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 close

검색결과 826건 처리시간 0.024초

토끼에서 경부 교감신경절의 무수 에틸 알코올에 의한 화학적 차단 (Chemical Neurolytic Block with Absolute Ethyl Alcohol on Cervical Sympathetic Ganglion in Rabbits)

  • 강유진;서재현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7권2호
    • /
    • pp.162-169
    • /
    • 1994
  • Blockade of cervico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stellate ganglion controls pain on face, head, neck, shoulder, upper limbs, and upper chest, including their viscera and sympathetically maintained pain. This procedure also increases blood flow to the above areas and relieves hyperreactivity of sympathetic nervous system. Clinically, repeated stellate ganglion blocks with local anesthetic agent may become difficult with complications such as accidental intravascular or subdural injection, recurrent laryngeal nerve or bracheal plexus paralysis, pneumothorax and edema on injection site. Therefore, at times long-term cervicothoracic ganglion block with neurolytics is necessitated but its applications are prohibited by the critical structures surrounding ganglion. There are also few reports of neurolytic stellate ganglion block.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complications, gross changes of surrounding structures, and microscopic findings of ganglion cells after neurolytic block and to certify the possibility of clinical use of neruolytic stellate ganglion block. The unilateral superior cervical sympathetic ganglion of rabbit was blocked with absolute ethyl alcohol 0.4 ml at the level of cricoid cartilage. Normal ganglion was used as a control and 5 animals were sacrificed at each intervals of 7, 15 and 50 days after bloc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ll experimental animals showed no specific changes of behavior, motor function. No necrotic tissues were present in the block area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There were some gross scar tissues along the fascia of muscles surrounding the needle injection site, but gross atrophy of muscles or injured major vessels were not found. 2) Microscopically, structures of normal ganglion of rabbit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humans. Seven days after absolute ethyl achohol injection there were marked edema of ganglion cells and nuclei with irregular nuclear membrane. Some of the ganglion cells lost their nuclei and showed degenerative changes. Fifteen days after block, cell edema were decreased and loss of the Nissl's body was prominant. The ganglion cell structures looked close to normal but the cytoplasm and nucleus were generally contracted 50 days after block. These results suggest absolute ethyl alcohol injection on cervical sympathetic ganglion with above method mainly blocks pre- and post-synaptic fibers and the long-term neurolytic blockade of this ganglion may be possible in rabbits.

  • PDF

KLAM_21을 활용한 바람생성기능 평가분석 연구 -대구시를 대상으로- (A Study on Evaluation Analysis of Wind Formation Function using KLAM_21 -The Case of Daegu City-)

  • 류지원;정응호;김대욱;차재규;손경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5-92
    • /
    • 2008
  • 본 연구는 KLAM_21을 활용한 바람형성기능 평가분석에 관한 연구로서 대구시를 사례대상지로 실제 도시공간상에서 지형조건과 토지이용에 따라 어떻게 바람이 유동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신천상류 가창골 일대의 계곡과 주변산지 경사면에서 형성된 찬공기는 신천상류를 따라 북쪽으로 유동되어 확장되고 있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찬공기의 양과 높이 그리고 유속 및 방향 등에 있어서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이 지역의 공간적 특성이 찬공기가 생성되고 유동하는데 있어서 매우 양호한 조건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앞산공원지역에서는 앞산공원일대를 가로지르는 고가도로와 바람의 유동을 방해하는 대규모의 아파트단지 밀집, 그리고 공원내의 건축물 등의 도시개발의 행위로 인하여 찬공기의 생성 및 유동이 크게 방해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찬공기의 양과 높이에 있어서도 미약하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바람길의 공간적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바람길생성의 기본 형태인 찬공기 형성 및 유동, 그리고 찬공기 축적 및 유지지역이 공간적으로 연계되어야 하며, 이러한 공간적 연계는 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The Movement of Boron Compound by Infusion Method and Combination of Injection and Bandage-Wrapping

  • DAMAYANTI, Ratih;SRIBUDIANI, Evi;SOMADONA, Sonia;Djarwanto, Djarwanto;TARMADI, Didi;AMIN, Yusup;YUSUF, Sulaeman;SATITI, Esti Rini;ARSYAD, Wa Ode Muliastuty;SULAEMAN, Rudianda;Syafrinal, Syafrinal;PRAMASARI, Dwi Ajias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513-526
    • /
    • 2020
  • The existing preservation methods are difficult to be applied to a large dimension log which is needed for making traditional wooden ship 'Jalur' in Riau Province. Novel techniques to provide the use of readily available species to replace traditional species alternative were investigated. These included infusion and a combination of injection and bandage-wrapping methods for preserving living trees of Balam (Macaranga conifera (Rchb.f. & Zoll.) Müll.Arg.) and Bintangor (Calophyllum soulattri Burm.f.). Water-based boron compounds were applied as wood preservatives. In total, 18 discs from the bottom, middle, and top of four trees and two controls were used. Trees undergoing treatment were also used to see how wood anatomical structure might affect the boron penetration. The overall aim was to identify the best method for use in Jalur manufacturing. The results showed that in infused Balam tree where the hose position for the preservative intake was deep (10-15 cm from the bark), no boron compound was observed in the outer sapwood. Combination of injection and bandage-wrapping method gave higher percentage of boron penetration at bottom and middle of Balam tree. However, infused Bintangor showed 100% boron penetration. The larger vessel diameter, the absence of tyloses, and the simple perforation plates in Bintangor wood were likely to have contributed to the higher penetration of boron. The combination of bandage-wrapping and infusion, or alternatively by infusing the living trees close to the bark, and at as low as position in the stem gives better protection when treatments are applied to living trees.

문산천의 유사특성 및 장기하상변동 예측 (Sediment Properties and Long-term Bed Change of Munsancheon)

  • 이재근;안재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29-341
    • /
    • 2011
  • 본 연구는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문산천의 유사량을 직접 실측하여 유사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수치모형에 적용하여 장기적인 하상변동을 예측하였다. 직접 실측된 유사랑을 이용하여 유량-총유사량 관계식을 유도하였으며, 기존의 추정공식을 통해 산정된 총유사량과의 비교를 통해 적절한 유사량 추정방법을 평가하였다. 실측에 의한 문산천의 연간 총유사량은 5,478ton/year, 비유사량은 29.23ton/$km^2$/year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공식과 비교한 결과 Ackers & White공식이 실측치와 매우 유사한 값을 산정하였다. 실측된 유사량 및 지형, 수문자료를 입력변수로 하여 HEC-6와 GSTARS 모형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HEC-6 모형이 문산천의 장기하상변동 예측에 적합한 모형으로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본 연구의 장기하상변동 예측에 적용하였다. HEC-6 모형을 이용한 장기하상변동 예측결과 문산천의 경우 하류부에서는 지속적으로 퇴적이 나타나고 상류부에서는 전반적으로 침식이 발생하였으며, 향후 20년 후의 하상상태로 안정화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상 변동량은 20년동안 1m 이내로 유의한 수준에 있다. 그러나 감조부의 영향을 받는 하류부에서는 유출구로부터 2,000m~7,000m 사이의 구간에 퇴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향후 하천관리계획 수립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압전유압펌프 성능실험에 대한 연구 (On the Performance Test of the Piezoelectric-Hydraulic Pump)

  • 주용휘;황재혁;양지연;배재성;이종훈;권준용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822-82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압전재료를 이용하여 중소형 무인기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압전유압펌프를 설계 및 제작하고, 제작된 압전유압펌프의 성능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중소형 무인기급 목표 항공기를 선정하여 브레이크 시스템의 요구조건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압전유압펌프의 성능 요구조건을 선정하였다.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압전유압펌프의 형상설계를 수행하였으며, 고속 동작 조건에서도 유체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체크밸브를 비롯한 모든 구성품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압전유압펌프의 성능검증을 위해 실험장치를 구성하여 무부하 토출특성, 부하 시 압력형성 특성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무부하 최대 토출유량은 80 Hz에서 120.04 cc/min이고, 부하 시 최대 토출압력은 140 Hz에서 783.17 psi이고, 압력형성 반응속도는 약 30 ms 이내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설계 제작된 압전유압펌프가 펌프성능 요구조건을 충족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시추공 텔리뷰어 및 BIPS의 영상자료 해석을 통한 파쇄매질의 투수율텐서 계산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 적용성 평가 (Program Development to Evaluate Permeability Tensor of Fractured Media Using Borehole Televiewer and BIPS Images and an Assessment of Feasibility of the Program on Field Sites)

  • 구민호;이동우;원경식
    • 지질공학
    • /
    • 제9권3호
    • /
    • pp.187-206
    • /
    • 1999
  • 시추공 텔리뷰어 및 BIPS의 공내 검층자료를 이용하여 파쇄매질이 나타내는 투수율텐서를 수치적으로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검층자료의 분석을 통해 제공되는 불연속면의 방향과 두께등의 기하학적인 정보를 입력자료로 사용하며, EPM 모델에 근거한 관계식을 적용하여 투수율텐서를 구성하는 9개 성분의 상대적인 값을 계산한다. 거제시 일운면에 위치하는 연구지역 시추공을 대상으로 수리간섭 시험을 실시하여 암반의 이방성을 추정하였으며 BIPS 검층자료로부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산정된 이론값과 비교,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수리간섭시험을 통하여 추정한 연구지역 암반의 수평적인 이방성비와 주축방향은 2.8 및 $N77^{\circ}CE$인 반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산정한 값은 3.0 및 $N63^{\circ}CE$로 나타냈다. 두 결과가 불일치한 이유로는 수리간섭시험 해석결과의 신뢰성, EPM모델 및 3승법칙의 현장 적용성, 프로그램에서 가정한 단열의 크기-두께 관계식의 단순화 등의 문제점을 들 수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투수율텐서를 계산하는 초기모델로서 단열면의 거칠기, 충전물질의 충전정도 및 수리특성을 반영하는 수리인자의 적용을 통한 개선이 요구되며, 암반의 투수성이 양호하며 시추공 간의 거리가 가까운 연구지역에서 시추공간 수압시험을 실시할 때 3차원의 현장적용성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다랑어 연승어구의 형상에 관한 시뮬레이션 (Simulation on the shape of tuna longline gear)

  • 이지훈;이춘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9권4호
    • /
    • pp.305-317
    • /
    • 2003
  • 중층 연승어구의 수중형상과 낚시의 심도는 어획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하다. 또한 매조업시마다 얻어지는 낚시별 어획어종, 크기등과 같은 조획 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와 분석도 향후 조업을 위한 지표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향$.$유속에 따른 어구의 수중 형상을 시뮬레이션하여 해석하였고, 해석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에서 얻어진 각 낚시별 심도 정보를 활용하여, 낚시별로 사용한 미끼와 어획된 어종의 자료를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디음과 같다. 1. 영각과 단축률이 일정할 때,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낚시의 심도는 유속에 비례해서 감소하였다. 2. 단축률과 유속이 일정할 때, 영각이 증가함에 따라 낚시의 심도는 영각에 비례해서 감소하였다. 3. 영각과 유속이 일정할 때, 단축률이 증가함에 따라 낚시의 심도는 단축률에 비례해서 감소하였다. 4 시뮬레이션에 의한 수중 형상과 모형어구의 수중 형상을 비교한 결과, 오차는 $ {\pm}3%$ 이내로 나타나 실험결과에 대한 시뮬레이션의 결과가 잘 일치함을 나타내었다. 5 본 연구에서 시뮬레이션에서 얻어진 낚시 심도정보를 활용한 조획률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여러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미끼, 낚시 섬도 등에 따라서 어획어의 종류와 크기를 분석할 수 있어서, 현장의 조획 데이터의 관리 및 분석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타의 스팬길이에 따른 면적 변화가 침로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Rudder Area with Reference to Changes in Span Distance on Course Stability of a Ship)

  • 손경호;이경우;김현수;김윤수;하문근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1-14
    • /
    • 1996
  • IMO 조종성잠정기준 4가지 항목중, 특히 비대선형의 경우 침로안정성이 문제시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타의 스팬길이에 따른 면적 변화가 침로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타면적 증감에 의한 침로안정성 개선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타직압력과 관련된 실험 정수들과 조종유체력미계수와의 관계를 정식화하였고, 타직압력과 관련된 각종 구속모형시험을 실시하여 타면적 변화에 따른 조정유체력미계수의 변화를 구하고, 이로부터 침로안정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조종성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타면적 증감에 따른 조종성능 개선 효과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타면적 증가는 침로안정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으며, 그 원인은 스팬길이 증가로 인한 타 상부와 선미 오버행 하부의 공간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이 공간은 조종운동시정류계수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것이 침로안정성과 관련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Atmospheric Turbulence Simulator for Adaptive Optics Evaluation on an Optical Test Bench

  • Lee, Jun Ho;Shin, Sunmy;Park, Gyu Nam;Rhee, Hyug-Gyo;Yang, Ho-Soon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1권2호
    • /
    • pp.107-112
    • /
    • 2017
  • An adaptive optics system can be simulated or analyzed to predict its closed-loop performance. However, this type of prediction based on various assumptions can occasionally produce outcomes which are far from actual experience. Thus, every adaptive optics system is desired to be tested in a closed loop on an optical test bench before its application to a telescope. In the close-loop test bench, we need an atmospheric simulator that simulates atmospheric disturbances, mostly in phase, in terms of spatial and temporal behavior. We report the development of an atmospheric turbulence simulator consisting of two point sources, a commercially available deformable mirror with a $12{\times}12$ actuator array, and two random phase plates. The simulator generates an atmospherically distorted single or binary star with varying stellar magnitudes and angular separations. We conduct a simulation of a binary star by optically combining two point sources mounted on independent precision stages. The light intensity of each source (an LED with a pin hole) is adjustable to the corresponding stellar magnitude, while its angular separation is precisely adjusted by moving the corresponding stage. First, the atmospheric phase disturbance at a single instance, i.e., a phase screen, is generated via a computer simulation based on the thin-layer Kolmogorov atmospheric model and its temporal evolution is predicted based on the frozen flow hypothesis. The deformable mirror is then continuously best-fitted to the time-sequenced phase screens based on the least square method. Similarly, we also implement another simulation by rotating two random phase plates which were manufactured to have atmospheric-disturbance-like residual aberrations. This later method is limited in its ability to simulate atmospheric disturbances, but it is easy and inexpensive to implement. With these two methods, individually or in unison, we can simulate typical atmospheric disturbances observed at the Bohyun Observatory in South Korea, which corresponds to an area from 7 to 15 cm with regard to the Fried parameter at a telescope pupil plane of 500 nm.

도시 경관색채의 시퀀스 분석기법과 공간 개방도에 따른 도시색채 특성연구 - 대구광역시 지상철 조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quence Analysis Technique of Urban Landscape Color and Urban Color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Spatial Openness - Focusing on the View of the Daegu Monorail -)

  • 구민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20-136
    • /
    • 2016
  • 본 연구는 경관의 색채를 시간의 개념을 포함하는 연속적 지각의 시퀀스로 보고, 그 흐름과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기법과 그것을 활용하여 개방성에 따른 도시색채 변화경향을 연구한 것이다. 이는 매우 경험자의 체험에 근접한 리듬으로 대구시 도시철도 3호선인 모노레일 속에서 바라다보는 도시의 색채 시퀀스를 좌우 양쪽에서 동영상을 촬영하여 2초 간격의 프레임에서 대표색 데이터와 시각량을 산출하여 색상, 명도, 채도, 고채도 분포로 시퀀스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법들을 도출하였다. 공간의 개방성, 밝기 정도, 선명도 정도, 고채도 분포와 코드, 시각량의 우위, 지배적 노출인자, 한난색의 이미지, 각 세분별 시퀀스 리듬의 다이나믹 정도를 비교 분석할 수 있는 기법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시퀀스 데이터 중 하늘의 시각량으로 공간 개방도를 결정하고, 개방도에 따른 도시 색채의 경향을 회귀분석하였다. 도시색채는 개방도가 높아질수록 명도는 낮아지고, 채도는 미세하게 증가하였으며, 한색계열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또한 린치의 공간 위요비례와도 매우 관계가 깊었으며, 도시 색채변화경향을 실제 경관을 통해 더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