 엽면적 62.97-65.21%로 가장 높았으나 환경 또는 오차 변이계수는 엽면적 1.71%로 가장 낮았고 잎의 건물중 19.30%로 가장 높았다. 유전율은 줄기의 생체중:건물중의 비율 68.69%로 가장 낮았고 줄기 내 엽면적 99.67%로 가장 높았다. 유전자 전이는 줄기의 경도 0.30으로 가장 낮았고 화서 내 잎의 두께 156.65로 가장 높았으며 유전자 전이율은 줄기의 길이 9.17%로 가장 낮았으며 엽면적 134.27%로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이 위에서 언급한 높은 값을 나타내는 형질들은 부가적으로 유전자 작용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경종의 개량을 위해 만족할만한 선발 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완전제어형 식물공장에서 선형지수함수를 이용한 들깨의 생육 모델링 (Growth Modeling of Perilla frutescens (L.) Britt. Using Expolinear Function in a Closed-type Plant Factory System)

  • 설성관;백영택;조영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4-39
    • /
    • 2023
  • 식물공장에서 생육 모델링은 안정적인 생산과 수확량을 조절하는 데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환경 데이터와 생육량의 관계를 비교하여 환경 조건을 제어할 수 있는 도구가 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식물공장에서 재배하는 들깨[Perilla frutescens (L.) Britt.]에 대해 선형지수함수를 이용해 모델링하였다. 광도, 광주기, 혼합광의 비율을 각각 130μmol·m-2·s-1, 12/12시간, R:G:B(7:1:2)로 설정하여 정식한 후 화아분화가 발생할 때까지 12회 생육 조사하였고, 건물중과 생체중 예측을 위해 선형지수함수를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생체중과 건물중 간의 상관계수는 가장 높은 양의 상관관계(r = 0.996)를 보였고, 생체중과의 관계에서 건물중을 제외하면 엽면적, 초장, 엽수, 마디수, 엽장, 엽폭의 순으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생육 예측을 위한 독립변수로 정식 후 일수, 엽면적과 초장을 사용하였는데, 생육 예측을 위한 적합한 독립변수로는 엽면적이었다. 다만, 생육을 예측하기 위한 파괴적인 방법 또는 비파괴적인 방법에 대해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식물공장에서 들깨의 생육을 예측하기 위한 생육 모델식을 만들었다.

지베렐린 엽면살포가 '궁천조생' 감귤의 착화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liar Application of GA3 on the Flower Bud Formation and Fruit Quality of Satsuma Mandarine (C. unshiu Marc. cv. Miyagawa))

  • 강석범;문영일;한승갑;김용호;채치원;최영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43-347
    • /
    • 2013
  • BACKGROUND: Control of alternate bearing satsuma mandarin in Jeju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the optimum price of fruit and get the sustainable income of farmers. Unlike orange, Satsuma mandarin is well known to sensitive on alternate bearing. We carried out the experiment to know the effect of foliar application of $GA_3$ on the flowering and fruit quality of satsuma mandarin (C. unshiu Marc. cv. Miyagawa). METHODS AND RESULTS: To experiment, the treatments consist of control, different concentration of $GA_3$ (25, 50 and 100 mg/L), machine oil emulsion 100 times and mixture of various concentration of $GA_3$ (25 and 50 mg/L) with machine oil emulsion 100 times which it was applied on 15 year-old Miyagawa satsuma mandarin at December 29, 2011. Foliar application of $GA_3$ in winter reduced the flowering of satsuma mandarin. Flower-leaf ratio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100 mg/L $GA_3$, while no differences observed in low concentration of $GA_3$ (25 and 50 mg/L). However,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o 0.19 in application of $GA_3$ 25 and 50 mg/L with machine oil emulsion 100 times mixture. Number of leaves per fru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foliar application of $GA_3$ also it reduced the fruits remarkably. Soluble solid contents and Hunter's a of peel color ratio showed no difference among $GA_3$ single treatments, but it was reduced in $GA_3$ 25 and 50 mg/L with machine oil emulsion 100 times mixtures significantly. From the results, it has been found that higher $GA_3$ concentra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flowers on the alternate bearing of satsuma mandarin. However, it was found that lower concentration of $GA_3$ with machine oil emulsion mixture 100 times can reduce flowering. CONCLUSION(S): The foliar application of $GA_3$ (100 mg/L) can alleviate alternate beraring. Also, mixture of lower concentration of $GA_3$ with machine oil emulsion 100 times can retard flowering more significantly while it needs further confirmation.

재식거리가 코끼리마늘(Allium ampeloprasum L.)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Density on Yield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Elephant Garlic)

  • 윤철구;김기현;안기수;정재현;박영욱;권영희;이상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41-545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of elephant garlic. Three planting densities of 20 × 20, 20 × 15, and 20 × 10 ㎝ were tested with the furrow width fixed at 120 ㎝ for the evaluation of elephant galic growth and yield. The average date of emergence was middle and late November, requiring about 30 days for the all emergence. For the flowering, 221 days after sowing were required in all the treatments. Plant height and leaf growt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planting density. Flower stalk was shorter when planting density was narrow. The L/D ratio was decreased to form oval shape when planting density was narrow. The yield of elephant garlic was 1,811 ㎏ /10a in planting density 20 × 20 ㎝, 2,375 ㎏/10a in 20 × 15 ㎝, and 2,838 ㎏/10a in 20 × 10 ㎝ plot. The marketable garlic ratio was highest as 1,593 ㎏/10a in planting density of 20 × 15 ㎝.

프리지아(Freesia hybrida) '골드리치'의 양액재배 시 인공배지별 생육 및 개화특성 (Effect of Substrates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Freesia hybrid 'Gold Rich' in Nutrient Culture)

  • 이진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1호
    • /
    • pp.30-37
    • /
    • 2017
  • 프리지아 '골드리치' 양액재배 시 적정 인공배지를 선발하기 위해 펄라이트, 펄라이트(1) + 피트모스(1) 혼합, 피트모스를 처리하였다. 꽃눈분화 전 초기 생육은 혼합배지와 피트모스 배지가 펄라이트 배지에 비해 초장이 길었고 엽수는 차이가 없었다. 엽내 무기이온 흡수비율과 엽록소 함량(SPAD value)은 처리별 큰 차이가 없었다. 개화소요일수는 혼합배지가 137일, 피트모스 배지는 143일, 펄라이트 배지는 150일로 가장 늦었다. 식물체 총 중량은 혼합배지에서 62.2g으로 펄라이트배지 보다 21.3g이 더 무거웠고, 초장은 혼합배지에서 96.6cm로 펄라이트 배지 보다 20cm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화수도 혼합배지가 14.4개로 가장 많았고 펄라이트 배지 보다 1.7개가 많았다. 프리지아 양액재배 시 적정 배지로는 생육 및 개화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된 혼합(펄라이트 + 피트모스)배지로 판단되었다.

블루베리 인력적화 시기와 방법이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Fruit Quality of Rabbiteye Blueberry as Affected by Manual Floral Buds Thinning)

  • 김홍림;채원병;김진국;이목희;이한철;김승희;곽용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66-172
    • /
    • 2019
  • 블루베리의 소과비율 증가는 시장 경쟁력 하락과 수확생산성 악화로 농가의 채산성을 악화시킨다. 본 연구는 래빗아이 블루베리를 대상으로 적화 시기, 방법에 따른 과실특성, 생산성을 구명하여 농가현장에 적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수는 8년생 'Brightwell'를 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분수로 'Powderblue'를 사용하였다. 엽과비에 따른 과실크기 분포는 착과량이 다양한 127주의 'Brightwell'을 대상으로, 주당 1개의 결과모지를 선정하여 잎과 과실수를 계수하였다. 적화시기에 따른 효과 구명을 위해 꽃눈 발달 단계별로 구분하여 착화량의 50%를 제거하였고, 이때 소요되는 시간과 과실특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블루베리 과중과 당도는 엽과비와 같은 경향으로 증가했으며, 직경 13 mm미만, 이상으로 구분한 과실크기 분포비율은 엽과비 2.5수준에서 반전되었다. 꽃눈 발달단계별 손 적화 속도는 만개기(Full bloom) 적화가 가장 빨랐으며, 발아초기(Bud swell) 적화가 가장 늦었다. 적화시기에 따른 과중과 직경 13 mm 미만 소과비율은 조사품종 모두 무 적화와 비교해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주당 수량은 유의차가 없었다. 소과비율은 두 품종 모두 적화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낙화기(Petal fall) 적화는 무적화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누적 수확량 90%에 도달한 시점은 'Brightwell'은 만개기(Full bloom) 적화, 'Powderblue'는 발아초기(Bud swell), 만개기(Full bloom) 적화처리에서 가장 빨리 도달했다. 이는 무 적화와 비교하여 수확이 각각 25일, 20일 빨랐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적화 정도에 따른 효과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적화는 조기 집약수확과 대과비율 및 수확생산성 증가에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하였고, 적화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만개기(Full bloom) 전에 결과지 선단 화총의 하단부 꽃눈을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감마선 조사가 옥잠화와 털머위 종자의 발아, 생육 및 변이 유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Ray Irradiation on Seed Germination, Growth and Variant Induction in Hosta plantaginea and Farfugium japonicum)

  • 박재옥;조혜성;박문영;조윤섭;강시용;곽수년;허북구
    • 화훼연구
    • /
    • 제16권2호
    • /
    • pp.128-133
    • /
    • 2008
  • 옥잠화(Hosta plantaginea)와 털머위(Farfugium japonicum) 종자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고품질의 변이종을 선발할 목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두 식물의 종자에 ${\gamma}-ray$를 10-30Gy로 조사한 후 파종하여 종자발아, 생장, 생존율 및 변이체 유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옥잠화와 털머위 모두 20Gy 이상의 선량에서는 선량이 증가될수록 발아가 지연되고 발아율도 저하되었다. 반치사선량(半致死線量)은 옥잠화 30Gy, 털머위는 25Gy 수준이었다. 생장은 옥잠화, 털머위 모두 ${\gamma}-ray$ 10Gy 이상의 선량에서 왜화경향이 뚜렷하였다. 옥잠화는 $M_1$세대에서 166개의 변이체가 나타났으며, $M_2$ 세대에서 12개의 유망 변이체를 선발하였다. 털머위는 $M_1$세대에서 57개의 변이체가 나타났으며, $M_2$ 세대에서 9개의 유망 변이체를 선발하였다.

털부처꽃 채취부위별 추출물이 만성 알코올 투여 흰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 Part Extracts of Lythrum salicaria L. on Chronically Alcohol-Administrated Rat)

  • 이승은;김금숙;이정훈;강용구;이은숙;최재훈;이아름;박수진;노형준;김승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34-340
    • /
    • 2011
  • The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the different parts of Lythrum salicaria (LS) on liver protective activities in chronically alcohol-treated rats. SD male rats except normal animals were administrated with alcohol ($30m{\ell}$ of 30%~40% ethanol/kg/day) and the extracts (300 mg/kg/day) for 10 weeks. Chronic alcohol administration decreased body weight, high density lipoprotein (HDL)-cholesterol and the reduced form-glutathione (GSH), whereas increased the ethanol content, 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 (GOT),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LDL)- cholesterol, triglyceride in blood/serum and the ratio of the oxidized form of glutathione (GSSG) and total GSH (GSSG/total GSH) in liver tissue. Groups treated with the extracts of leaf, root and stem, showed decrease in GOT, total cholesterol and GSSG/total GSH and increase in hepatic aldehyde dehydrogenase (ALDH), total GSH and serum albumin. Administration with the root extract of LS decreased blood ethanol content compared with the other part extracts. But, serum triglyceride values in rats treated with root and stem extract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negative control animals. Flower extract-fed group showed decrease in body weight and serum triglyceride, but increase in the ratio of GOT and glutamic-pyruvic transaminase (GPT), and GSSG/total GSH. From the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extracts of root and leaf among the plant parts of LS might be useful for the amelioration of the chronic alcohol-induced liver demage of r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