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Evaluation Analysis of Wind Formation Function using KLAM_21 -The Case of Daegu City-

KLAM_21을 활용한 바람생성기능 평가분석 연구 -대구시를 대상으로-

  • Ryu, Ji-Won (Daegu Environment Technology Development Center) ;
  • Jung, Eung-Ho (Dept. of Environmental Planning, Keimyung University) ;
  • Kim, Dae-Wuk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Keimyung University) ;
  • Cha, Jae-Gyu (Dept. of Environmental Planning, Keimyung University) ;
  • Son, Kyung-Su (Dept. of Environmental Planning, Keimyung University)
  • 류지원 (대구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
  • 정응호 (계명대학교 환경대학 환경계획학과) ;
  • 김대욱 (계명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
  • 차재규 (계명대학교 환경대학 환경계획학과) ;
  • 손경수 (계명대학교 환경대학 환경계획학과)
  • Received : 2008.04.16
  • Accepted : 2008.06.25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is study, the one concerning the evaluation analysis of the function of the wind generation using KLAM_21, has examined closely how the wind really flows on the space of the city, working with the object of case location. In the first place, the cold air formed at upper stream of Sincheon river, a ravine of whole area of Gachang gully and an inclined plane of neighboring mountainous district, flows to the north and expands itself along the upper stream of the Sincheon river, and as the time passes, it is tending upwards in the change of the volume and height as well as of the velocity and direction, of the cold air. It was learned that this phenomenon has made it clear that the spatial features of this area give rise to very good condition in generating and flowing the cold air. Meanwhile, it has been shown that in the area of park in the Ap-mountain, the generation and flow of the cold air are much interrupted because of the overpass traversing the whole area of the park of Ap-mountain, the congested area of large-scaled apartments and the urban development activities constructing the building in the park, and the volume and height of the cold air has been grown very small. In conclusion, It has been learned that for maximization of the spatial effect of the wind corridor, the areas where the cold air is generated, flowed, accumulated, and maintained, have to be connected spatially, and this spatial connection has a close relation with spatial features of the area.

본 연구는 KLAM_21을 활용한 바람형성기능 평가분석에 관한 연구로서 대구시를 사례대상지로 실제 도시공간상에서 지형조건과 토지이용에 따라 어떻게 바람이 유동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신천상류 가창골 일대의 계곡과 주변산지 경사면에서 형성된 찬공기는 신천상류를 따라 북쪽으로 유동되어 확장되고 있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찬공기의 양과 높이 그리고 유속 및 방향 등에 있어서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이 지역의 공간적 특성이 찬공기가 생성되고 유동하는데 있어서 매우 양호한 조건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앞산공원지역에서는 앞산공원일대를 가로지르는 고가도로와 바람의 유동을 방해하는 대규모의 아파트단지 밀집, 그리고 공원내의 건축물 등의 도시개발의 행위로 인하여 찬공기의 생성 및 유동이 크게 방해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찬공기의 양과 높이에 있어서도 미약하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바람길의 공간적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바람길생성의 기본 형태인 찬공기 형성 및 유동, 그리고 찬공기 축적 및 유지지역이 공간적으로 연계되어야 하며, 이러한 공간적 연계는 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