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lower crop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28초

파종기이동에 따른 결명(Cassia tora L.)의 개화의 결협특성 (Flowering and Pod Setting Characteristics of Cassia tora L. Grown under Different Planting Time)

  • 김광호;조선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6-251
    • /
    • 1989
  • 파종기 이동에 따른 결명의 개화와 결협 특성의 변이양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6년 4월 20일부터 6월 20일까지 20일 간격으로 4회에 걸쳐 파종하여 개화 및 협발달을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4월 20일, 5월 10일 및 5월 30일 파종구의 개화시와 개화기간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6월 20일 파종구의 개화시는 크게 늦어졌고 개화기간도 짧아졌다. 그러나 개화종자일은 어느 파종구나 비슷한 시기였다. 2. 주당 개화수, 착협수는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착협율과 결협율은 4월 20일, 5월 10일 및 5월 30일 파종구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6월 20일 파종구에서는 크게 떨어졌다. 3. 어느 파종구에서나 개화시 이후 4일째부터 개화최성기가 시작되고 일정한 기간동안 일별 개화수가 비슷하게 유지되다가 개화종자일에 가까워지면서 개화수가 약간씩 감소하였다. 4. 결명은 주경 및 분지의 하위절에서부터 상위절로 올라가면서 피는 무한화서를 가지고 있었으며 주경의 결협률이 분지보다 높았다. 5. 어느 파종기에서나 개화시로부터 2주째에 핀 꽃들의 착협수 및 결협수가 가장 많았으며 그 이후 개화기가 늦어질수록 착협수와 결협수가 감소하였고 9월초순 이후에 핀 꽃들은 결협으로 연결되지 못하였다. 6. 4월20일, 5월10일 및 5월30일 파종구에서는 개화시로부터 2주째에 핀 꽃에서 발달된 협의 길이, 협당 종실수 및 천입중이 최대치에 달했으며 그 이후 개화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다. 6월 20일 파종구는 꽃이 늦게 필수록 협장, 협당 종실수 및 천입중이 감소하였다.

  • PDF

종피제거와 돼지감자종자의 발아 (Seedcoat removal and seed germination in Helianthus tuberosus L.)

  • 임근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1-40
    • /
    • 1990
  • Pericarp and seedcoat removal treatments were tested to determine their effectiveness in the hard-to-germinate botanical seeds of jerusalem artichoke. Fresh seed of five Helianthus tuberosus L.varieties were (A)untreated (B)water soaked overnight (C) soaked overnight followed by renoval of pericarp or (D) soaked overnight followed by renoval of pericarp and seedcoat. The results indicate that treatments which removed the pericarp and seedcoat were the very effective, giving germination of over 90%. A considerable increase in germination did not follow only the peri-carp removal treatments. The factors inhibitory to germination of fresh jerusalem artichoke seed is associated withthe seedcoat. The removal treatment of pericarp and seed-cost is recommended despite its complexity because it givesa high germination percentage and varies least from varietyto variety. Heliarthus tuberosus L., a biomass potential crop, is a member of the family compositae. The genus Helianthushas provided man with two food plants, the sunflower (H.annus) and the jerusalem artichoke or topinambour (H. tube-rosus) . (3) The jerusalem artichoke grown for its tubers, has always been an extremely minor crop, but it is stillgrown in many places as a food for man or livestock and forthe production of alcohoL. Though tubers are used for pro-pagation jerusalem artichoke also flower and produce seedin head-like in florescences. Flowers are developed acro-petaLly on flattened receptacles such that outermost flowers are oldest. Each of these epigynous flowers may develop an achene-type fruit in which outer layers of the overy wallpersist, while inner layers become disorganized. Insidethe ovary wall of mature fruit, there is a papery seedcoat, probably composed of compact cells from endosperm, integu-ments, and nucellus.In general, the efforts to improving this crop havebeen hampered by the hard-to-germinate botanical seed.Seeds did not germinate for at least IL months after harvest.Fresh seeds of some varieties require one year more to gar-minate. (5) Since the time factor between generations isof concern in a prospective breeding program of jerusalemartichoke , these observations led to investigation of thenature of delayed seed germination in jerusalem artichokeas a biomass potential crop.

  • PDF

국내 자생 동백나무의 잎과 꽃으로 만든 엽차와 화차의 주요성분 (Major Components of Teas Manufactured with Leaf and Flower of Korean Native Camellia japonica L.)

  • 차영주;이장원;김주희;박민희;이숙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3-190
    • /
    • 2004
  • 국내자생 동백 (Camellia japonica L.)을 이용하여 기능성 차로 개발하고자 엽차와 화차의 주요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덖음화차를 제외하고 6%이하의 수분 함유량을 보여 차 제조를 위한 기본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다고 사료된다. 조단백은 신엽덖음차에, 조지방은 성엽덖음차에, 조회분은 신엽발효차에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Caffein 함량은 성엽덖음차 (0.38%)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성엽찐차가 5.18%로 가장 많았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Caffein의 함량은 녹차에 비해 낮았다. Catechin은 제다된 모든 차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었고 특히 신엽발효차에 28.6%가 함유되어 있었다. 차의 맛과 색, 향의 결정적 요인인 tannin은 신엽덖음차에 9.57%로 가장 높게,성엽덖음차에 4.61%로 가장 낮게 함유되어 있었다. Theanine은 덖음화차에 1074 mg/100 g으로 다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그 양은 신엽덖음차와 신엽발효차의 약 2배 정도였다. Vitamin C는 화차에 227.7 mg/100 g으로 가장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었다. 유리아미노산은 성엽찐차와 성엽 덖음차에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신엽덖음차와 신엽발효차에는 asparagine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차 맛의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신엽덖음차와 신엽발효차에 5종의 핵산물질이 함유되어 있었고, 그 중 신엽덖음차에 GMP $(7.86\;{\mu}mol/g)$와 Hypoxanthine $(8.57\;{\mu}mol/g)$, AMP $(12.67\;{\mu}mol/g)$이 다량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은 모든 차에서 4종 (Glucose, Fructose, Sucrose, Maltose)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덖음화차에 다량의 Glucose (65.5 unit)와 Fructose (59.6 unit)가 함유되어 있었다.

파종기이동에 따른 두과작물의 생육특성 비교연구 제2보 콩, 팥, 녹두의 개화기 분포 및 결협율의 변이 (Comparative Studies on Growth Patterns of Pulse Crops at Different Growing Seasons II. Variation in Distribution of Flowering Dates and Pod Setting Ratio of Soybean, Azuki -bean and Mungbean)

  • 김기준;김광호;김영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3-250
    • /
    • 1981
  • 파종기이동에 따른 콩, 팥, 녹두의 개화기분포와 결협율의 변이를 알기 위하여 중부지방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는 품종 하나씩을 공시, 5월 10일, 6월9일, 7월 9일 파종구 및 5월 10일 파종후 단일 처리한 구를 두어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각 처리별 개화까지의 일수, 개화기간 그리고 개화시에서 정엽출현까지의 일수를 비교한 결과 공시된 중 품종은 유한신육형에 그리고 팥과 녹두는 무한신육형에 속하는 것이었다. 2. 주당개화수 및 성숙협수는 3작물이 모두 7월9일 파종구 및 단일처리구에서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결협율은 파종기에 따라서 일정한 경향 없이 콩 38\sim48%, 팥 23\sim34%, 그리고 녹두 46\sim60%였는데 콩과 녹두는 낙화 그리고 팥은 낙협이 각각의 결협률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3. 콩은 어느 파종구에서든지 1회의 개화성기를 보인 반면 팥과 녹두는 극만파구민 7월9일 파종구를 제외하고는 2\sim3회의 개화성기를 보였고 개화최성기는 콩이 개화시로부터 10일 이내에 왔으나 팥과 녹두는 파종기에 따라서 개화시로부터 25\sim45일 사이에 왔다. 4. 개화기에 따른 성숙협수의 분포는 모든 처리구에서 개화분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콩의 결협율은 개화최성기 직후에 핀 꽃들이 가장 낮았으며 그 이전 및 이후에 핀 꽃들이 점점 높은 값을 보였다. 팥과 녹두의 결협율은 각 개화성기 직전에 된 꽃들이 높았고 그 직후에 핀 꽃들이 낮은 값을 보였는데 7월 9일 파종구는 3작물에서 모두 시기적으로 늦게 핀 꽃일수록 결협률이 낮아졌다. 5. 중은 모든 파종구에서 정엽출현일을 전후로 한 5일 동안에 개화최성기를 보였으며 정엽전개 이전에 핀 꽃 및 여기서 생긴 성숙협수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한 반면 팥과 녹두는 정엽출현기와 개화 또는 결협간에 아무런 관계도 없었고 정엽전관 이후에 더 많은 꽃을 피웠다.

  • PDF

RAPD분석 기술을 이용한 토종도라지의 기원 분석 (Differentiation of indigenous balloon 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DC.) germ lines in South Korea by using RAPD analyses)

  • 김태원;이수진;김만배;박춘근;신용욱;조영손;이신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1호
    • /
    • pp.19-25
    • /
    • 2014
  • 도라지는 초롱꽃과에 속하는 채소용 또는 약용으로 그 생산량이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국내의 경남지역에서는 토종도라지의 보존과 육성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도라지의 단가도 급등함에 따라 그 재배면적이 크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토종 도라지의 순계를 보존하기 위한 조직배양 기술의 확립과 함께 분자생물학적 기술을 이용한 토종 도라지의 판별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경남지역과 충남아산시 등의 야산에서 채종하여 수 십년간 자가 채종하여 재배하여온 농가에서 수집한 종자를 중심으로 5종의 primer를 이용하여 RAPD분석을 수행한 결과 총 48개의 밴드를 생산하였으며, 이중 21개 밴드는 다형성을 보이는 밴드로 40.3%의 다형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primer HD3는 총 13개의 밴드 중 10개가 계통간 다형성을 보여서 76.9%의 높은 다형성빈도를 보였다. 향후 핵 DNA 보다는 핵외 DNA를 이용한 SNP 마커의 확보 등 보다 진보된 기술을 이용한 보완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고구마 품종별 개화성 및 화기특성 (Flowering Responses and Floral Characteristics of Ipomoea batatas Varieties)

  • 안영섭;정미남;이준설;김영국;안태진;민경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33-440
    • /
    • 2009
  • 고구마는 우리나라와 같은 온대지역에서 개화(開花)가 잘 되지 않고 자가부화합성(自家不和合性)으로 알려져 있지만 자가화합성(自家和合性) 품종도 있으며 품종간(品種間)에 교잡부화합성(交雜不和合性)이 존재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이러한 특성(特性)들이 연구되지 않아 육종효솔(育種效率)이 매우 낮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구마 교잡육종(交雜育種) 효솔증진(效率增進)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국내에서 육성된 33개 품종의 개화성(開花性)을 조사하였다. 1. 자근(自根) 개화성(開花性)은 10~10.5시간의 일장(日長)에서 신미(新美) 등 14개 품종, 10.5~12시간(時間)의 일장(日長)에서는 홍미(紅美) 등 3개 품종만이 다소 개화되었고 그 이외의 품종들은 개화(開花)되지 않았으며, 12~14시간의 일장(日長)에서 개화되는 품종은 없었다. 2. 나팔꽃 대목(臺木)에 접목(接木)하였을 때는 자근상태(自根狀態)에서 거의 개화가 안되었던 품종들이 모두 개화되었고, 일장처리(日長處理) 방법에 있어서는 접목(接木)된 식물체(植物體)를 암실(暗室)로 이동시키는 방법에 의해 인위적(人爲的)으로 10시간의 단일처리(短日處理)를 하는 것보다 동계(冬季) 자연단일(自然短日) 상태(狀態)에서 개화성(開花性)이 더 증진되었다. 3. 품종별(品種別)로는 목계(木系)1호(號) 등 8개 국내품종은 접목(接木)과 단일상태(短日狀態)에서도 개화성(開花性)이 양호(良好)하지 못하였고 그 이외의 품종들은 개화성(開花性)이 양호(良好)하였다. 4. 화기특성(花器特性)은 조사품종 전체평균 화경(花梗)길이 $56.2\pm21.2\;mm$, 화경폭(花梗幅) $3.2\pm0.5\;mm$, 소화경(小花梗)길이 $6.8\pm2.1\;mm$, 소화경폭(小花梗幅) $2.4\pm0.3\;mm$, 암술길이 $19.3\pm1.7\;mm$, 최장(最長)수술길이 $20.2\pm2.7\;mm$, 최단(最短)수술길이 $14.6\pm1.9\;mm$로서 화경(花梗)길이를 제외하고는 품종간(品種間)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화주(花柱), 주두(柱頭) 및 화분(花粉)의 색(色)은 대부분의 품종이 백색(白色)이었으나 건미(健美) 등 2개 품종은 화주(花柱)가, 선미(善美) 등 4개 품종은 주두(柱頭)가 옅은 분홍색(粉紅色)이었고, 자방(子房)은 모든 품종이 옅은 갈색(褐色)이었다. 화관폭(花冠幅)은 $36.7\pm6.0\;mm$, 화통폭(花筒幅)은 $12.8\pm1.5\;mm$, 화관(花冠)길이는 $40.2\pm6.5\;mm$이었고, 화관(花冠) 및 화통(花筒)의 색은 모든 품종이 분홍색(粉紅色)이었으며, 화분직경(花粉直徑)은 $131\pm1.5\;{\mu}m$였다.

Regulation of Ascorbate Peroxidase Gene Expression in Response to Stresses and Phytohormone in Rehmannia glutinosa

  • Park Myoung Ryoul;Park Moon Hee;Yoo Nam Hee;Yu Chang Yeon;Yun Song Jo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86-290
    • /
    • 2005
  • Ascorbate peroxidase (APX) plays a crucial role in the detoxification of hydrogen peroxide. APX activity is maintain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raquat­treated leaves of the paraquat-tolerant Rehmannia glutino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structural and regulatory characteristics of APX gene in R. glutinosa. A putative APX cDNA clone (RgAPX1) was isolated from a leaf cDNA library using a partially sequenced expressed sequence tag clone. RgAPX1 is consisted of 1148 bp nucleotides and contains an open reading frame encoding a 250 amino acid-long polypeptide. Deduced RgAPX1 amino acid sequence shares higher sequence similarity to cytosolic APXs. RgAPX1. expression was higher in the leaf than in the flower and root. Southern blot result indicates the presence of one or two RgAPX1-related genes in R. glutinosa genome. RgAPX1 transcription was affected differentially by various stresses and phytohormone. The results indicate that RgAPXl is constitutively expressed in most tissues and its expression is modulated for the immediate and efficient detoxification of $H_2O_2$ under normal and stress conditions.

겨울유채의 개화습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itics of Flowering in Winter Rape)

  • 채영암;권용웅;이정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69-272
    • /
    • 1981
  • 유채의 개화습성을 용당품종을 공시하여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개체당 총개화수는 1,400~l,500개이었고 개화는 4월13일에 시작하였으며, 개체당 개화소요 일수는 30일이었다. 2. 개체당 협수는 560~630게 정도이었고 개체당 1차 분지는 18~20개이었다. 3. 협을 형성하는데 평균 5일이 소요되있고 분지의 부위에 따른 개화속도는 차이가 없었다. 4. 분지별 개화기간은 상부분지로 갈수록 0.45일씩 단축되었고 분지부위가 상위로 갈수록 협수는 1개 정도씩 감소했다. 5. 유분함량은 하부와 상부분지에서 높고 중부분지에서는 유의하게 낮았다.

  • PDF

Role of chlorocholine chloride on the in vitro PLBs organogenesis of Phalaenopsis 'Fmk02010'

  • Mehraj, Hasan;Alam, Md. Meskatul;Habib, Sultana Umma;Shimasaki, Kazuhik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73-173
    • /
    • 2017
  • Phalaenopsis orchi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lowers in flower industry. We conducted an experiment to find out the response of different concentration of chlorocholine chloride (CCC) for the in vitro regeneration of protocorm like bodies (PLBs) of Phalaenopsis 'Fmk02010'. We used fiv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CC and these were 0 (control), 0.01, 0.1, 1 and $10mgL^{-1}$ in modified MS medium and cultured for 42 days. We added two major salts ammonium nitrate ($412.5mgL^{-1}$) and potassium nitrate ($950.0mgL^{-1}$) to the MS medium for the modification. Maximum numbers of PLBs were found from media with $0.01mgL^{-1}$ of CCC (15.667) and maximum fresh weight (0.211 g) as well. The 100% PLB formation rate was also found from $0.01mgL^{-1}$ of CCC. We found 58.83% variation in number of PLBs ($R^2=0.5883$) and 47.44% variation in fresh weight ($R^2=0.4744$) to the different CCC concentrations. Our study suggested that increase in the CCC concentration negatively affect the PLBs organogenesis of Phalaenopsis. We can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very low concentration of CCC in plant culture medium can increase the number, formation rate and fresh weight of PLBs of Phalaenopsis.

  • PDF

Role of chlorocholine chloride on the in vitro PLBs organogenesis of Phalaenopsis 'Fmk02010'

  • Mehraj, Hasan;Alam, Md. Meskatul;Habiba, Sultana Umma;Shimasaki, Kazuhik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77-177
    • /
    • 2017
  • Phalaenopsis orchi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lowers in flower industry. We conducted an experiment to find out the response of different concentration of chlorocholine chloride (CCC) for the in vitro regeneration of protocorm like bodies (PLBs) of Phalaenopsis 'Fmk02010'. We used fiv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CC and these were 0 (control), 0.01, 0.1, 1 and $10mgL^{-1}$ in modified MS medium and cultured for 42 days. We added two major salts ammonium nitrate ($412.5mgL^{-1}$) and potassium nitrate ($950.0mgL^{-1}$) to the MS medium for the modification. Maximum numbers of PLBs were found from media with $0.01mgL^{-1}$ of CCC (15.667) and maximum fresh weight (0.211 g) as well. The 100% PLB formation rate was also found from $0.01mgL^{-1}$ of CCC. We found 58.83% variation in number of PLBs ($R^2=0.5883$) and 47.44% variation in fresh weight ($R^2=0.4744$) to the different CCC concentrations. Our study suggested that increase in the CCC concentration negatively affect the PLBs organogenesis of Phalaenopsis. We can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very low concentration of CCC in plant culture medium can increase the number, formation rate and fresh weight of PLBs of Phalaenop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